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콜롬비아 평화 프로세스

탈냉전 이후 국가 단위의 충

과 전쟁의 양상은 줄고 국가 내부의 인

종, 종교, 사회적 문제 등 다양한 갈등이 심

화되고 있다. 국가 단 위의 전통 안보 개

념에서 비전통 안보 개 념인 인간안보의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다. 라

틴아메

리카 지역은 스페인 식민통치로 인해 백인 정복자와

지배자인

주민과의 억압과 착취의 역사를 기반으로

직접적

‧구조적 폭력이 재생산된 지역으로, 평화연구에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특히, 콜롬비아는 라틴아

메리 카 지역의 주요 폭

력 발

166 평화의 인권발전 효과와 한반도

국가로서 지

난 반세기 동안 정부군

, 좌‧우익 불법 무장조

직 등의 3

자 구도 속에 장기 내전을 겪었으며, 이로 인한 사회 내부의 인권

유 린

과 폭력이 일상화되었던 국가이다. 2000년 이후 정부군과 불법

장조직과의 더욱 가속화된 갈등은 단기간 내 세계최대 실향민과

민을 배출했다. 이러한 콜롬비아 내전은 201

6년 10월

마누엘 산토 스(Manuel Santos) 정권과 최대 무장조직인 콜롬비아 무장

혁명군

(Fuerzas Armadas Revolucionarias de Colombia: FARC)과의 평 화협정 체결과 무력분쟁 종식을 공식 선

언하였

다. 따라서 콜롬비아 평화협정은 분쟁을 종식하고 평화를 만들어가는 제도적 시발점이며 보장책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 절은 콜롬비아 평화협정 사례를 중심으로 이 지역에서의 내전의 폭력 양상과 평화 협정 체결과정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그리고 평화협정 이후 콜롬 비아 사회 내부의 평화 프로세스 진행 상황을 분석하여 콜롬비아 평 화 프로세스가 한반도 평화에 주는 함의를 찾고자 한다.

가. 콜롬비아 분쟁의 배경과 전개 (1) 콜롬비아 분쟁의 배경과 원인

(가) 토지소유권과 지역갈등

19세기 중반 라파엘 레

예스(Rafael Reyes) 보수 정권은 경제개발

과 산업화를 추진하며 수출상

품의 다각화를 위해 노

력하였다. 정부 는 전통적인 수

출상품

에서 벗어나 커

피 중심의 산업화를 중심

으로 토지개발에 집중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커피 재배지 확장을 목적 으로 밀림과 산악지역 불모지가 농민에게 분배되었다. 서부 산악지 역 안티오키아(Antioquia)를 중심으로 확장된 커피 경제는 콜롬비 아 경제의 중심이 동부에서 서부지역으로 이동하는 계기가 되었

Ⅲ. 네 평화 프로세스와 한반도 167 다.199) 즉, 커

피 재배지 팽창과 이동은 지역주의 강화와 함께

지역 분쟁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동부지역 지주계급은 카카오 재배와 면직물 수공업 중심의 자본 축적을 발전시켰다. 그러나 1850년 이후 카카오 생산 감소와 면직물 가격 하락으로 인해 지주들은 커

경제로 전환하였다. 대

농장 아시 엔다(Haciesda)가 발전한 산탄데르(Santander)와 쿤 디나마

르카 (Cundinamarca) 지역 지주계급은 경제적 부를 독점하기 위해 커

경작자와 수출업자로 변모하

였고, 이는 콜롬비아의 농장과 수 출업

이 대토지 소유자로부터

파생된 계기가 되었다.

