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기빙코리아의 주요한 연구주제 중 하나는 한국 공인법인의 리더십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리더십에 대한 논의는 2017년부터 이루어져왔는데, 본 연구에서 는 최고관리자와 이사회의 전반적 특성2)뿐만 아니라, 리더십의 특성과 조직의 투명성 간의 관계에 대해서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1. 최고관리자의 경력과 투명성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최고관리자와 관련하여 최근 비영리부문에서는 영리부문에서의 경력을 지닌 전문 가들이 활동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비영리조직 활동의 효율 성과 전문성을 강조하면서 보편화되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비영리조직이 지니는 사회적 또는 공공의 가치를 저해할 가능성에 대해 지적되기도 한다.
표 39. 비영리조직 최고관리자의 경력에 따른 투명성 수준의 차이
구성요인 CEO 경력 N 평균값 SD F값
윤리규정 실행정도
영리+비영리 35 2.80 1.71
1.013
순수비영리 96 2.22 1.93
순수영리 70 2.23 1.92
기타혼합 74 2.47 1.89
정보공개 수준
영리+비영리 35 9.54 3.06
2.119
순수비영리 96 10.24 3.63
순수영리 70 9.24 3.55
기타혼합 74 10.51 2.96
<표 39>는 최고관리자의 영리 또는 비영리분야에서의 경력이 조직의 투명성과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결과를 제시한다. 우선 본 연구는 비영리조직의 최고관리자가 해당 조직 의 최고관리자로 활동하기 이전 경력을 순수하게 영리부문에서만 활동한 경우, 순수하 게 비영리부문에서 활동한 경우, 영리와 비영리부문에서의 경력을 동시에 경험한 경우, 그리고 영리, 비영리뿐만 아니라 공공부문에서 경험이 모두 혼합되어 있는 경우로 구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경력유형이 투명성 수준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정보공개수단의 활용도와 상호작용 수단의 활용도의 경우 최고관리자의 이전 경력유 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 두 가지 투명성 요인은 모두 순수하게 비영리부 문에서만 활동하였던 최고관리자가 있는 조직의 경우에 높은 활용도를 보였으며, 순수 하게 영리부문에서만 활동하다가 현재 해당법인의 최고관리자로 활동하는 경우 가장 낮 은 수준의 수단 활용도를 보여주었다. 이외의 다른 투명성 요인들은 최고관리자의 경력 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정보공개의 수준과 반응성의 경우 순수하 게 비영리분야에서의 경력만 있는 경우 그리고 영리와 비영리부문에서 모두 경험이 있 는 경우 순수하게 영리에서의 경험만 있는 경우보다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구성요인 CEO 경력 N 평균값 SD F값
정보공개수단 활용도
영리+비영리 35 3.97 1.72
7.271**
순수비영리 96 4.02 1.90
순수영리 70 2.80 1.85
기타혼합 74 3.95 1.78
상호작용수단 활용도
영리+비영리 35 5.06 1.47
2.889*
순수비영리 96 5.44 1.58
순수영리 70 4.70 1.95
기타혼합 74 5.31 1.59
반응성
영리+비영리 35 4.94 2.00
2.328
순수비영리 96 4.85 2.03
순수영리 70 4.17 2.04
기타혼합 74 4.96 2.04
이러한 결과는 비영리조직의 문화나 가치 등에 익숙한 최고관리자가 여전히 비영리 조직의 투명성과 관련된 활동을 보다 강조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영리조 직에서의 경험을 통한 전문성이 실질적으로 비영리조직의 문화나 가치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조직의 투명성과 관련된 활동을 수행하는데 소극적일 수 있다는 점을 간접적 으로 보여준다. 다만 윤리규정의 실행수준은 다른 결과와는 다르게 순수하게 비영리 조직에서만 활동했거나 순수하게 영리부문에서만 활동했던 최고관리자가 있는 법인 의 경우 유사하게 낮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윤리규정의 실행정도 역시 영리와 비영리 부문에서 모두 경력이 있는 경우가 가장 높았다.
<표 39>의 결과는 비영리조직의 투명성 수준은 최고관리자의 비영리부문에서의 경 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영리와 비영리부문에서의 경력이 있는 최고관리자의 영리부문에서의 활동기간과 비 영리부문에서의 활동기간 중 어느 부문에서의 경력이 더 긴가로 구분하여 투명성 수 준이 차이가 나는지를 분석하였다. <표 40>을 보면 정보공개의 수단 활용정도와 상호 작용수단의 활용정도 모두 비영리부문에서의 경력이 더 긴 최고관리자가 있는 비영리 조직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 <표 39>에서 보여준 결과와 마찬가지로 정보공개의 수 준과 반응성 역시 그 차이가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비영리부문에서의 활동기간이 길 었던 최고관리자가 있는 비영리조직의 경우 평균값이 다소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합적으로 고려하면, 비영리조직 최고관리자의 비영리부문에서의 활 동경험이나 활동기간이 조직의 투명성의 수준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는데 이는 적어도 비영리부문에서의 활동을 통해 비영리조직에서의 투명성의 중요성 또는 비영리조직이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 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추론해볼 수 있다.
