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교양 영역
항목 교양 총점
교육목표 부합정도
강의계획 내용요소
측면
강의계획 운영요소
측면
계명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1 3.0 2.9 9.0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2.9 3.3 3.7 9.8
34 교양교과목 내용 분석과 그 내실화 방안 연구
대학 교양 영역
항목 교양 총점
교육목표 부합정도
강의계획 내용요소
측면
강의계획 운영요소
측면
상명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1 3.0 3.0 9.1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3 3.5 2.9 9.7
서울여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0 2.9 2.9 8.8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2 3.1 2.8 9.1
성균관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5 3.5 3.3 10.3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3 3.4 3.3 9.9
숭실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4 3.2 2.9 9.5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3 3.5 3.2 10.0
안동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2.9 2.7 2.9 8.5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2 3.4 3.4 10.0
울산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5 3.4 3.3 10.2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5 3.7 3.7 10.8
충북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3 3.1 3.1 9.5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1 3.2 2.9 9.2
한동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3 2.3 2.5 8.1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 - - -
한림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0 2.8 3.0 8.8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1 3.2 3.3 9.5
한양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2 3.0 3.1 9.2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3 3.5 3.2 10.0
2) 강의계획 내용요소 세부결과
강의계획 내용요소 세부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영역의 경우, 핵심성의 점수 분포는 2.5~3.5점으로 평균은 3.1점이고, 보편성의 점수 분포는 2.3~3.4 점으로 평균은 3.0점이고, 총체성의 점수 분포는 2.3~3.5점으로 평균은 2.9점이고, 현실
대학명 교양 영역 강의계획 내용요소 항목
핵심성 보편성 총체성 현실성 요소합계 계명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2.9 3.0 2.9 3.1 11.9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2 3.5 3.0 3.5 13.2
상명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1 3.0 2.9 3.1 12.1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1 3.5 3.4 3.8 13.8
서울여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2.8 2.9 2.8 3.1 11.6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2 3.3 2.9 3.0 12.4
성균관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5 3.4 3.4 3.5 13.9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3 3.5 3.2 3.6 28.6
숭실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4 3.3 3.1 3.1 13.0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4 3.6 3.5 3.5 14.0 안동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2.8 2.7 2.6 2.7 10.8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1 3.5 3.3 3.7 13.6
울산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5 3.2 3.5 3.6 13.7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0 4.0 4.0 3.7 14.7 충북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3 3.2 3.0 2.8 12.2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1 3.0 3.2 3.3 12.6 성의 점수 분포는 2.4~3.6점으로 평균은 3.0점이며, 모든 항목 총점의 점수 분포는 9.4~13.9점으로 평균은 12.0점이다.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영역의 경우, 핵심성의 점수 분포는 3.0~3.9점으로 평균은 3.3점이고, 보편성의 점수 분포는 3.0~4.0점으로 평균은 3.5점이고, 총체성의 점수 분포 는 2.9~4.0점으로 평균은 3.3점이고, 현실성의 점수 분포는 3.0~3.8점으로 평균은 3.5 점이며, 모든 항목 총점의 점수 분포는 12.4~28.6점으로 평균은 15.0점이다.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영역의 과목이 없는 한동대를 제외하고, 모든 대학의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영역의 총점이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영역의 총점보다 높았다.
