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 회귀분석을 이용한 사회복지 지출의 경제적 결정요인 분석
5.2.6 일원확률효과모형을 이용한 분석
<표 17>은 시계열확률효과모형을 이용한 추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모형 전체
의 유의성을 보여주는 F 검정의 결과 1% 수준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하여 설명변수 들이 전반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종속변수인 사회복지 지출을 설명할 수 있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개별 설명변수들에 대한 유의성을 살펴보면 1%의 유의 수준에서 유의미한 계수 추정치로는 고령자수, 서비스업 사업체수, 유통업체 매장면적, 재정자립도, 재정자주 도 등으로 나타났고, 지역총생산은 10%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미한 계수들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역총생산의 추정계수를 살펴보면 지역총생산은 사회복지 지출에 양(+)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효과를 살펴보면 지역총생산이 1% 증가할 때 사회 복지 지출은 240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규모는 사회복지 지출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효과를 살펴보면 인구규모가 1명 증가할 때 사회복지 지출은 34만 5,590원이 감소하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표 17> 시계열확률효과모형 추정 결과
변수명(로그) 추정계수 표준오차 t값 p값
지역총생산 0.1262* 0.0721 1.75 0.08 인구규모(명) 0.2142 0.1433 1.49 0.14 고령자수(명) 0.4982*** 0.0980 5.09 0.00
제조업
사업체수(개) -0.0010 0.0252 -0.39 0.70 제조업 출하액
(백만원) 0.0120 0.0212 0.56 0.57
서비스업
사업체수 -0.6722*** 0.1052 -6.39 0.00
건축허가면적
(제곱미터) 0.0296 0.0222 1.33 0.19
자동차
등록대수 0.0026 0.1135 0.02 0.98
유통업체
매장면적(㎡) 0.1843*** 0.0245 7.52 0.00 지방세 징수액
(백만원) --0.0869 0.0646 -1.34 0.18
재정자립도 0.3712*** 0.1742 3.23 0.00 재정자주도 -1.4433*** 0.1625 -8.28 0.00
상수항 11.6165*** 1.3668 8.50 0.00
주 : F=164.6329(Prob =0.0000), R-squared=0.9945, Adj R-squared=0.9393
***, **, *는 각각 유의수준 1%, 5%, 10%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음을 의미함.
지역총생산의 추정계수를 분석하면 사회복지 지출에 미치는 영향은 양(+)으로 나 타났다. 한계효과를 살펴보면 지역총생산이 1% 증가할 때 사회복지 지출은 0.1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수가 사회복지 지출에 미치는 영향도 양(+)으로 나타났다. 한계효과를 살펴 보면 고령자수가 1% 증가할 때 사회복지 지출은 0.5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 사업체수가 사회복지 지출에 미치는 영향은 음(-)으로 나타났다. 한계효
과를 살펴보면 제조업 사업체수가 1% 증가할 때 사회복지 지출은 0.67%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통업체 매장면적은 사회복지 지출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효과를 살펴보면 유통업체 매장면적이 1% 늘어날 때 사회복지 지출은 0.1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자립도는 사회복지 지출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효과 를 살펴보면 재정자립도가 1% 증가하면 사회복지 지출은 0.37%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자주도는 사회복지 지출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계효 과를 살펴보면 재정자주도가 1% 증가하면 사회복지 지출은 1.4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정자주도는 사회복지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탄력적임을 알 수 있었다.
<표 18>은 횡단면확률효과모형을 이용한 추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모형 전체
의 유의성을 보여주는 F 검정의 결과 1% 수준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하여 설명변수 들이 전반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종속변수인 사회복지 지출을 설명할 수 있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개별 설명변수들에 대한 유의성을 살펴보면 1%의 유의 수준에서유의미한 계수추 정치로는 고령자수, 서비스업 사업체수, 유통업체 매장면적, 재정자주도 등으로 나 타났고 지역총생산과 재정자립도는 10%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미한 계수들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역총생산의 추정계수를 분석하면 사회복지 지출에 미치는 영향은 양(+)으로 나 타났다. 한계효과를 살펴보면 지역총생산이 1% 증가할 때 사회복지 지출은 0.0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수가 사회복지 지출에 미치는 영향도 양(+)으로 나타났다. 한계효과를 살펴 보면 고령자수가 1% 증가할 때 사회복지 지출은 0.59%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 사업체수가 사회복지 지출에 미치는 영향은 음(-)으로 나타났다. 한계효 과를 살펴보면 제조업 사업체수가 1% 증가할 때 사회복지 지출은 0.30%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통업체 매장면적은 사회복지 지출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효과를 살펴보면 유통업체 매장면적이 1% 늘어날 때 사회복지 지출은 0.0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자립도는 사회복지 지출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효과 를 살펴보면 재정자립도가 1% 증가하면 사회복지 지출은 0.1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자주도는 사회복지 지출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계효 과를 살펴보면 재정자주도가 1% 증가하면 사회복지 지출은 0.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8> 횡단면확률효과모형 추정 결과
변수명(로그) 추정계수 표준오차 t값 p값
지역총생산 0.0776* 0.0474 1.64 0.10 인구규모(명) 0.2543 0.1616 1.57 0.12 고령자수(명) 0.5909*** 0.1791 2.75 0.01
제조업
사업체수(개) 0.0006 0.0247 0.03 0.98 제조업 출하액
(백만원) -0.0006 0.0152 -0.42 0.67
서비스업
사업체수 -0.3043*** 0.1124 -2.71 0.01
건축허가면적
(제곱미터) 0.0003 0.0108 0.03 0.98
자동차
등록대수 0.0754 0.0739 1.02 0.31
유통업체
매장면적(㎡) 0.0484*** 0.0176 2.75 0.01 지방세 징수액
(백만원) --0.0349 0.0395 -0.89 0.38
재정자립도 0.1548* 0.0870 1.78 0.08 재정자주도 -0.3977*** 0.1600 -2.49 0.01
상수항 4.4723*** 1.3495 3.31 0.00
주 : F=198.20(Prob =0.0000), R-squared=0.9721, Adj R-squared=0.9672
***, **, *는 각각 유의수준 1%, 5%, 10%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음을 의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