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북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

가. 분쟁의 배경과 전개 (1) 분쟁의 역사적 배경

북아일

랜드 분쟁은 영국의 식민지배

와 독립전쟁, 독립과정에서의 분열 등이 중

적 배경으로 작용하

였다. 19세기 후반부 터 20세기 초

까지 영국과 아일랜드 관계는 자치 여부를 둘러싸

고 갈등이 계속 되었다.

립전쟁의 결과 북부의 9개 중 북부 얼스

터(Ulster) 6개 주가 영

국 의회의 최고 권위를 인정하되 독자적 의회를 구성하는 조건으로 영국의 일부로 잔류하였다. 북부 나머지 3개 주와 남부 아일랜드가

독립해 아일랜드자유국(Irish Free State)을 구성하 였다. 1922년 독립을 쟁취

하였지만, 남북 아일랜드로 분단되면서 분단은 북아일

랜드 사회 내부의 핵심 갈등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북아일랜드

는 자치정부를 구성하는 자율성을 부여받았지만, 북아일랜드 내 신

교도계와 구교도계 사이의 갈등이 지 속되었다.

32) 1968년과 1969년 의 폭력적인 유

혈 충돌

로 분쟁이 격화되었고 1972년 영국 정부가 북 아일랜드에 대한 자치권을 회수하고 직접 통치를 선

언함으로써

또 다

른 분쟁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2) 중층적 분단구조와 분쟁

북아일

랜드의 분쟁은 북아일랜드

에 잔류한 6개 주 내 주민의 민

족 및

종교의 정체성 차이에 기인한다. 또한, 남북 아일랜드의 분단은

32) 김남국, “북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의 성공요인: 정책, 리더십, 국제적 차원을 중심 으로,” 뺷유럽연구뺸, 제36권 1호 (2018), pp. 55~57.

54 평화의 인권발전 효과와 한반도

북아일

랜드 내 정체성 차

이와 결합하면서 북아일랜드 내 다층적 구 조의 분단선을 만드는 요인이 되었다.33)

첫째

, 남북 아일랜드의 분단선이다. 아일

랜드계의 입

장에서 볼 때 1민

이 2개의 국가로 나뉘어 있는 분단 상태이

므로 통

합을 통해 ‘국 가적 통일’이 주요 목표로 설정될 수밖에 없다.

째, 영국과 아일 랜드를 가르는 분단선으로 영국과 영국계 북아

랜드 주민의 입

장에서 볼 때 북아일랜드는 2민족이 1국가를 이루 고 있는 상

황이므

로 아일랜드와의 통합보다는 영국의 일부로 잔류 하는 것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 최근 브

렉시트

로 인해 분단선이 가 중되는 또 다른 양상이 전개되고 있다.

셋째, 북아일 랜드 내부 분단선이다. 아일 랜드계와 영국계의 민족

정체성의 갈등과 구교도와 신교도의 종교 정체성이 중첩되는 분단 선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정체성에 바탕을 둔 사회적 차별과 경제 적 불평등이 분쟁을 야기하는 핵심 분단선을 형성하게 되었다.34)

적 분단구조 속에서 구교도에 대한 사회적 차별을 근간으로 하는 경제적 불평등이 갈등의 핵

심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높은 실업률은

시민들에게 ‘불행의 평등(Equality of Misery)’의 결과를 낳

았고 이

는 사회정치적 갈등으로 확대되었고, ‘분쟁의 시대(the Troubles)’

를 견인했다.35)

33) 위의 글, p. 52

34) 김남국, 위의 글, pp. 50, 52, 57~58; 윤철기, “북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의 정치경 제학,” 뺷북한연구학회보뺸, 제23권 1호 (2019), p. 180; 김동진, “아일랜드에서 목격 한 한반도의 미래: 평범한 사람들의 평화를 꿈꾸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뺷통일 시대뺸, 3월호 (2021), p. 36.

35) 1970년대 경제 위기는 구교도와 신교도 사이의 사회적 차별과 경제적 불평등을 더욱 악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윤철기, 위의 글, pp. 182, 186.

Ⅲ. 네 평화 프로세스와 한반도 55

(3) 분쟁-인권-발전의 악순환 심화

북아일

랜드 내 다층적 구조의 분단선으로 인한 갈

등은 정체성의 분단→ 사회적 차별과 경제적 불평등→

력적 갈등으로 표출되면 서 분쟁- 인권 침해 및 경제적 불평등(발전)과의 악순환 구조를 형 성하게 된다.

