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정치체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고,71) 각 변수들의 변화 방향 및 정도 그리고 결합관계에 의해 김 정일 정권의 변화 방향이 틀지워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72)
가. 북한정치체제 변화 변수
첫째, 정당성(합법성 Legitimacy)으로서, 정권에 대한 주민들의
자발적 동의 또는 일체감을 형성하는 대의명분적 요인이다. 정권의
71) 허문영, “북한의 생존전략과 진로: 부문별 정책방향과 체제변화 전망을 중심으로,” 「정책연구」, 통권 제132호(서울: 국가안보정책연구소, 1999 여름), pp.179~186.
72) 북한 정치체제의 단기 안정성(Stability)은 정당성과 통제성이, 장기 지 속성(Durability)은 유효성과 연대성을 포함한 4 요인이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등장이 기존 정치제도에서 규정하고 있는 방식에 기초하고 있는가와 관련된 요인으로서, 혁명적 수령관‧사회정치적생명체론‧후계자론과 같은 이데올로기 요인의 지속여부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둘째, 유효성(효율성: Effectiveness, Efficiency)으로서, 정권에
대한 주민들의 지지도를 높이는 물질보상적 요인이다. 당면과제를 얼 마나 잘 해결하는가와 관련된 요인으로서, 경제난(식량난‧생필품난‧
외화난‧에너지난)과 외교적 고립 그리고 안보위기감을 얼마나 잘 풀 어가는가와 관련된 정책적 요인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셋째, 통제성(강제성: Coerciveness)으로서, 정권에 대한 주민들 의 순종을 유도하고, 반발을 억제하는 강제적 요인이다. 정권이 얼마 나 체제 및 주민들을 잘 장악하고 있는가와 관련된 요인으로서, 김일 성 사망이후 통치권력구조의 변화 상황 분석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넷째, 연대성(Solidarity)으로서, 정권에 대한 외부 적대국가 및
정보의 침투를 억제하는 안전보장적 요인이다. 정권이 외부의 동맹 및 주변국가들로부터 얼마나 지지와 지원을 확보하고 있는가와 관련 된 요인으로서, 북한의 ‘국제혁명역량 강화노선’에 근거하여 사회주의
진영·자본주의진영·쁠럭불가담진영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
다.
나. 북한 정치체제의 변화 유형
첫째, 민중폭동이다. 현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북한 정치체제의 통제성과 정당성이 약화될 경우, 식량난을 비롯한 각종 경제적 난관 에 처해 있는 신민적 성격의 북한 주민들에 의한 ‘민중폭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둘째, 시민혁명이다. 현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북한 정치체제의
연대성과 정당성이 약화될 경우, 외부에 의한 정보유입으로 인해 시 민적 성격으로 북한 주민의 정치의식수준이 변화되는 동시에 체제에 대한 동질감(Identity) 상실에 빠진 북한 주민들에 의한 ‘시민혁명’이 일어날 수 있다.
셋째, 점진적 개혁정권 등장이다. 현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북한 정치체제의 연대성과 유효성이 약화될 경우, 이데올로기 지향의 보수 주의적 성격을 지닌 당료(黨僚)에 의한 정책결정‧집행에 반발감을 갖 고 있는 실리 지향의 개혁주의적 성격을 지닌 관료주도에 의한 ‘점진 적 개혁정권’이 등장할 수도 있다.
넷째, 군사쿠데타이다. 현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북한 정치체제의 통제성과 유효성이 약화될 경우, 김정일의 정권장악력이 이완되어 북 한 최대 무력집단인 군부에 의해 ‘군사쿠테타’가 일어날 가능성도 배 제할 수 없다. 그런데 이들이 조기에 권력을 장악하지 못할 경우, 입 지약화를 우려한 보수집단의 반동적 쿠데타에 의해 내전으로 치닫게 될 가능성도 있다.
다섯째, 김정일정권 지속이다. 현 난관을 김정일 정권이 잘 풀어가 유효성과 연대성을 제고할 경우, 김정일 체제가 안정적으로 지속할 가능성도 있다. 김정일은 인민적 지지와 국제적 인정을 확보하기 위 하여 대내‧외적으로 개혁과 개방정책을 조심스럽게 확산시켜 경제난 과 안보난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주변국가들이 김정일 정권을 근 본적으로 부정할 경우, 김일성 시대 보다 더욱 억압‧폐쇄적인 체제로 복귀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표 2> 북한정치체제 안정성 분석틀
정당성
민중폭동
통제성
군부 쿠데타
유효성
시민혁명 관료개혁
연대성
<표 3> 북한의 정치체제 변화 유형
요인
유형 민중폭동 시민 혁명 개혁 정권 군사 쿠데타
김정일정 권 지속
상황 정당성(-) 통제성(-)
정당성(-) 연대성(-)
유효성(-) 연대성(-)
유효성(-) 통제성(-)
유효성(+
) 연대성(+
) 주체 민중(인민) 시민(정치
각성적 인민) 관료 군부 김정일
방향 현상유지 전향 전향 전향 후향 전향
깊이 정권변화 근본적 체제변화
김정일정권하 부분적 체제변화
부분 적 체제 변화
현상 유지
부분적 변화
속도 급진 급진 점진 급진 점진 점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