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자료수집

Dalam dokumen 진성리더십이 변화지향 (Halaman 71-74)

설문은 제조업에 근무 중인 정규직 직원을 대상으로 2020년 7월부터

2020년 8월 사이에 직접 방문 및 설문지 우편 발송을 통하여 실시하였 다. 근거리 기업의 경우 해당 기업을 직접 방문하거나 응답자를 직접 면 담하여 설문의 목적 및 방법을 설명하였고, 원거리 기업의 경우 우편으 로 발송 후 설문지 취합 책임자에게 설문의 취지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실시하였다. 총 9개 기업의 직원들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328개의 설문지 가 회수되었다. 이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20개를 제외한 308개 설문 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제 5 절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가설들과 자료의 분석을 위해 다양한 통계적 기법 을 사용하였으며, 통계 패키지는 SPSS 23.0, AMOS23, Andrew F.

Hayes가 개발한 MACRO PROCESS V3.3을 사용하였다. 구체적 분석방 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 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세부 분석항목은 성별, 연령, 재직기간, 직급, 학력, 대학의 소재지․설립유형․운영형태 등이다.

둘째, 연구에 사용한 측정도구들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 석(EFA)과 구조방정식모델링을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 였다. 내적 일관성과 수렴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개념신뢰도와 분산추 출지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일관성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내적일관 성은 동일한 개념을 특정하기 위해 여러 개의 항목을 이용하는 경우 신 뢰도를 저해하는 항목들을 찾아내어 측정도구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Cronbach’s alpha 계수를 이용한 다.

넷째,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해 두 개 이상의 변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유의미성을 확인하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의 실증적 분석은 직접효과, 매개효과 및 다중매개효과 분석은 Preacher, Rucker & Hayes(2007)가 개발한 SPSS macro를 이용하여 부트스트래핑을 진행하였다.

제 4 장 실증분석

제 1 절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는 진성리더십과 변화 지향적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그릿 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정규직 행 정직원(무기계약직 포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 13>에서 응답자 특성을 보면 성별은 남성 217명(70.5%), 여성 91명(29.5%)이고, 연령

구 분 빈 도 백분율(%) 누적백분율(%)

성 별 217 70.5 70.5

91 29.5 100

20세 미만 1 0.3 0.3

20~29세 62 20.1 20.5

30~39세 112 36.4 56.8

40~49세 59 19.2 76.0

50세 이상 74 24.0 100

고졸 이하 34 11.0 11.0

전문대졸 77 25.0 36.0

176 57.1 93.1

대학원졸 21 6.9 100.0

근속연수

1년미만 30 9.7 9.7

1년이상 3년미만 51 16.6 26.3

3년이상 5년미만 52 16.9 43.2

5년이상 10년미만 57 18.5 61.7

10년이상 118 38.3 100

직위

사원 124 40.3 40.3

반장, 주임, 계장, 대리 81 26.3 66.6

과장급 49 15.9 82.5

차장, 부장, 실장, 국장 45 14.6 97.1

중역 9 2.9 100

담당업무

사무, 관리직 159 51.6 51.6

판매, 영업 25 8.1 59.7

생산, 기술 95 30.8 90.6

연구, 개발 10 3.2 93.8

기타 19 6.2 100

대는 20세 미만 1명(0.4%), 20대 62명(20.1%), 30대 112명(36.4%), 40대가 59 명(19.2%), 50대가 74명(24%)으로 30대가 가장 많았다. 학력은 대졸이 176명 (57.1%)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전문대 졸업이 77명(25.0%) 순으로 나타 났다. 근무연수는 1년 미만이 30명(9.7%), 1∼3년 미만이 51명(16.6%), 3∼5 년 미만이 52명(16.9%), 5∼10년 미만이 57명(18.5%), 10년 이상이 118(38.3%)로 10년 이상이 가장 많고, 직위는 사원이 124명(40.3%), 반장, 주 임, 계장, 대리가 81명(26.3%), 과장급이 49명(15.9%), 차장, 부장, 실장, 국장 이 45명(14.6%), 중역이 9명(2.9%)로 나타났다. 담당업무는 사무, 관리직이 159명(51.6%), 판매, 영업은 25명(8.1%), 생산, 기술은 95명(30.8%). 연구, 개 발은 10명(3.2%), 기타 19명(6.2%)로 응답하였다.

<표 13>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제 2 절 자료처리 및 분석

본 연구는 진성리더십과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긍정 심리자본과 그릿의 매개효과를 분석에 앞서 SPSS 23.0와 AMOS 23.0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 변수들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성을 분석하였다.

이론적 구성개념과 측정도구들 간의 일치정도인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평가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CFA)의 결과를 도출한 후 개념신뢰도(CR)와 평균분산추출지수(AVE)를 활용해 제안모형 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설문문항이 비교적 많고 하위차원으로 구성된 변수에 대해서는 척도의 신뢰성을 높이고 보다 연속적인 정규분포화된 특성을 얻고자 항목묶음(item parceling)방식을 이용하였다. 또한 가설의 실증 분석은 AMOS를 활용하여 모형의 구조방정식을 분석하였으며, 경로 분석을 통해 변수간의 가설을 검증하였고, Macro Process를 활용하여 가 설에 대한 매개효과와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Dalam dokumen 진성리더십이 변화지향 (Halaman 71-74)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