<표 9> 강의계획 내용요소 세부결과
36 교양교과목 내용 분석과 그 내실화 방안 연구
대학명 교양 영역 강의계획 내용요소 항목
핵심성 보편성 총체성 현실성 요소합계 한동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2.5 2.3 2.3 2.4 9.4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 - - - -
한림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0 2.7 2.6 2.8 11.0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2 3.2 3.1 3.2 12.7
한양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2.9 3.0 3.0 3.1 12.0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9 3.4 3.3 3.4 13.9
3) 강의계획 운영요소 세부결과
강의계획 운영요소 세부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영역의 경우, 구성의 충실성의 점수 분포는 2.5~3.7점으로 평균은 3.0점이고, 주차별 주제 편성의 정 합성의 점수 분포는 2.5~3.5점으로 평균은 3.0점이고, 학습자요구의 부합성의 점수 분포 는 2.4~3.4점으로 평균은 3.0점이고, 교수 학습 활동의 적합성의 점수 분포는 2.5~3.2점 으로 평균은 2.9점이고, 평가 방식의 적절성의 점수 분포는 2.4~3.3점으로 평균은 2.9점 이며, 모든 항목 총점의 점수 분포는 12.3~16.5점으로 평균은 14.9점이다.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영역의 경우, 구성의 충실성의 점수 분포는 2.4~4.0점으로 평균은 3.3점이고, 주차별 주제 편성의 정합성의 점수 분포는 3.0~4.2점으로 평균은 3.4 점이고, 학습자요구의 부합성의 점수 분포는 2.7~3.5점으로 평균은 3.2점이고, 교수 학 습 활동의 적합성의 점수 분포는 2.8~4.0점으로 평균은 3.2점이고, 평가 방식의 적절성 의 점수 분포는 2.7~3.7점으로 평균은 3.1점이며, 모든 항목 총점의 점수 분포는 14.1~18.5점으로 평균은 16.2점이다.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영역의 과목이 없는 한동대를 제외하고, 상명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그리고 충북대의 경우,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영역의 총점이 자연 및 과 학에 관한 탐구 영역의 총점보다 높았다. 하지만 이를 제외한 나머지 대학의 경우,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영역의 총점이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영역의 총점보다 높았다.
<표 10> 강의계획 운영요소 세부결과
대학명 교양 영역
강의계획 운영요소 항목
구성의 충실성
주차별 주제 편성의 정합성
학습자 요구의 부합성
교수 학습 활동의 적합성
평가 방식의 적절성
총점
계명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2.6 2.7 3.4 3.0 3.0 14.6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4.0 4.2 3.3 3.5 3.5 18.5
상명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2.9 2.9 3.2 2.9 2.9 14.8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2.8 3.4 3.0 2.8 2.7 14.7
서울여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0 2.9 3.0 2.7 2.9 14.5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2.4 3.0 2.9 2.9 2.9 14.1
성균관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3 3.5 3.3 3.1 3.3 16.5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3 3.2 3.4 3.4 3.1 16.4
숭실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0 3.2 2.9 2.7 2.6 14.3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4 3.4 3.4 3.0 2.8 16.0
안동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0 2.9 2.9 2.9 3.1 14.7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6 3.3 3.5 3.3 3.0 16.8
울산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7 3.5 3.2 3.2 2.8 16.4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4.0 3.3 3.3 4.0 3.7 18.3
충북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2 3.1 3.2 3.1 3.1 15.6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2.9 3.0 2.7 3.0 3.1 14.7