북아일

랜드에서 1920년대 이후 정치권력의 불공정한 분 배

는 경제 적, 사회적 차별로 이어졌다. 얼스

통합당(Ulster Unionist Party:

UU

P) 정부는 구교도 신자들에 대한 차별정

책을 더욱 강

화했다. 이 러한 구교도에 대한 차별과 불평등을 시정하기 위해 1960년대 ‘사회 정의 캠페인(Campaign for Social Justice)’, ‘북아일랜드 시민권협 회(Northern Ireland Civil Rights Association: NICRA)’ 등 단체 들이 결성되었다. 1960년대 이들 단체들을 중

심으로 그동안 누적된 신

‧구

교도 사이의 차별을 시정하려

는 목소리가 커졌고 많은 시민단 체들이 비폭력 ‘민권운동(civil rights movement)’을 전개하였다.

교도의 비 폭력 캠페인에 대해 통

합주의 세력이 얼스터 개

신교 의

용대(Ulster Protestant Volunteers: UPV)와 얼스

터 의용 군(Ulster Volunteer Force: UVF) 등 준군사조직을 창설하여 폭력적으로 대 응

하면서 양측의 갈등은

력적 양상으로 변화하게 되었다.36)

1968년 10월 5일 북아일랜드의 런던-데리(London-Derry)에서 발

생한 폭력 사태로 인해 갈등이 심각한 폭력 양상으로 증폭되었

다.37) 1969년 4월 보그사이드(Bogside)에서 열린 북아일

랜드 시민

권협회의 행진에 대해 왕립 얼스터 경찰이 무자비한 폭력으로 대응 하면서 1969년 8월의 대규모 폭동이 발

생하 였다. 폭력적 대 응은 인

36) 김남국, “북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의 성공요인: 정책, 리더십, 국제적 차원을 중심 으로,” p. 58; 김정노, 뺷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뺸(서울: 늘품플러스, 2015), p. 170.

37) 황수환, “북아일랜드의 평화구축과정: 평화협정을 중심으로,” 뺷국제지역연구뺸, 제21 권 제4호 (2017), p. 39.

56 평화의 인권발전 효과와 한반도

권 침해와 또다시 결합되면서 증폭되는 양상을 보였다. 1971년 급진 주의 아일랜드 공화국군(Provisional Irish Republican

Army:

PIRA)의 테러 공격에 대응하여 브라이언 포크

너 수상은 임의구금

제 도를 도입하여 300명에 이르는 공화주의계 인사들이 재판 없이 구

속되었다. 특히 1972년 1월

30일 북아일랜드 시민권리협회에 의해 조직된 재판 없는 강제구금을 반대하는 행진에서 14명이 죽고 많은 사람이 부상당하는 ‘피의 일요일(Bloody Sunday)’이 발생하

였다.

38)

일련의 과정에서 비폭력 캠페인 대신 공화주의계 무장집단(Irish Republican Army: IRA)이 본격적인

장 투쟁에 나서게 되었다.

민권

운동 세력의 영향력이 감소하는 반면 IRA의 영향력은 확

대되었 다. IRA 분

파 간의 선 명 경쟁으로 폭력의 상 승작용이 일어났다. 정

체성의 차이에 따른 분파주의적 분열 속에서 과거보다 군사적인 통 합주의자(충성주의자, loyalists), 더욱 군사적인 민족주의자(공화 주의자)는 자신들의 목표를 성취하고자 폭력을 사용하고 폭력에 의 존하였다.39) 폭력적 분쟁이 심화되자 영국정부는 1972년 3월 30일

‘북아일랜드 잠정 조치

법(Northern Ireland Temporary Provisional Act)’을 발동하여 자치정부 역할을 정지시 키고 런던의 직

접 통치를 결정했다. 1972년에 시작된 직접 통치는 1998년 성금요일 협정에 이르기

까지 사실

상 지속되었다.40)

38) 김남국, “북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의 성공요인: 정책, 리더십, 국제적 차원을 중심 으로,” p. 58.

39) Kristin Archick, “Northern Ireland: The Peace Process, Ongoing Challenges, and U.S. Interests,” CRS Report, Updated September 10 (2021), p. 1.

40) 김남국, “북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의 성공요인: 정책, 리더십, 국제적 차원을 중심 으로,” p. 58.

Ⅲ. 네 평화 프로세스와 한반도 57

<표 Ⅲ-1> 분쟁-인권-발전의 악순환 구조

민족종교 정체성 갈등

사회적 차별: 인권 침해 경제적 불평등: 발전

폭력적 분쟁

인권침해 및 불평등의 확대심화 민족주의자의 비폭력 민권운동

통합주의자 및 경찰의 폭력 대응

공화주의 폭력 맞대응 출처: 본문 내용을 바탕으로 저자 작성.

