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선행연구 종합평가
3.1.1 부산광역시 세출 현황
<표 2> 를 보면 부산광역시의 전체 예산 규모는 2014년 총계 기준으로 12조2,222
억원이며, 시본청 8조 4,049억원, 자치구 3조 4,612억원, 기장군 3,560억원이다.
<표 2> 부산광역시 전체 예산규모(2014)
(단위 : %, 억원)
구 분 시본청 자치구 기장군 합 계
일반행정
일반공공행정 12.3 5.3 18.2 10.5 공공질서 및 안전 1.5 1.1 5.3 1.5 소 계 13.8 6.4 23.5 12.0
사회개발
교 육 6.8 0.4 2.2 4.8
문화 및 관광 3.5 1.8 3.7 3.0
환경보호 5.9 4.4 3.4 5.4
사회복지 32.9 54.5 26.7 38.8
보 건 1.1 2.2 1.4 1.4
소 계 50.1 63.3 37.4 53.5
지역개발
농립해양수산 1.7 1.7 7.4 1.9
산업·중소기업 3.2 0.6 0.2 2.3 수송 및 교통 18.6 4.2 8.1 14.2 국토 및 지역개발 4.2 1.8 6.4 3.6 소 계 27.7 8.3 22.1 22.0
기타
예비비 0.8 1.2 2.7 1.0
기 타 7.6 20.9 14.2 11.5 소 계 8.4 22.0 17.0 12.5
합 계 100.0 100.0 100.0 100.0
재정규모(억원) 84,049 34,612 3,560 122,222 주 : 일반회계 + 특별회계 총계 기준.
자료 : 행정자치부 재정고(http://lofin.mospa.go.kr), 2014.
시본청 자치구
합 계
<그림 1> 부산광역시 전체 예산규모(2014)
부산광역시의 전체 예산규모에서 구분별 세출 현황에 비중을 분석하면 사회개발
53.5%, 지역개발 22.0%, 일반행정 12.0% 기타 12.5%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자치구의 사회개발 비중은 63.3%이며, 사회개발 중 사회복지는 38.8%로서 가장 비중이 높고, 자치구 54.5%, 시본청 32.9%, 기장군 26.7% 등으로 자치구의 사 회복지 비중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한편 지역개발 비중은 시본청 27.7%, 기장군
22.1%, 자치구 8.3% 등에 불과한 수준이며 사회복지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표 3>에서 부산광역시의 재정자립도는 2010년 57.6%에서 2014년 51.4%로 감소 추세이다. 자치구의 재정자립도는 2010년 20.6%에서 2012년 26.3%로 상향되었으나 2014년 21.4%로 하락하였으며 복지보조금 확보난이 심화되고 있다.
<표 3> 부산광역시 재정자립도
구 분 2010 2011 2012 2013 2014
시 본 청
1인당 세출 규모 1,553 1,557 1,613 1,735 1,796
재정자립도 54.1 52.1 52.9 51.8 47.5 재정자주도 68.2 69.9 71.7 69.9 63.0 자체사업 비중 35.8 37.7 35.9 34.7 34.6 사회복지 비중 25.0 28.5 28.1 29.7 32.9
자 치 구
1인당 세출 규모 687 743 794 861 977
재정자립도 20.6 24.5 26.3 26.3 21.4 재정자주도 40.8 42.5 43.7 42.9 36.6 자체사업 비중 16.6 16.5 17.1 17.3 16 사회복지 비중 50.7 52.6 49.7 51.1 54.5
기 장 군
1인당 세출 규모 2,565 2,264 2,296 2,378 2,156
재정자립도 40.4 32.4 35.0 37.4 31.5 재정자주도 71.8 66.3 67.5 66.8 60.6 자체사업 비중 33.1 39.5 23.8 25.2 28.1 사회복지 비중 13.6 22.7 18.3 21.1 26.7 부
산 전 체
1인당 세출 규모 2,287 2,343 2,452 2,645 2,817
재정자립도 57.6 56.4 57.4 56.6 51.4 재정자주도 72.5 74.3 75.7 74.1 66.6 자체사업 비중 32.0 33.0 31.7 32.1 30.9 사회복지 비중 23.5 25.7 25.5 27.0 30.1 주 : 일반+특별회계 총계 기준, 1인당 세출규모,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 일반회계 기준.
자료 : 행정자치부 재정고(http://lofin.mospa.go.kr).
자치구의 재정자립도는 재정구조의 건전성과 자주성을 결정한다. 지방교부세를 포 함한 일반재원의 비중인 재정자주도는 2014년에 부산광역시 66.6%, 시본청 63.0%, 자치구 36.6%로 자치구 비중이 낮게 나타났다.
재정자립도는 일반회계 세입 중에서 자체재원(지방세, 세외수입)이 차지하는 비율 을 나타내며,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적 재정운영능력을 나타내는데 활용되고 있다. 재 정자주도는 일반회계 세입 중에서 지방세, 세외수입, 지방교부세 등 특정 목적이 정 해지지 않는 일반재원의 비율을 나타내며, 재정자주도가 높을수록 지방자치단체가 자주적인 판단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재정의 폭이 넓다고 해석할 수 있다. 지방자 치단체의 재원활용능력에 관한 지표로서 재정자주도가 많이 활용되는 추세이다(최 성희 외, 2014).
<그림 2> 부산광역시 재정자립도
<그림 3> 부산광역시 재정자주도
2014년 기준 부산광역시 재정자립도는 51.4%, 재정자주도 66.6%이다. 한편 복지보
조금의 증가에 따라 지방재정에서 사회복지비 비중은 급증하여 부산 전체 기준으로 2010년도 23.5%에서 2012년 25.5%, 2014년 30.1%를 차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