한동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2.5 2.5 2.4 2.5 2.4 12.3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 - - - - -
한림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1 2.9 3.0 3.0 3.2 15.2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5 3.4 2.9 3.2 3.2 16.3
한양대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3.2 3.2 3.0 3.0 2.9 15.3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3.3 3.3 3.4 3.2 2.8 16.0
38 교양교과목 내용 분석과 그 내실화 방안 연구
2 대학별 결과
1) 계명대
계명대학교의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자연 및 과학에 대한 탐구 교양영역에 해당 하는 교과목 6개에 대해 교양교육의 목표의 부합정도, 강의계획의 내용요소, 강의계획의 운영요소 영역별 전문가 검토 결과는 위에 제시된 표와 같다. 교양교육 목표의 부합정도는
‘세계화 시대의 한국인과 한국문화’교과가 3.4로 가장 높았으며, 6개 교과목의 평균은 3.03이었다. 강의계획서에 제시된 내용요소 측면에서는 ‘미생물의 세계’ 교과목이 13.7로 가장 높았으며, 평균 12.32 정도로 평가되었다. 강의계획서에 나타난 교과목 운영요소 측 면의 평가에서는 역시 ‘미생물의 세계’ 교과가 18.6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 균은 15.88로 나타났다. 운영요소 측면의 평가에 있어서 교과목가 편차가 다른 영역에 비 해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표 11> 계명대학교의 교양교과목별 전문가 검토 결과
과목명
항목
총점 교양
교육 목표 부합 정도
강의계획 내용요소 측면 강의계획 운영요소 측면
핵심성 보편성 총체성 현실성 요소 합계
구성의 충실성
주차별 주제 편성의 정합성
학습자 요구의 부합성
교수 학습 활동의 적합성
평가 방식의 적절성
요소 합계
대중음악과 문화 2.9 3.0 2.5 3.0 3.0 11.5 2.5 2.5 2.8 2.8 2.8 13.4 27.8 비교문화론 3.2 3.0 3.0 2.7 3.3 12.0 2.7 2.7 3.7 3.0 2.7 14.8 30.0 세계화 시대의
한국인과 한국문화 3.4 2.7 3.3 3.7 3.3 13.0 3.3 3.3 3.7 3.3 3.3 16.9 33.3 한일비교문화론 3.0 3.0 3.0 2.3 2.7 11.0 2.0 2.3 3.3 2.7 3.0 13.3 27.3 미생물의 세계 2.8 3.7 3.3 3.0 3.7 13.7 4.0 4.3 3.3 3.7 3.3 18.6 35.1 식품과 과학 2.9 2.7 3.7 3.0 3.3 12.7 4.0 4.0 3.3 3.7 3.7 18.3 33.9
과목명
항목
총점 교양
교육 목표 부합 정도
강의계획 내용요소 측면 강의계획 운영요소 측면
핵심성 보편성 총체성 현실성 요소 합계
구성의 충실성
주차별 주제 편성의 정합성
학습자 요구의 부합성
교수 학습 활동의 적합성
평가 방식의 적절성
요소 합계 21세기
산업디자인 문화 2.5 2.3 2.5 2.3 2.5 9.6 2.5 3.0 2.8 2.8 2.8 13.9 26.0 기호학과
문화읽기 3.4 3.0 3.5 4.0 3.0 13.5 3.0 2.5 3.5 2.5 2.5 14.0 30.9 다문화사회와
문화 상호주의 3.5 3.0 2.7 3.3 4.0 13.0 2.3 2.7 3.3 3.0 2.7 14.0 30.5 대중문화와 영화 2.8 3.0 3.0 3.0 3.3 12.3 3.0 3.0 3.3 3.3 3.0 15.6 30.7
대중문화와
인간의 삶 3.2 3.0 3.3 3.0 4.0 13.3 2.0 2.7 3.0 2.7 2.7 13.1 29.6 동아시아 역사
속의 한국문화 3.4 3.0 3.0 2.0 3.0 11.0 2.0 2.5 2.0 2.5 2.5 11.5 25.9 문학과 대중문화 3.1 3.0 3.0 3.0 3.0 12.0 3.3 3.0 3.5 3.3 3.5 16.6 31.7
문화로 보는
세계사 3.8 4.0 4.0 4.0 3.5 15.5 4.0 4.0 4.0 4.0 4.0 20.0 39.3 문화와 복식 2.6 2.3 2.0 2.3 3.0 9.6 2.3 2.7 3.0 2.7 2.7 13.4 25.6
2) 상명대
상명대학교의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자연 및 과학에 대한 탐구 교양영역에 해당 하는 교과목 27개에 대해 교양교육의 목표의 부합정도, 강의계획의 내용요소, 강의계획의 운영요소 영역별 전문가 검토 결과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교양교육 목표의 부합정도 는 ‘문화로 보는 세계사’와 ‘종교로 문화읽기’ 교과가 3.8로 가장 높았으며, 27개 교과목의 평균은 3.19였다. 강의계획서에 제시된 내용요소 측면에서도 ‘종교로 문화 읽기’ 교과목이 16.0을로 가장 높았으며, 평균 12.65 정도로 평가되었다. 강의계획서에 나타난 교과목 운 영요소 측면의 평가에서는 ‘문화로 보는 세계사’ 교과가 20.0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 났으며, 평균은 14.75로 나타났다. 상명대의 경우에는 ‘문화로 보는 세계사’와 ‘종교로 문 화읽기’ 두 교과목이 교양교육 목표의 부합성, 강의계획서의 내용요소 및 운영요소 측면에 서 높은 평가를 받은 교과목이라 할 수 있다.