1870년대

산탄데르와 쿤 디나마

르카 지역은 국내

커 피 생산의

80%를 차지하며 경제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

했다. 특히 쿤 디나 마르카

지역은 다양한 방식으로 노예제도와 유사한 커피 아시엔다 경제가 정착하였다. 백인 농장주는 비옥한 토지를 독점하였고 이러 한 과정에서 커

피 경작과 원

두 판매권을 두고 지주계

급과 소 농 사이

에 갈등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는 콜롬비아 토지소유권 분쟁의 기

원이 되었다. 19세기 중반 산탄테르와 쿤 디나 마르카

지역은 토지소

유권에 대한 폭력의 중 심지로 변모하였다. 당시 콜롬비아에서는 문

서화된 토지증서가 존재하지 않

았기 때문에 상인은 국가로부터

광 활한 불모지를 양도

받아 토지를 축적하였다. 이는 1920~1930년대 초

불모지 소유권을 두고 대농장주와 소작농, 상인 간에 무력 충돌 이 발생하게 된 원인이 되기도 하

였다.

토지분쟁은 1934~1936년 국가의 중요한 문제로 대두하

였다. 토

지소유권 갈등은 농민

운동과 공 산당의 형성에 영향을 미 쳤으며 급

진자유주의 세력의 개혁 사상에 토대가 되었다. 또한, 지역주의 강

199) 차경미, “21세기 라틴아메리카의 폭력과 평화: 콜롬비아의 평화협정을 통해 고찰한 불 법무장조직 등장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중심으로,” 뺷국제언어문학뺸, 제38호 (2017), p.

62.

168 평화의 인권발전 효과와 한반도

화와 함

께 자유와 보수 양당주의에 기초

한 정치적 분쟁을 야기하였 다. 동부 산탄데르와 쿤

디나 마르 카

지역은 자유당 지지 세력의 거점 으로 발전했으며, 서부의 안티오키아와 칼다스(Caldas) 지역은 보 수당 세력의 중심지로 성장하

였다.

200)

콜롬비아 정부는 경제개발이라는 명목하에 농민 토지에 대한 강

탈을 합법화하여 지주계급에게 특혜를 주었고 소작농은 폭력을 동

원하여 미개간 불모지를 개척함으로써

토지를 확보하게 되는 원인 을 제공하게 되었으며, 이는 결국 농민들이 신변 보호를 위한 자위 대를 조직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토지와 지역갈등은 정치폭력과 엘 리트 정치협약의 역사적 배경을 형성하고 있다.

(나) 양당정치의 갈등과 정치적 폭력

콜롬비아는 라틴아 메리카

지역 국가 중에서도 자유, 보수 양당제 를 기반으로 제도적 민주주의를 발전시

켜온 대표적 국가이다.

통적인 보수와 양당간의 갈등은 1946년 대선을 계기로 첨 예화

되었는데, 16년간의 자유당 집권이 막을 내리고 과거에 탄압받았던 보수당은 자

유당에 대한 보복

을 시작하였다. 이러한 양당의 갈등은 도시노동자의

절대 지지를 받았던 급진주의 지도자인 엘리에세르

가이탄(Jorge Eliecér Gaitán)의 암살로 민중의 분노로 표출되었으 며 이후 자

유당 파 정치인, 학생, 지식

인 등이 연합하여 불법 무장조

으로 발전되었다.201)

부는 도시를 중심으로 확산된 폭력 사태와 반정부 불법 무장조

200) 위의 글, p. 63; Daniel Pécaut and Orden y Violencia: Evolución Socio-Política de Colombia Entre 1930 y 1953 (Bogota: Grupo Editorial Norma, 2001), pp.

70~75.

201)차경미, “21세기 라틴아메리카의 폭력과 평화: 콜롬비아의 평화협정을 통해 고찰한 불법무장조직 등장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중심으로,” p. 64.

Ⅲ. 네 평화 프로세스와 한반도 169

의 활동을 계기로 정치적 개입을 시작하였다. 보수당의 사병으로 전락한 경

은 자유당에 대한 가혹한 폭력적 탄압에 동

원되었다. 자 유

파 불법

무장조

직의 활동은 점 차 확산되었고, 집권당은 폭

력 사 태에 대한 효과적인 진압을 목적으로 군과 경찰의 보수화를 진행하

였다. 자 유당 지지 군

부 세력은 자

당 시위진압에 군이 동원된 사

에 반발하여 훈련된 불법 무장단체를 조직하

다. 그 결과 군 내부의

갈등 관계가 형성되었다.