표 40. 최고관리자의 경력기간에 따른 투명성 수준의 차이
2. 이사회의 구성은 투명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비영리조직의 이사회는 최고관리자와 함께 조직의 운영과 성과와 관련하여 중요하 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법률적으로 최고의사결정기구로서 이사회 는 그 구성에 있어서 이해관계를 반영할 수 있도록 다양성을 지녀야 하며, 특히 법인 설립과 관련하여 법인출연자 및 출연자의 친인척이나 배우자 등 특수관계자의 구성비 율이 제한된다.3) 이는 법인의 운영과 관련하여 개방성, 투명성 및 공공성 등을 확보하 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이기도 하다.
3)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공익법인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2조(특수관계자의 범위) 참고할 것
구성요인 CEO 경력2 N 평균값 SD t 값
윤리규정 실행노력
비영리>영리 88 2.33 1.95
-.294 비영리<영리 107 2.41 1.91
정보공개 수준
비영리>영리 88 10.51 3.41
1.864 비영리<영리 107 9.61 3.34
정보공개수단 활용도
비영리>영리 88 4.32 1.75
4.124**
비영리<영리 107 3.22 1.92 상호작용수단
활용도
비영리>영리 88 5.48 1.52
2.544* 비영리<영리 107 4.85 1.86
반응성
비영리>영리 88 4.90 1.99
1.185 비영리<영리 107 4.55 2.06
표 41. 이사회 내 특수관계자 포함여부에 따른 투명성 수준의 차이
<표 41>은 이사회 내 이사로 특수관계자가 포함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영리 조직의 투명성의 수준이 차이가 나는지를 분석한 결과이다. 윤리규정의 실행수준, 정 보공개수단의 활용도 및 상호작용수단의 활용도라는 요인은 이사회 내에 특수관계자가 없는 법인의 경우 평균값이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이었다. 이 결과는 이사회가 의사결정 과 관련하여 특수한 이해가 반영될 수 있는 친인척이나 출연자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관계에 있는 사람을 포함하는 경우 투명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구성요인 이사회구성 N 평균값 SD t 값
윤리규정 특수관계자없음 199 2.51 1.92
2.213* 실행수준 특수관계자있음 73 1.95 1.75
정보공개 특수관계자없음 199 10.07 3.45
.730
수준 특수관계자있음 73 9.73 3.23
정보공개수단 특수관계자없음 199 3.93 1.91
3.970**
활용도 특수관계자있음 73 2.93 1.63
상호작용수단 특수관계자없음 199 5.35 1.57
3.163**
활용도 특수관계자있음 73 4.63 1.92
반응성 특수관계자없음 199 4.77 2.01
.886 특수관계자있음 73 4.52 2.04
표 42. 이사회 내 최고관리자 참여여부에 따른 투명성 수준의 차이
<표 42>는 최고관리자가 이사로 참여하는가의 여부에 따른 투명성의 수준이 차이가 나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고관리자는 조직의 실질적인 운영을 담당하 고, 이사회의 경우는 최고관리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주요한 사항들을 결정하지만, 최고관리자를 임면을 결정하기 때문에 비영리조직의 리더십에 있어서 견제와 균형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 분석결과를 보면 최고관리자가 없는 경우 정보공개수단과 상호 작용 수단의 활용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 결과는 비영리조직의 운영과 관련하 여 주요한 두 가지 리더십이 독립적으로 활동하며 견제와 균형을 이룰 수 있을 때 법 인의 투명성이 일정정도 확보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표 43>은 우선 이사회 구성의 다양성, 즉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 했는지의 정도와 투명성의 수준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또한 이 표는 최고관리자와 이사 회가 다양한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정도와 투명성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결과를 보여준다. 우선 이사회 구성의 다양성은 모든 투명성의 구성요인들과 유의미한 상관관 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즉 이사회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로 구성될수록 투명성의 수준 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 지적하는 바와 일관된 결과이다.
구성요인 이사회구성 N 평균값 SD t 값
윤리규정 CEO 없음 115 2.40 1.88
.265 실행수준 CEO 있음 151 2.34 1.91
정보공개 CEO 없음 115 10.23 2.85
1.139
수준 CEO 있음 151 9.76 3.70
정보공개수단 CEO 없음 115 4.29 1.79
4.475**
활용도 CEO 있음 151 3.27 1.87
상호작용수단 CEO 없음 115 5.63 1.27
3.881**
활용도 CEO 있음 151 4.84 1.87
반응성 CEO 없음 115 3.88 2.04
-.812 CEO 있음 151 4.08 2.01
표 43. 최고관리자와 이사회의 역할수행정도와 투명성 수준간 관계
최고관리자와 이사회의 역할수행 정도는 기본적으로 조직내부의 관리와 관련된 내 부지향적 역할과 조직 외부환경과의 관계형성과 관련된 외부지향적 역할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비영리조직의 리더십은 외부지향적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 하는 경우 모금활동과 관련된 성과를 이끌어내며, 외부로부터 지지를 확보할 수 있다 고 지적된다. <표 43>의 결과는 최고관리자와 이사회 모두 내부지향적 역할과 외부지 향적 역할 수행의 정도가 전반적으로 투명성의 구성요인들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이사회와 최고관리자가 법인의 운영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 으로 활동하는 것이 투명성의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구성요인
CEO 이사회
내부지향 역할
외부지향 역할
내부지향 역할
외부지향 역할
구성 다양성 윤리규정실행수준 .205** .310** .304** .223** .154* 정보공개수준 .091 .134* .165** .153* .140* 정보공개수단 활용도 .262** .278** .020 .040 .206**
상호작용수단 활용도 .240** .269** .115 .063 .205**
반응성 .249** .307** .304** .205** .0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