•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의 선행연구

Dalam dokumen 진성리더십이 변화지향 (Halaman 53-56)

하였다(Li, Liang & Crant, 2010). 선행연구에 따르면 자기 효능감 (Morrison & Phelps, 1999), 개인의 고유 특성(LePine & Van Dyne, 2001)등이 선행변수로 작용한다고 하였다.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은 조직 내에서 행동에 역점을 두고 있으며, 그 내용은 조직 친화적 행동이다. Bettencourt(2004)는 변화지향 조직시민행 동을 조직의 개선과 변화를 만들어 내는 행동으로 개념을 제시하였다.

Choi(2007)는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change-oriented OCB)을 ‘조직 구 성원이 개인의 관점에서 조직의 관행과 업무절차의 변화를 위하여 노력 하는 것’ 으로 정의하였다. Bettencourt(2004)는 고객 접점에 있는 판매사 원을 대상으로 수행한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연구에서 개인과 조직 간의 사회적 교환관계의 질을 중요하게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Choi(2007)가 제시한 개념에 따라 구성원이 업무 관행의 개선에 요구되 는 새로운 정책, 방식, 프로세스 변화를 도출하는데 자발적으로 기울이는 노력을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이라 정의하고자 한다.

하위 개념 개념적 정의 연구자 발언행동 (voice) 상황 개선을 위한 변화지향적인

의사소통 LePine& VanDyne(2001) 창의 성과 창의적인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 Bettencourt et al.(2004);

Zhou & George(2001) ] 긍정의 선제적 행동

(positive proactive behavior)

환경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변화에 내면적 변화를 통해 동참하는 노력

Bindle& Paker(2010) 개인적 주도

(personal initiative)

자발적으로 공식적 직무요구를

넘어서는 주도적 행동 Frese et al.(1997) 주도행위

(taking charge)

조직 업무관련 변화를 위해

수행하는 공식 업무 외 행동 Morrison& Phelps(1999) 과업 변경

(task revision)

수정이 요구되는 직무, 역할을

수정하기 위한 행동 Staw & Bottger(1990) 혁신적 행동 혁신 프로세스 수행에서 나타나는

자발적 적극적 행동 Scott& Bruce(1994)

<표 11>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 하위개념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C-OCB)의 선행변수로서 가장 자주 등장한 변수는 리더십과 리더의 지원으로 Scott & Bruce(1994)의 연구에서는 LMX와 상사의 기대(role expectations)가 높을수록 구성원의 혁신적 행 동(innovative behavior)은 높아진다고 하였다. Bettencourt(2004)는 상사 의 변혁적 리더십과 상황적 보상리더십은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정적 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Van Dyne et al.(2008)은 LMX가 구성원의 발언 행동(voice)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리더십 중 리더-부하 교환의 질(LMX)이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으로써 가장 많은 연구 결과가 있다. 리더십 외 조직분위기 (organizational climate)와 조직지원(organizational support)도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의 선행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Choi, 2007). Morrison &

Phelps(1999)는 변화 지원적 집단규범(group norms that support change)을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의 핵심요인이라고 하였다.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의 선행요인으로 개인적 특성(Morrison & Phelps, 1999), 직무특성(Staw & Boettger, 1990)등이 제시되고 있다. <그림 5>은 기존 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선행요인을 정 리한 것이다.

<그림 5>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의 기존 선행변수 종합

제 3 장 연구가설의 설정 및 연구방법

제 1 절 연구모형

본 연구의 목적은 진성리더십이 그릿과 직무열의를 매개 변수로 하여 변화지향 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함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앞서 언급한 가설을 도 식화하여 <그림 6>과 같이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그림 6> 연구모형

<그림 7> Hayes PROCESS macro Model 6

제 2 절 연구가설

Dalam dokumen 진성리더십이 변화지향 (Halaman 53-56)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