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년간 총 400억원 규모
구분 소요예산(억원)
세부과제 세부과제의 내용 1단계 2단계 3단계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합계
용존 영양염류 센서 개발
질산염 측정센서
개발 5 5 5 4 4 4 27
인산염 측정센서
개발 4 4 4 3 3 3 21
규산염 측정센서
개발 3 3 3 2 2 13
암모니아 측정센서
개발 3 3 3 2 2 13
용존기체 및 정밀 pH 센서 개발
용존산소 광섬유
다발 센서개발 6 6 6 5 5 28
pCO2 센서 개발 5 5 5 3 3 3 24 정밀 pH 센서 개발 5 5 5 4 4 4 27 동·식물
플랑크톤 센서 개발
색소 센서 개발 5 5 5 4 4 4 4 31
플랑크톤 영상센서
개발 5 5 5 5 4 4 4 32
유전자 센서 개발
HAB 검출 센서
개발 5 5 5 5 4 4 4 4 36
병원체 검출 센서
개발 5 5 4 4 4 3 3 28
현장 실증 테스트 베드 구축 운영
개발된 센서의 현장
성능 검증 10 10 10 10 10 10 10 10 10 90 현장 플랫포옴
운영기술 개발 5 5 5 5 5 5 30
합계 24 34 37 53 60 58 47 38 28 21 400
[표 3-2] 연차별 소요예산
V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1 활용방안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형태의 해양관측망 구축을 통해 보다 운용해양학 기반의 실시간 해양관측을 구현하고, 해양환경 예보의 정확도를 제고
○ 이제까지 해양에서 실시간 상시 측정이 불가능했던 생물, 화학 항목의 관측을 실현함으로써 해양의 현상태와 추세를 정확하게 파악
○ 해양환경, 생태계 요소의 실시간 관측에 필요한 새로운 센서의 상용화를 통해 관련기술을 기업에 이전
○ 해양관측장비를 제조하는 국내 기업을 지원하고 연구개발을 통해 축적된 기술 을 첨단 해양장비 개발에 활용
2 기대효과
○ 전세계해양관측망(GOOS)의 기본원칙인 ①장기적, ②체계적, ③비용효과적 (cost- effective), ④상시(routine) 해양환경관측을 실현함으로써 해양환경변화 및 추세를 정확히 예측하는 최첨단 기술수준 확보
○ 해양에서의 환경변화를 보다 신속히 탐지하고 적시에 예측하는데 필요한 자료 와 정보를 제공
○ 선도기술을 보유한 대학, 연구소, 민간기업간의 공동연구를 통하여 핵심요소 기술들을 개발함으로써 국제 경쟁력 있는 해양관측 센서의 상용화
○ 산업과 기술간 융합을 통해 새로운 시장과 성장동력을 창출함으로써 해양분야 창조경제의 성공 사례 제시
○ 낮은 농도, 생물오손(biofouling), 진동, 부식성 등 극한 환경을 극복함으로써 해양관측망의 운영 노력 절감
참고문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8. 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09-13).
김영기, 박성택, 이승준, 2007.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RFID 활용 사례 연구, 상업과
경영 , 19(2): 189-200. 충북대학교.
김창수, 김진미, 배승조, 우상민, 김학영. 2004.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위한 서비스
인프라 구축 관리 기술. 전자통신동향분석 19(5): 9-20.
이장재, 2013. 창조경제와 정부의 역할. 과학과 기술 2013년 5월호 31-33p.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1. 2011년도 국내외 RFID/USN 산업동향 보고서. 36pp.
하원규, 2003. u-Korea 구축전략과 행동계획: 비전, 이슈, 과제, 체계. Telecommunication Review 13(2): 4-15.
한국전산원, 2004. 유비쿼터스 환경구축에 대한 국내외 동향 분석: u-Korea 추진을 위한 선진사례 발굴 및 동향 분석. NCAⅠ-RER-04002. 한국전산원.
해양수산부, 2007. 국가해양관측망 기본 계획에 따른 운용해양학 시스템 구축 계획. 224pp.
환경부, 2011. 환경기술 기술동향 보고서: 수질센서/환경칩 기술동향.
Daly, K.L., Byrne, R.H., Dickson, A.G., Gallager, S.M., Perry, M.J., and Tivey, M.K., 2004. Chemical and biological sensors for time-series research:
current status and new directions. MTS Journal 38(2): 121-143.
Dickey, T.D., 2002. A vision of oceanographic instrumentation and technologies in the early 21st century. In: Oceans 2020: Science for Future Needs, Chapter 9, (eds) Field, J.G., Hempel, G., and Summerhayes, C.P., Island Press, Washington, DC, 2002.
Douglas-Westwood, 2006. Global markets for ocean observation systems. P382 Final OOS Report. 134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