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위에서는 평화구축 관련 이론들 중 평화-인권-발전의 상호관계 와 인권의 평화‧발전 효과에 관한 이론을 정리해보았다. 그에 바탕 을 두고 아래에서는 본 연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분

석 틀

을 제시하 고 있다. 본 연구주제를 인과관계 논리로 말한다면 분쟁 후 사회의 평화 프로세스가 만들어내는 인권‧평화 효과이다. <그

림 Ⅱ

-3>은

연구목적을 인과론으로 도

식화 한 것인데, 크게 독

립 변인과 매 개 변인, 그리고 종속 변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그림은 인과관계 를 논리적으로 제시하는 것이지, 실제 사례에서는 단선적이지 않고 평화 프로세스의 중단 혹은 역진을 포함해 나선형으로 전개되어 간 다. 먼저 종속 변인으로서의 평화‧인권효과를 토의하고 난 후에 독 립/매개 변인들을 살펴보도록 하자.

27)Jan Bachmann and Jana Hönke, “‘Peace and Security’ as Counterterrorism?

The Political Effects of Liberal Interventions in Kenya,” African Affairs, vol.

109, no. 434 (2010), pp. 97~114.

Ⅱ. 이론적 배경과 분석틀 41

<그림 Ⅱ-3> 평화의 인권

발전 효과에 대한 분석틀

종속 변인

인권·발전평화의 효과 독립 변인

정치 경제사회 국제

매개 변인 분쟁종식 형태분쟁당사자 참여 범위 제3자 개입

출처: 연구진 작성.

가. 종속 변인: 인권 ‧ 발전의 측정

분쟁 후 사회에서 평화의 인권‧발전 효과를 어떻게 파악하고 평 가할 것인가

? 이 질

문에 대한 답은 일단 분쟁을 종식한 분쟁 당사자 들이 평화협정에 인권과 발전 사

의 포함 여부 및 그 이행 정도에서 구할 수 있다. 평화협정에 인권과 발전 사

항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그것이 얼

마나 이행됐는지(양적 평가)와 의미 있는 이행인지(질적

평가)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오늘날

국제사회에서는 인권과 발전에 관한 규범과 그 구현 방법 이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다. 인권은 시민‧정치적 권리(일

명 자 유

권) 와 경제‧사회‧문화적 권리(일명 사회권)를 비

하여 폭넓은 범위에 서 국제 인권 규

약과 그 이행

‧감독기구 등 소위 국제 인권 레짐 (international human rights regime)이 확립되어 있다. 이런 보 편적 인권 규범도 분쟁 후 사회에서 나타나는 인권 실태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그러나 이런 평가는 해당 국제규범을 기

준으로 한 절

대적, 탈맥락적 평가의 한계를 노정할 수 있다. 분쟁 후 사회의 정치 경제적 상황, 특히 분쟁 종식의 형태와 평화 프로세스의 양상이 분 쟁 직후 사회의 인권 상황과 그 향방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42 평화의 인권발전 효과와 한반도

그러므로 분쟁 후 사회의 인권 평가는 평화 프로세스의 연장선상에 서 해당 사회의 제반 측면들을 고

려할 필요가 있다. 그중에서도 분

쟁이 분쟁 당사자들 간 타협에 의해 종식된 경우, 평화협정에 담긴 인권 관련 합의의 이행 여부와 그 맥락을 다루는 것이 평화의 인권

효과 분석

에 중요하다. 또 생명권, 안전권, 표현의 자유 등과 같은 기본권은 어

떤 유형의 분쟁 종식, 어떤 방식

의 평화 프로세스라고 하더라도 포함시켜 인권 효과를 공통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평화의 발전 효과 역시 국제사회에서 확립된 규범과 실행체계를

갖고 있다. 발전 개 념이 경제발전에서 사회발전, 인간발전으로 발전

하고, 이제는 지속가

능한 발전에 이르고 있다. 그리고 발전이 인권,

민주주의 등 인접 규범들과 이론은 물론 실천적으로도 상호관련성 이 깊어지고 있다. 이런 점들을 하나로 수렴해 유엔에서는 새천년에

즈음해 새천년발전목표(MDGs)를, 그 이후에는 이를 수정해 지속

능발전목표(SDGs), 그리고 최근 들어서는 포스트

-지속가능발전목 표(post-SDGs) 논의도 일어나고 있다. SDGs는 오늘날 각국의 관

과 참여하에 하나의 세계적 흐름이 되었다. 그러나 발전의 범위가

광범위하고 그 실

행에 막대한 재원이 필요하므로 발전의 평가에 관 한 문제가 제기된다.

