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결론
가. 정량분석 검토의견
□
본 분석은 해앙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연구 개발을 위해 관련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고, 전 략적인 연구개발 계획 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복연구를 방지하고, 본 연구개발 과제 수행의 타당성에 대한 객관적인 특허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임1) 특허기술 Landscape
(1)
국가별Landscape분석 결과
□ 2002년부터 관련 특허의 출원이 확인되고 있으며, 2012년 이후 관련 특허의 출원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음. 이와 같은 특허 출원 동향은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에 대한 관 심이 높아지기 시작하여 관련 논문 발행이 증가한 시기와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됨□
다만, 전체적인 관련 특허의 출원 건수가 많지 않아, 특정 국가가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고 주 장하기는 어려움. 현재 건수를 바탕으로 검토 시, 전체적인 시장 흐름을 주도하는 국가는 미 국과 중국이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짐□ 분석구간 초기부터 전반적으로 중국 출원이 전체 특허 정량적 흐름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후
2014
년 이후부터 최근까지는 중국과 미국의 출원이 전체 특허 동향 형태의 주요한 원인으로 나타남□
중국(SIPO) 시장이 전체의 약52%를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29%), 유럽(12%), 한국(5%), 일본(3%)의 순으로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음□
한국의 경우 외국인 출원이29%를 차지하고 있으며 내국인에 의한 출원은 80%로 나타나고
있어, 한국 시장의 매력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보여지고 있음, 대부분의 국가에서 내국인의 출원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이는 기술 개발 초기 단계에서 일반적으로 내국인의 출원이 주도 하여 개발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결과인 것으로 판단되지만, 전체적인 관련 특허의 출원 건수 가 많지 않아, 아직은 기술이 탐색 단계에 있으며 상용화 단계는 아닌 것으로 판단됨(2)
기술시장 성장 단계 분석 결과□
포트폴리오로 나타낸 전체특허의 기술 위치는 전체특허의 기술 위치를 살펴보면 출원인수와 출원건수가 조금씩 성장하는 태동기를 거쳐 성장기로 전이하는 단계로 해석됨□
대부분의 국가에서 거동이 약간씩 불규칙하기는 하나 전체적인 흐름은 태동기 또는 태동기에 서 성장기로 전이하는 단계에 있는 것으로 보이며, 전체적인 출원 건수가 많지 않아, 향후 추 이를 조금 더 지켜보아야 할 것으로 보임(3)
경쟁자Landscape분석 결과
□
상위 출원인 추출 결과, UBIOME INC, DSM IP ASSETS BV 및BIOTA TECHNOLOGY INC
가 전체 다출원인1위로 나타났으며,
그 뒤를 이어UNIV CALIFORNIA, FRANHOFER USA INC
등이 이 분야에서 다수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특허출원증가율(5년 구간)을 살펴보면, 이전구간(2008년~20012년) 보다 최근구간(2013 년~2017년)의 특허출원이 급증한 기업 또는 기관으로, 미국의UBIOME INC (900%
증가), 및BIOTA TECHNOLOGY INC (900%
증가), 프랑스의ROUSSY INST GUSTAVE (600%
증가) 및 중국의
TIANJIN INST IND BIOTECHNOLOGY (500%
증가) 등으로 나타났음가) IP 부상도 분석 결과
□
최근과 이전구간 대비 출원증가율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236.4%의 출원증가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해양 마이크로바이옴 이용 기술에 대해 최근 많은 연구 개발이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최근과 이전구간 대비 출원 점유율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최근 구간의 점유율이61.3%로
나타났음. 이는 전반적으로 해양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이 최근에 활발하게 일어난다는 것을 시사함
□
최근과 이전구간 대비 외국인 점유율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140%의 특허시장확보력을 나
타내고 있음. 이는 해양 마이크로바이옴 기술의 경우 전체적으로 이전구간보다 최근구간에서 외국인 출원수가 증가하는 추세로 해당 기술의 시장매력도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결론적으로 해양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기술은 출원증가율이236.4%를,
최근 구간 출원점유 율이61.3%를,
특허시장확보력이140%를 나타내어 IP
부상도는4.6으로 높음으로 분석되
었음나) 정량분석 종합 검토의견
□
해양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기술 분야는 태동기를 거쳐 성장기로 전이하는 단계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IP 부상도가4.6으로 높음으로 분석되었으며,
시장진입 가능성 또는 용이할 것으로 판단되어, 새로운 기술의 적용을 유발시키는 최적의 시장 경쟁 상태로 평가되었음NEPSA 중 특허평가지표 평가점수
평가기준 및 정의 1 2 3 4 5
IP 부상도
정량적분석
(유효특허대상)
매우
낮음 낮음 보통 높음 매우
높음
나. 정성분석 검토의견
□
해양과학기술원에서 연구개 발하고자 하는 해양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기술이 어떠한 분 야에서 연구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음□
해양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기술은 주로 미생물군을 대상으로 하는 계통분석, 분석법 관련 기 술이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양식 관련 기술, 환경오염개선 관련 기술, 의약품, 식물 용 비료, 동물 사료 또는 사료용 첨가제 관련 기술에서 관련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 히, 최근2012년부터 양식 관련 기술에서 특허 출원이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음
다. 종합결론
□ 본 특허 분석 결과, 해당 기술의 향후 성장 추이를 살펴볼 때, 기술의 성장단계는 출원건수와 출원인수 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전체적인 출원 건수가 많지 않아, 태동기에서 태동기 말기 단계로 해석할 수 있음
□ 기술의 장벽도 및 신규 진입의 성공 가능성에 있어, 전체적인 출원 건수가 많지 않으며, 태동기에서 성 장기 초기 단계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어, 기술 진입에 있어 장벽도가 낮아, 신규 진입자의 성공 가능 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됨
□
전체적인 출원 흐름으로 볼 때 아직은 기술이 탐색 단계에 있으며 상용화 단계는 아닌 것으 로 판단되고, 기술 발전 단계도 태동기에서 성장기로 전환 단계에 있는 것으로 보이며, 전체 적으로 낮은 출원 건이 확인되고 있어, 해양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관련 기술은 특허의 원 천성 또한 충분히 담보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관련 기술 분야가 태동기에서 성장기 초기 단계인 것으로 분석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이는 해당 기술에 대한 시장성이 높고 장벽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해양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하는 기술에 대 한 연구 기획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됨
□ 해양마이크로바이옴 특성 또는 군집 정보 분석을 위한 분석 방법 등에 대한 기술에 대해 가장 많은 관 련 특허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아직까지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등과 관련한 관련 특허 출원이 활발하지는 않음
□ 다만, 제품화나 상용화가 빠른 양식 관련 기술(새우 양식 또는 어류 양식 등)의 출원이 중국에서 활발 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되어, 상용화 관점에서는 해당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을 우선으로 하는 것 도 고려해 볼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