한편, 1958년 양당 갈등은 정치폭력으로 확산되면서 과두지배체 제의 위기를 몰고 왔다. 이는 자

유와 보수 진영의 양당 엘리 트 정치

약체제인 ‘국민전선(Frente Nacional)’

형성으로 이어져 엘리트 들의 독점 협약에 의한 폭력이 가중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로 정치적 가치 추구와는 관계가 먼 불법 무장조

직이 확

대 형성 되었다.202)

국민전선은 국민의 정치

참여를 극 히 제한하는 것으로, 엘리 트들

의 정치적 협

약으로 인해 제도적으로 정치적 독점은 강화되어 일시

적인 정치적 폭력은 중단되었으나, 도시 중간계

층과 지식인 중심

급진자유파는 정치적 참여에 대한 요구로 폭력 시위를 가중시 켰으

고, 이러한 과정은

좌 파계열 불법 무장조직

성장의 계기가 되었 다.203)

처럼 1940년대 중반 이후 정치폭력의 확산으로 인해 불법무장

직이 형성되었으며, 1958년 쿠바

혁명의 외부적 요인도 콜롬비아

장조직의 확산의 계기가 되었다. 콜롬비아 불법무장 조직은 차

츰 콜롬비아 정부를 위협하는 거대 조 직으로 확

대되면서 1980년대 마

조직과의 연계를 통해 중소도시를 거점으로 경제 부문까지 다양

202) 위의 글, p. 61.

203) 위의 글, p. 67.

170 평화의 인권발전 효과와 한반도

한 분

야에서 역할을 담당하 였으며, 암살, 납치 등을 비롯

한 석유,

광산 등 지하자원

의 약탈과 마약거래와 같은 지하경제 통제까지 그 영역을

대시켜 나갔다.204)

콜롬

비아 내전은 사실상 사상의 차이 및 국내적 패권 다

툼에서 비 롯

된 콜롬비아 정부와 콜롬비아 혁명군 사이의 무력 충돌로 규정할 수 있다. 1964년부터 시작된 이 분쟁은 상당히 높은 폭력 수

준을 유

지하다가 양측 사이의 평화협상이 진행되면서 다소 약화되었고 간

헐적인 교

전으로 진행되었다.

(2) 콜롬비아 반군의 형성과 내전의 전개

콜롬비아 내전은 정부와 비정부 간 분쟁이며, 여기에는 콜롬비아

정부와 불법 범죄조

직 간의 간헐

적인 무력 충돌이 포함된다. 다양한 형태의 무장 충돌이 나타났는데, 대표적인 것이 좌익 게

라 조직인

콜롬비아 혁명군(FARC) 대 콜롬비아 정부 간의 분쟁이다. 두 당사

자 간의 무력 충

돌은 콜롬비아 분쟁의 양상을 내전으로 규정지을 정

도로 대립의 크기가 가장 컸다.

FARC, 민족해방군(Ejercito de Liberacion Nacional: ELN) 등

장 게릴라 세력들은 콜롬비아에서 정치‧사회적으로 소외된 집단 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한 조직으로서 마르크스주의 정부 수립을 목 표로 1960년대 초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콜롬비아에서 활동했거나 활동 중인 주요 불법 무장조직은 1965년 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ELN과 1964년 결성된 FARC, 1967년 소련과 중국 분쟁의 영향인 공

당의 분열로 형성된 자유민중

(Ejercito Popular de Liberación

:

EP

L), 그리고 1973년 도시 지식

인을 중심으로 결성된 4월 19일 운 동(Movimiento de 9 de

Abril: M-19) 등이 있다.

205)

204) 위의 글, p. 67.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