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북방삼각관계 성격 : 외적 경성균형 구축

Dalam dokumen 북방삼각관계 변화와 지속: (Halaman 48-86)

가. 중소 관계: 경성균형 형성과 와해

(1) 중국과 소련의 국가 목표와 전략

냉전시대 국가 전략 개념은 주로 군사적 안보를 의미했다. 그러 나 탈냉전 이후에는 군사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 화를 총망라하는 포괄적 안보(comprehensive security) 개념으로 변화되고 있다.38 일반적으로 정의되는 국가안보란 국가안전보장 의 준말인데, 국가의 생존과 국가 이익의 안전 확보를 위한 정책과 전략을 의미한다. 국가안전보장에 대한 연구는 전통적으로 국제 정치학자들의 주요 관심사였다. 미국의 국가안보전략은 세 차례의 대변화를 맞으면서 발전해 왔다. 그 하나는 일본의 진주만 공격에 의한 2차 세계대전 개입이었으며, 두 번째는 소련과 공산권 국가들 의 갑작스런 몰락이고, 세 번째는 2001년 9월 11일 국제무역센터의 테러에 따른 영향이다.39

38_미 국방부가 2006년 2월 발표한 「4년 주기 국방태세검토(Quadrennial Defense Review: QDR)」에서는 21세기 안보위협에 대해 ‘전통적위협,’ ‘비정규적 위협,’

‘재앙적 위협,’ ‘파괴적 위협’ 등으로 분류하고, 전통적 위협으로는 재래식 군사력

으로 미국에 도전하는 행위, 비정규적 위협에는 비재래식 방법(테러, 폭동, 내전) 으로 전통적 우위의 상대방을 위협하는 행위, 재앙적 위협에는 대량살상무기나 유사한 효과의 무기로 미국의 상징물에 기습공격하는 행위, 파괴적 위협으로는 생물화학무기, 사이버작전, 우주무기 등에 의한 치명적 위협 등을 규정했다.

39_미국은 1947년 국가안전보장법이 제정되어 국가안보회의(National Security

Council: NSC)와 중앙정보국(Central Inteligence Agency: CIA)이 창설되었다.

그후 1986년 골드워터-니콜스 법(Goldwater-Nichols Defense Reorganization Act)을 제정하여 당시의 국방부를 재편성 강화함과 동시에 미국의 국가안보전 략에 대해 연례적으로 대통령이 국회에 직접 보고하도록 법제화 되었다. 이외에도 국가안보회의록(NSC-68)과 트루먼의 대통령비망록(PRM-10)이 있고, 키신저 시절에는 국가안보전략 연구각서(NSSM-3), 대통령 결심서(PD-18) 등이 있다.

중국과 소련의 국가 전략 또한 몇 차례 특징적인 변화를 겪으면 서 발전해 왔다. 소련의 국가 전략은 1947년 미국이 ‘트루먼 독트 린’을 발표하고 봉쇄 전략을 채택하자 대응차원에서 발전되었고, 중국은 소련의 국가 전략 틀 안에서 자신들의 국가 전략 목표를 가 다듬었다. 이 당시 미국의 봉쇄 전략은 유럽에 집중되었고, 아시아 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부각되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전쟁이 발 발하면서 봉쇄 전략의 세계화가 추진되었다.

봉쇄 전략의 입안자였던 조지 케난(George Kennan)은 1947년 7 월 Foreign Affairs지에 “소련은 팽창의 욕구와 대외적인 적개심을 가졌기 때문에 미국은 그것을 봉쇄하고 그 내부변화를 기다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미국의 장기적이며 인내성 있 는, 그러나 확고하고 조심스러운 억제 정책이 필요하다”40고 밝혔 다. 해양세력에 의한 대륙 세력의 봉쇄 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 것이다.41 여기에는 1949년 국공 내전을 승리로 이끈 중국공산정권 의 수립도 한 몫 하였다.

소련은 미국의 봉쇄 전략에 맞서 1950년 2월 <중소 우호동맹 및 상호원조 조약>을 체결하였다.42 이 조약은 1945년 8월 4일 장제

40_George Kennan, “The sources of Soviet Conduct,” Foreign Affairs, Vol. 25, No. 4, pp. 566~582.