<표 12> 상명대학교의 교양교과목별 전문가 검토 결과
40 교양교과목 내용 분석과 그 내실화 방안 연구
과목명
항목
총점 교양
교육 목표 부합 정도
강의계획 내용요소 측면 강의계획 운영요소 측면
핵심성 보편성 총체성 현실성 요소 합계
구성의 충실성
주차별 주제 편성의 정합성
학습자 요구의 부합성
교수 학습 활동의 적합성
평가 방식의 적절성
요소 합계
세계음악과 문화 2.6 3.0 2.5 2.5 2.8 10.8 2.5 2.5 3.0 2.8 2.8 13.6 27.0 수학과 문명 3.3 3.5 3.5 2.5 2.5 12.0 2.5 2.5 3.0 2.0 2.5 12.5 27.8 시각 예술과
문화 3.3 3.3 3.0 3.3 3.3 12.9 3.5 3.3 3.0 3.0 2.8 15.6 31.8 연극으로 본
문화의 역사 3.0 3.0 2.5 3.0 3.0 11.5 3.0 2.5 3.3 3.0 3.0 14.8 29.3 종교로 문화
읽기 3.8 4.0 4.5 3.5 4.0 16.0 4.0 4.0 4.0 3.0 3.0 18.0 37.8 한국 미술
문화의 이해 2.7 3.0 2.8 2.3 2.0 10.1 2.5 3.0 2.8 2.5 2.0 12.8 25.6 한국문화학습 3.4 3.0 2.7 2.7 3.3 11.7 3.0 3.0 3.7 2.7 3.0 15.4 30.5 한중일의 문화
비교 2.9 3.0 2.7 2.7 2.7 11.1 2.3 2.3 3.0 2.7 3.0 13.3 27.3 현대음악과 문화 2.9 2.8 3.0 2.8 2.8 11.4 3.8 3.3 3.5 3.5 3.3 17.4 31.7 과학기술과 환경 3.6 3.0 4.0 3.0 3.7 13.7 2.7 3.3 2.7 2.7 2.3 13.7 31.0
과학의 철학적
이해 3.7 3.3 4.0 3.7 3.7 14.7 3.0 3.7 3.0 3.0 3.0 15.7 34.1 물의 과학 3.0 2.3 3.0 3.3 3.7 12.3 2.7 3.3 2.7 2.3 2.3 13.3 28.6 생명과학의 이해 3.2 3.7 3.7 4.0 4.0 15.4 2.7 3.0 3.3 2.7 2.7 14.4 33.0
생태문화와
에코토피아 3.2 3.0 3.3 4.0 3.7 14.0 3.7 3.7 3.7 3.7 3.3 18.1 35.3 생활 속의
미생물 2.7 3.0 2.7 2.7 3.7 12.1 2.3 2.7 2.7 2.7 2.7 13.1 27.9 에너지와
녹색산업 3.2 2.7 3.7 3.0 4.0 13.4 2.7 3.3 3.0 2.7 2.3 14.0 30.6 자연과학의 세계 3.6 4.3 3.7 4.0 3.3 15.3 3.0 4.0 3.3 3.0 2.7 16.0 34.9 환경과 공해 3.6 3.0 3.0 3.0 4.3 13.3 2.7 3.3 3.0 2.7 2.7 14.4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