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부산광역시 사회복지 지출의 문제점

3.2 부산광역시 사회복지 지출 현황 및 문제점

3.2.4 부산광역시 사회복지 지출의 문제점

2014년 기준 부산광역시 자치구의 사회복지 지출 동향은 무상보육과 기초연금 도 입 등으로 인해 노인·청소년, 보육·가족 및 여성의 증가 추세이며, 기초생활보장은 감소 추세이다. 그러나 이상의 3부문에 전체의 83.5%가 집중되어 부문별 불균형이 나타났다.

기초생활보장에서는 의료급여와 기초생활급여, 취약계층지원에서는 저소득장애인 지원, 보육·가족 및 여성에서는 보육료 지원, 노인·청소년에서는 안락한 노후 지원 과 권익보호에 많은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부산광역시 자치구는 재정자립도가 취약한 세입구조에서 중앙정부의 국고보조금

형식의 사회복지 지출 확대에 따라 복지재정 부담이 급증하였다. 특히 중앙정부 정 책에 의한 사회복지비 지출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정률지원(matching

fund) 방식에 의해 지방자치단체는 일정 부분 의무적으로 자체재원으로 충당해야

한다. 이로서 지방자치단체는 스스로 자체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자립재원 부족이 초래되고 있다.

이러한 부산광역시 자치구 사회복지 지출의 중요성에 비해 사회복지 지출의 효율 적 집행을 위한 비용편익분석과 경제적 결정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장 부산광역시 사회복지 지출의 경제적 결정요인 모형 설정

4.1 가설 설정

가설 1 지역총생산이 증가하면 사회복지 지출이 증가한다.

가설 2 인구규모가 증가하면 사회복지 지출이 증가한다.

가설 3 고령자수가 증가하면 사회복지 지출이 증가한다.

가설 4 제조업 사업체수가 증가하면 사회복지 지출이 증가한다.

가설 5 제조업 출하액이 증가하면 사회복지 지출이 증가한다.

가설 6 서비스업 사업체수가 증가하면 사회복지 지출이 증가한다.

가설 7 건축허가면적이 증가하면 사회복지 지출이 증가한다. 가설 8 자동차 등록대수가 증가하면 사회복지 지출이 증가한다.

가설 9 유통업체 매장면적이 증가하면 사회복지 지출이 증가한다.

가설 10 지방세 징수액이 증가하면 사회복지 지출이 증가한다.

가설 11 재정자립도가 증가하면 사회복지 지출이 증가한다.

가설 12 재정자주도가 증가하면 사회복지 지출이 감소한다.

본 연구의 가설은 인구요인, 경제요인, 재정요인 등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제 시하고자 한다. 첫째, 인구요인은 인구규모 및 고령자수가 증가하면 사회복지 수요 증대에 따라 사회복지 지출이 증가한다. 둘째, 경제요인은 지역총생산(GRDP), 제조 업 사업체수, 제조업 출하액, 서비스업 사업체수, 건축허가 연면적, 자동차 등록대 수, 유통업체 매장면적 등이 증가하면 지역경제 활성화와 세수 증대 등으로 사회복 지 지출이 증가한다. 셋째, 재정요인은 지방세 징수액, 재정자립도의 증가에 따라 지방재원 확보를 기반으로 사회복지 지출이 증가한다. 단 재정자주도의 증가는 지 자체의 자주적 재원 확보에 따라 경제개발 등에 우선적으로 투자하여 사회복지 지 출은 감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