41_대표적인 예로 트루만 독트린, 마샬플랜, NATO, CENTO, SEATO, 및 한미상호 방위조약, 미일상호방위조약, ·필리핀상호방위조약, ANZUS 등이 있다. 미국 은 림랜드(rimland) 국가들과의 쌍무방위조약을 통해 소련과의 대결구도를 정 립했으며, 이에 대해 소련은 소중상호동맹조약, 바르샤바조약기구, 브레즈네프 독트린 등을 통해 미국의 봉쇄 정책에 대응했다.

42_이 조약은 전문(前文)과 6개조의 본 조약 및 두 개의 부속 협정·교환 각서로 이 루어져 있는데 소련은 중국에서의 특권을 포기하는 데 동의하고 부속 협정에서

1952년 이전까지 창춘(長春) 철도의 일체 권리와 재산을 무상으로 중국에 넘겨

주기로 약속했다.

스의 국민당 정권과 체결한 <중소 우호동맹 조약>을 대체하는 조 약이었다.43 본 조약은 유효기간을 30년으로 하되, 체약국 중 한 나 라가 조약 만료 1년 전까지 폐지를 통고하지 않으면 기한을 5년간 자동 연장되도록 하였다. 1960년대 이후 중국의 문화대혁명 이래 로 중국과 소련의 대립이 격화되면서 조약은 유명무실화되었다. 그리고 1979년 4월 중국이 본 조약을 연장하지 않을 것을 결정함 으로써 1980년에 폐지되었다. 그러나 이는 형식상의 절차를 의미 할 뿐, 사실상 중소 분쟁 당시 이미 형해화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 당하다.

중소 갈등은 1956년 흐루시초프의 스탈린 비판 연설에서부터 비 롯되었다. 이 연설 내용이 알려지자 폴란드, 헝가리 등 동유럽 제 국에서는 반소 폭동이 발생하였다. 중국은 스탈린은 옹호하며 중 소 이념 분쟁으로 치닫았다. 이외에도 1958년부터 시작되는 중국 의 제2차 5개년계획에 대한 소련의 지원 미비, 대만해협 위기 시 소련의 애매한 태도, 인도와의 국경 분쟁 때 소련의 중립적 태도 등이 중첩되면서 갈등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갈등은 1960년 모스 크바에서 열린 ‘바르샤바 조약기구 회의’에서 흐루시초프의 평화공 존론이 재확인되자, 중국이 불만을 표시함으로써 노골화되었다.

미중 간의 대만해협을 둘러싼 1~2차 위기와 관련해 주목할 것

43_이 조약 외에 체결된 비밀 합의문을 통해 소련과 중국은 이념적 측면에서 군사 적·경제적 협력 자세를 공고히 했다. 특히 만주 지역을 놓고 중공은 소련의 특권 을 인정하는 동시에 소련은 만주 지역에 대한 중공의 지배권을 인정했다. 허만호 는 “소련이 만주를 되돌려 준 것에 대해 비록 만주가 중공에 귀속되더라도 중공 의 지원 하에 한반도에서 사회주의 혁명이 완수된다면, 이는 동북아에서 사회주 의 진영을 안정시키고, 당시 동남아에서 무르익어 있었던 혁명을 고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손실보다도 이득이 더 큰 것”으로 간주하였다. 허만호, “6.25 전쟁의 유산 한반도에서의 평화의 제도화,” 한국전쟁학회 편, 뺷한국 현대사의 재조명뺸 (서울: 명인출판사, 2007), p. 225.

은 소련의 반응이었다. 소련은 미국의 중국에 대한 핵 공격 위협과 이를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마오쩌둥(毛澤東)의 무모해 보이는 입 장에 긴장했다. 중국과 군사동맹을 맺은 상태에서 미중 전쟁이 발 발하면 소련은 연루될 수밖에 없는 구조였기 때문이다. 1차 대만해 협 위기 때 소련은 중국의 핵개발 계획을 적극 지원하였다. 그러나

2차 위기를 경험하면서, 소련은 1959년 6월 중국의 핵개발 지원을

중단하였다. 그러나 중국은 독자적으로 핵무기 개발 사업을 계속 추진하여 1964년 핵실험에 성공하였다. 핵실험의 성공에 이어 불 과 32개월 만에 수소폭탄 개발에도 성공하였다.44 소련의 핵우산 으로부터 독립의 길을 밟은 것이다.

