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 정량 분석
2. IP 부상도 분석 가. 출원증가율 분석
소분류 이전구간 ('08~'12)
최근구간 ('13~'17)
출원증가율 (%)
한국 4 9 125.0%
미국 7 19 171.4%
일본 1 0 -100.0%
유럽 1 6 500.0%
중국 9 40 344.4%
총계 22 74 236.4%
<그림> 출원 증가율
□
해양 마이크로바이옴 이용 기술 전체에 대해서 최근과 이전구간 대비 출원증가율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236.4%의 출원증가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해양 마이크로바이옴 이용 기술
에 대해 최근 많은 연구개발이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출원 증가율로만 보았을 때는 한국과 중국이 유럽과 중국이 각각500%, 344%로 나타나
최근 구간에서 출원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증가율 외 관련 출원 건수고 확인했을 때는 중국, 미국, 한국의 순으로 출원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 석되었음나. 최근 출원 점유율 분석
분류 이전구간
('08~'12) 최근구간 ('13~'17) 전체구간 ('97~'17) 점유율(%)
총계 25 75 121 61.3%
<그림> 구간별 출원 점유율 분석
□
전체구간대비 최근 구간에서의 출원점유율을 살펴봄으로써 기술의 부상도를 살펴 볼 수 있음□
최근과 이전구간 대비 출원 점유율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최근 구간의 점유율이61.3%로
나타났음. 이는 전반적으로 해양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이 최근에 활발하게 일 어난다는 것을 시사함다. 특허 시장확보력 분석
<그림> 외국인의 점유율 변화
□
내외국인 출원점유율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최근구간에 외국인 출원점유율 변화를 통해 시장 확보력과 연구개발과제의 시장매력도를 살펴볼 수 있음□
이전구간은2008년~2012년,
최근구간은2013년~2017년으로 하여 외국인 점유율 변화를
분석함□
최근과 이전구간 대비 외국인 점유율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140%의 특허시장확보력을 나
타내고 있음. 이는 해양 마이크로바이옴 기술의 경우 전체적으로 이전구간보다 최근구간에서 외국인 출원수가 증가하는 추세로 해당 기술의 시장매력도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구분 KIPO USPTO JPO SIPO EPO 전체
외국인 2013~201
7 1 5 0 2 4 12
외국인 2008~201
2 0 3 1 0 1 5
특허시장확보력(%) 140.0%
라. IP 부상도 종합 결론
IP 부상도 판단 결과
IP 부상도 항목별 판단기준표 출원증가율
<이전구간대비증가율> *
출원 점유율 (해당기술전체건)
특허 시장확보력
국가별 외국인 출원증가율
<이전구간대비증가율>
IP 부상도 종합결론 T= (W+X+Y) / 3
(X) (Z) (Y)
5 증가율
81% 이상 5 점유율
71% 이상 5 증가율
80% 이상
4.6
4 증가율
61% ~ 80% 4 점유율
61% ~ 70% 4 증가율
51% ~ 79%
3 증가율
21% ~ 60% 3 점유율
21% ~ 60% 3 증가율
21% ~ 50%
2 증가율
1% ~ 20% 2 점유율
11% ~ 20% 2 증가율
1% ~ 20%
1 증가율
0% 이하 1 점유율
0% ~ 10% 1 증가율
0% 이하
* 기준 구간 설정: 2014 산업분야별 도출된 TCT값 적용(TCT 4년)
- TCT(Technology Cycle Time:기술분야 인용특허들의 중간값을 계산하여 기술분야의 기술순환주기 측정) - 단, TCT값이 5년 이상인 경우는 5년을 최대 구간으로 설정함
1) 출원증가율(X)
= ( 최근구간 특허출원건수 – 이전구간 특허출원건수
) × 100 (%)
이전구간 특허출원건수
2) 출원 점유율(Y)
3) 특허 시장확보력 (Z)
= ( 해당기술 건(최근구간)
) × 100 (%)
대분류상 전체 건(전체년도)
특허평가지표 평가점수
평가기준 및 정의 1 2 3 4 5 비고
․ IP 부상도
-
정량적분석(유효특허대상)
매우
낮음 낮음 보통 높음 매우
높음
기대성과와 비례관계
= ( 최근구간 외국인 특허출원건수 – 이전구간 외국인 특허출원건수
) × 100 (%) 이전구간 외국인 특허출원건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