특히 분쟁 후 사회에서 발전은 경제 재 건과 대중의 기 본적 필요

등에 초점을 둘 수

에 없기 때문에 SDGs 담론을 곧바로 적용해 평 가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분쟁 후 사회에서 평화의 발전 효과 역 시 평화협정에 담긴 관련 사항의 이행에 일차적인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여기에 국제적 차원에서 통용되는 기본적인 평가지수를 통 해 공통된 효과 분석을 할 수 있다. 이는 분쟁 후 사회의 맥락에도

유용할 뿐

아니라 관련 사례의 비

교 연

구에도 유용하다. 그 대표적 인 평가

척도가 인간발전지수(Human Development Index)이다.

Ⅱ. 이론적 배경과 분석틀 43

U

NDP가 운용하는 이 지수는 수

명, 소득

, 교육 등 간단하지만, 중요 한 세 영역으로 국가는 물론 세계적 차원의 기본적인 발전 현

황을

늠할 수 있다. 개 별 평화협정에 담 긴 발전 사항이 분쟁 후 사회의 특

수성을 반영한다면, 거기에 인간발전지수를 추가해 발전 논의의 보편성을 도모할 수 있다.

럼 분쟁 후 사회의 인권 및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검

토해보자.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이들 변인은 독립 변인과 매개 변인 으로 분

할 수 있고, 이들은 다시 대내 변인과 대외 변인으로 나누 어 토의해

볼 수 있을 것이다.

28)

나. 독립 변인: 정치 ‧ 경제 ‧ 사회 ‧ 국제적 요소

립 변인은 네 영역을 설정하였는데, 먼저 분쟁국의 대내적인 원 인들을 정치, 경제, 사회적 측면에서 검토하고 대외적 원인은 하나 로 묶어 논의할 것이다. 정치적 변인은 분쟁국의 정치체제 및 이

념,

권력 배분 형태, 다민

족/종교 국가의 경우 민족

및 종교 분포 등이 분쟁 및 평화에 미

친 영향을 말한다. 경제적 변인은 국가 차원의 경

제발전 수준과 분쟁 집단들 간 경제적 격차와 이해관계 등에 주목할 것이다. 국가 차원의 경제발전 수준은 그 자체로 정치적 갈등의 원 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집단 간 박탈감을 초래해 분쟁에 다양 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친다. 평화 프로세스는 분쟁 집단들이 그런 경제적 문제를 상호 수용 가능한 방식으로 해결할 정치적 대응에 나

설 때 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 변인은 분쟁의 심각성 혹은

장기화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

른 원인으로 작용한다. 분쟁국 내 사

28) 이하 독립 변인과 매개 변인 논의는 본 연구의 위탁과제 「평화 프로세스의 성패 요인 연구: 평화의 인권발전 효과를 중심으로」 최종보고회 발표 원고 (평화네트워크, 2021.9.28.), pp. 16~17을 수정 보완한 것인데, 이 논의 틀은 본 연구진이 사전에 설정한 것이다.

44 평화의 인권발전 효과와 한반도

회 균열은 종교, 이념, 계층, 역사, 지역 등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하 는데 그 원인이 많을수록, 그리고 균열 요인이 정치‧경제적 변인들 과 결합할 경우 분쟁을 격화 혹은 장기화 시

킬 수 있다. 그 반대인

경우 분쟁의 평화적 전환 가능성이

높아 질 것이다.