미국은 베트남 전쟁의 수렁에 빠져 있었고, 전쟁의 종결 및 소련 을 견제하기 위해서는 중국이 필요했다. 때마침 중소 분쟁이 격화 되면서 마오쩌둥도 대미 관계 필요성을 느꼈다. 특히 1969년 3월 우수리 강 부근에서 중소 간의 무력 충돌이 발생해 수백 명의 사상 자가 나온 이후, 중국 정부 내에서는 소련이 전면적인 공격을 감행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다. 소련의 위협이 가시화되자, 대소·대미 전략 의 재검토가 요구되었다. 중국은 핑퐁외교(ping-pong diplomacy) 를 기제로 1972년 미국과 정상회담을 갖고 서방 세계와 본격적인 관계 개선에 나섰다. 그후 4년 동안 무려 107개국과 국교를 수립하 였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중소동맹은 1960년대 후반부터 사실

44_미국은 86개월이, 소련은 75개월이, 영국과 프랑스는 각각 66개월과 105개월이 걸렸다. 핵실험에 성공한 중국은 1966년 10월에 중거리 탄도 미사일인 ‘둥펑-2 호’에 핵탄두를 장착한 상태에서 시험 발사에 성공해 핵미사일 보유 능력도 과시 했다. 이로써 중국은 원자폭탄과 수소폭탄, 그리고 탄도미사일로 전용될 수 있는 위성 발사 능력을 확보함으로써, 유명한 ‘양탄일성((兩彈一星)’을 손에 쥐게 됐다.

그림Ⅱ-1 남방삼각동맹 vs 북방삼각동맹 형성

출처: 권오국, “지정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남북한의 생존전략(1945-2000),” p. 131.

상 형해화되었기 때문에 경성동맹으로 보기 어렵고, <북소 동맹

조약> 또한 1970년대 접어들어 북한에 연루될 것을 우려한 소련의

태도 등을 감안할 때 제대로 작동되었다고 볼 수 없다. 남방삼각동 맹 또한 한미동맹은 경성동맹이나, 한일 간에는 미국을 매개로 한

유사동맹(quasi alliance)에 불과하여 완전한 삼각동맹체제를 형성

하지는 못했다.

냉전기 한반도를 사이에 두고 해양 세력의 남방삼각동맹 관계와 대륙 세력의 북방삼각동맹 관계가 형성되었다. 남방삼각동맹 구도 는 1951년에 체결된 <미일 단독강화 조약> 및 <안전보장 조약>, 그리고 1953년에 체결된 <한미 상호방위 조약>과 1965년에 조인 된 <한일 기본 조약>을 핵심으로 한다. 반면 북방삼각동맹 구도는 1950년의 중소동맹과 1961년에 체결된 <조소 우호협력 및 호상원 조에 관한 조약>과 <조중 우호협력 및 호상원조에 관한 조약>에 근거한다. 여기서 한 가지 특이점은 남방삼각동맹은 미국을 매개 로 하여 이루어졌으나, 북방삼각동맹 관계는 양자동맹 관계를 직 접 맺고 있다는 점이다.

(2) 정치‧군사‧경제‧사회적 관계

소련은 <중소 우호동맹 및 상호원조 조약>을 체결할 당시 두 개 의 부속 협정, 교환 각서를 체결하였는데, 그 내용인즉 일본(또는 그 동맹국) 제국주의의 침략을 공동으로 저지하고, 세계 평화를 보 위하기 위한 정치·군사 연맹의 결성과 양국의 경제·사회·문화 관 계의 발전을 위한 상호 지원 등에 관한 규정을 두었다. 이에 따라 소련은 3억 달러의 대중국 경제 원조를 실시하였다.

또한 소련은 제2차 국공 내전 당시 중국공산당이 승리할 수 있 는 결정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그것은 다름 아닌 만주국, 이른바 자신들이 장악한 동북지역을 중국공산당에게 넘긴 것이다. 소련은 일제가 만주에 남긴 막대한 양의 무기를 여러 경로를 통해 중공군 에게 넘겨주었다. 소련군이 참전 1개월 동안 만주에서 노획한 전리 품은 비행기 925대, 전차 369대, 장갑차 35대, 야전포 1,226문, 박격 포 1,340문, 기관총 4,836정, 소총 약 30만 정, 자동차 2,300대, 타약,

Dalam dokumen 북방삼각관계 변화와 지속: (Halaman 48-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