나. 분쟁 종식의 형태와 요인

분쟁-인권침해-경제적 불평등의 악순환 구조 속에서 분쟁의 폭 력적 성

격이 심화될 때 당사자들이 평화협정의 형태로 분쟁을 종식

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였다. 1998년 성

금요일 협정 까지 ‘분쟁

의 시대’를 종식하기 위해 다양한 합의가 도출되었지만, 실행에 옮

겨지지 못

하고

좌절

되는

굴 곡의 과정을 거쳤다.

(1) 1970년대 분쟁 종식을 위한 노력: 서닝데일 협정

1972년 ‘피의 금요일’ 사건 등 북아일랜드의 갈등이 폭력으로 증

되자 영국 정부는 갈등조정을 위해 북아일랜드의 민

족주의자들을

섭하고자 했다. 영국 정부는 1972년 10월

토론용 문건인

녹서

(Green Paper)에 대한 다양한 정치사회 세력들의 토론을 기초로 백 서(White Paper)를 발표했다. 권력 공유와 아일랜드 장래를 구상하 는 과정에서 아일랜드의 관여 및 역할의 설정이 핵심 요소였는데, 1973년 12월 영국 정부, 아일랜드 정부, 북아일랜드 행정부에 참여 한 정당들은 서닝데일 협정(Sunningdale

Agreement)에 합의했

다.41)

41) 구갑우, “탈식민적 분단국가의 재생산: 남북한과 아일랜드-북아일랜드의 사회적 장 벽 비교,” 뺷한국과 국제정치뺸, 제28권 제3호 (2012), p. 204; 김정노, 뺷아일랜드 평화

58 평화의 인권발전 효과와 한반도

닝데일 협정은 영국과 아일 랜드 정부, 그리고 북아일랜드의 민 족

주의자와 통합주의자가 참여한 최초의 합의였고 1998년 성금요일 협정의 원형을 이

룬다. 민족주의자와 통합주의자, 신교도와 구교

도 가 권력 공유를 통해 정부를 구성하고 아일랜드를 포함하는 아일랜

평의회(Council of Ireland)를 운영하면서 ‘아일랜드 차원(Irish dimension)’을 인정하

였다.

42)

닝데일 협정에 따라 1974년 1월

1일

UUP, SDLP, 중도파인 APNI가 참여하는 내 각이 구성되었다.

43)

닝데일 협정은 실행과정에서 반대에 부딪혀 좌 절되었다. 실패

의 요인으로 협정에 참여한 정치 세력의 범위와 인식의 차이를 들 수 있다. 영국 정부는 ‘정치적 중력’을 중

앙으로 향하게 만들어 온건

한 통합주의자(unionist)와 민족주의자가 권력을 공유하는 전략을 선택했다. 이에 따라 서닝데일 협정은 준군사조직을 가진 통합주의 진영과 민족주의 진영의 양극단과의

링 크를 배제한 채

이루어졌 다.44) 다수의 통합주의자들은 당시 국가 파괴 세력과 권력을 나누 는 것은 절대 불가하다는 이유로 권력 공

유에 강하게 반대하였다.

‘아일랜드 차원’에 대해 다수의 통합주의자들은 아일

랜드가 북아일

랜드 문제에 간여할 수 있는 공간을 허

용하는 것으로 우려하였다.45)

한, 신교도의 힘을 지

탱하는 불평등한 사회구조에 대한 개혁

이 수 반되지 않은 상

황에서 권력 공유의 시도는 실패하였

다.46) 또 다른

프로세스뺸, pp. 186~187.

42) 김남국, “북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의 성공요인: 정책, 리더십, 국제적 차원을 중심 으로,” pp. 58~59.

43) 김정노, 뺷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뺸, pp. 189, 193.

44) 구갑우, “아일랜드섬 평화과정 네트워크의 형태 변환: 합의 이후 실행과정에서 나타 난 이념과 세력의 변화를 중심으로,” 뺷한국과 국제정치뺸, 제29권 제3호 (2013), p.

200.

45) 구갑우, “탈식민적 분단국가의 재생산: 남북한과 아일랜드-북아일랜드의 사회적 장 벽 비교,” p. 206; 김정노, 뺷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뺸, p. 192.

46) Joseph Ruane and Jennifer Todd, “History, Structure and Action in the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