한편, 대

외적 변인은 분쟁 및 평화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치는 분

쟁 사회 외부의 영향을 말한다. 대외적 변인이 해당 분쟁의 발

생부 터

영향을 미치면 그 분쟁은 국제전으로 전개될 수 있고, 비록 내전 이라도 그 전개 과정에 제

3자가 개 입하면 ‘국제화된 내전

’으로 나아

수 있다. 국제전은 물론 내전의 경우에도 대외적 변인은 분쟁 사 회의 정치권력, 경제 자

원, 군사적 이 익 등 여러 측

면에서 외부세력 의 직간접적인 개입을 말한다. 다른 한편 평화 프로세스에서 대외적 변인은 분쟁의 평화적 전환을 촉구하는 국제여론이나 중재, 분쟁 종

및 평화정착을 도모할 경제 지원 혹은 협력, 그리고 다민

족 국가

의 경우 관련 특정 재외 민족 집단의 개입을 포함한다.

립 변인과 관련 있지만, 그와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분쟁 및 평화 프로세스의 배경을 들 수 있다. 본 논의에서 배경은 일

종의 초

기 조

건 혹은 원인(遠因)으로서, 분쟁의 역사적 배경과 그 전개 과

정, 주변 국가들과의 외교관계사 혹은 식민

통치의 경험, 산업

구조의 변천, 그리고 정치권력을 구성하는 민족 구성의 분포 등을 거론할 수 있다. 이들 분쟁의 배경은 평화 프로세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다고 보기 어려울 수 있다. 그

럼에도 분쟁, 분쟁 종식, 그리고 이후

평화 프로세스 등의 단계에서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안 정적이고 항구적인 평화구축의 관점에서는 고려할 가치가 있다.

다. 매개 변인: 분쟁 종식 형태와 참여, 그리고 제3자

한편, 평화 프로세스를 논의하면서 매개 변인은 사실에 대한 풍부

Ⅱ. 이론적 배경과 분석틀 45 한 서

술을 보장할 뿐

만 아니라, 인과관계를 정

확하게 논의하는 데도 유

용하다. 구체적으로 본 논의에서 주목하는 매개 변인은 분쟁 종식 의 형태, 분쟁 당사자들의 평화 프로세스 참여 범위, 그리고 제3자 의 개입 여부 및 그 역할로

정하고 있다.

첫째, 분쟁 종식의 형태는 크게 분쟁이 무

력행사에 의해 일방의

승리로 결정되는 형태와 협상으로 분쟁이 평화적으로 종식되는 형

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자에 의해 분쟁이 종식되고 평화 프로세 스가 개시될 경우 그 평화는 강요된 평화 혹은 불안전한 평화에 머무 를 것이다. 이 경우 평화 프로세스에서 현상적으로는 이탈, 역진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나 특정 정치 세력의 주도 혹은 배제로 소극적 평화 이상의 성과는 제한될 수 있다. 협상에 의한 분쟁 종식은 대개 그 형태를 떠나 평화협정 체결을 통해 평화구축으로 나아간다. 이는 일종의 타협에 의한 평화로 간주할 수 있는데, 타협의 완전성과 당 사자들의 참여 범위 등에 의해 평화 프로세스의 지속성과 안정성이 결정될 것이다. 만약 타협이 불완전하고 참여 범위가 부분적인 경우 평화협정의 타결에도 불구하고 평화 프로세스는 이행과 중단이 반

복될 수 있다. 이 렇

게 볼 때 분쟁 종식의 형태에 따라 평화 프로세스 의 전도가 달라질 수 있고, 어떤 경우이든 평화 프로세스는 단선적 이지 않고 복잡한 경로를 걸을 것이다.

두 번째 매개 변인은 분쟁 당사자들의 참여 범위이다. 많은 분쟁 의 경우, 특히 고

질적 분쟁의 경우는 분쟁 당사자들이 분화하여 다

수의 세력으로 나

누어진다. 그래서 평화 협상의 개시가 어렵거나,

협상이 시작

돼도 최종 합의까

지 시간이 걸린다. 평화협정이 타결되 어도 분쟁 당사자들 중 일부 세력, 주로 급진파가 불참할 경우 그 평화 프로세스는 불안정할 가

능성이 높다. 결국, 평화 프로세스의

본격 개시는 모 든 분쟁당사자들이 참여한 가운

데 타협을 볼 때 가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