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세부 연구개발 과제 도출

3.1. 세부 연구 개발 과제

3.1.1. 용존 영양염류 센서 개발

○ 질산염 측정센서 개발 : UV 흡광을 이용한 광학센서

○ 인산염 측정센서 개발 : Lab-on-a-chip 센서

○ 규산염 측정센서 개발 : Lab-on-a-chip 센서

○ 암모니아 측정센서 개발 : Lab-on-a-chip 센서 또는 전기화학센서

3.1.2. 용존 기체 및 정밀 pH 센서 개발

○ 용존산소 광섬유 다발 센서 개발 : 광학 센서

○ pCO2 센서 개발 : 광학 센서 등

○ 정밀 pH 센서 개발 : Lab-on-a-chip 센서, 전기화학 센서

3.1.3. 동·식물 플랑크톤 센서 개발

○ 색소 센서 개발 : 광학 센서

○ 플랑크톤 영상센서 개발 : 영상센서

3.1.4. 유전자 센서 개발

○ HAB 검출 센서 개발 : Lab-on-a-chip 센서

○ 병원체(pathogen) 검출 센서 : Lab-on-a-chip 센서

[그림 3-2] 세부과제의 도출

3.2. 세부 연구개발 사업별 연구내용

3.2.1. 용존 영양염류 센서 개발

측정항목 연구 내용

질산염 측정센서

- 광원 및 검출기 개발

- 저전력 소모 및 소형화를 위한 설계 - 센서 교정 방법 및 실측 자료와의 비교

인산염 측정센서

- Lab-on-a-chip(LOC)을 위한 분석법 개선 - LOC 재질 및 유로 설계

- LOCphotometer 개발

- 센서 교정 방법 및 실측 자료와의 비교

규산염 측정센서

- Lab-on-a-chip(LOC)을 위한 분석법 개선 - LOC 재질 및 유로 설계

- LOC용 광원 및 검출기 개발

- 센서 교정 방법 및 실측 자료와의 비교

암모니아 측정센서

- Lab-on-a-chip(LOC)을 위한 분석법 개선 - LOC 재질 및 유로 설계

- LOC용 광원 및 검출기 개발

- 센서 교정 방법 및 실측 자료와의 비교

3.2.2. 용존 기체 및 정밀 pH 센서 개발

측정항목 연구 내용

용존산소 광(평면, 섬유 다발) 센서개발

- RGB(, , 청색) 색비로 산소 농도의 정량 - 자료 처리 이미지 프로그램 개발

- 평면 광센서 개발 및 퇴적물 공극수의 2차원 분포 측정 - 광섬유를 활용한 모니터링 기술 개발

pCO2 센서 개발 - 기존 센서의 소형화 연구

- Thermal Mass Flowmeter를 이용한 CO2 센서 개발

정밀 pH 센서 개발

- Lab-on-a-chip(LOC)을 위한 분석법 개선 - LOC 재질 및 유로 설계

- LOCphotometer 개발

- 전기화학센서를 위한 초소형 증폭기 개발 - 센서 교정 방법 및 실측 자료와의 비교

3.2.3. 동·식물 플랑크톤 센서 개발

측정항목 연구 내용

색소 센서 개발

- 색소별 광학 특성 연구

- 색소별 광학 특성에 따른 광원 및 검출기 개발 - 색소 센서 자료 처리법 개발

- 센서 교정 방법 및 실측 자료와의 비교

플랑크톤 영상센서 개발

- 플랑크톤 영상 특성 연구

- 플랑크톤 영상 특성 데이터 베이스 구축 - 초고속 영상 처리 장치 개발

- 형상 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 실측 자료와 비교 연구

3.2.4. 유전자 센서 개발

측정항목 연구 내용

HAB 검출 센서 개발

- HAB 생물에 대한 유전자 특성 연구

- 생물 유전자 분석을 위한 기존 분석법의 소형화 연구 - LOC 재질 및 유로 설계

- LOC용 증폭기 개발 연구

병원체 검출 센서 개발

- 병원체 생물에 대한 유전자 특성 연구

- 생물 유전자 분석을 위한 기존 분석법의 소형화 연구 - LOC 재질 및 유로 설계

- LOC용 증폭기 개발 연구

3.2.5. 현장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 운영

측정항목 연구 내용

개발된 센서의 현장 성능 검증

- 각종 센서 교정 방법 및 실측 자료와의 비교 - 센서의 제원에 맞는 현장 적용 실험

- 센서별 내압 하우징 설계 및 개발 - 센서 성능 개선 연구

- 센서의 상용화를 위한 기술 지원 및 마케팅 전략 수립 현장 플랫포옴

운영기술 개발

- 다양한 센서의 현장 성능 검증을 위한 적절한 시험 장소 선정 - 센서의 목적과 제원에 따른 현장 성능 검증 절차 수립 - 생물 오손 방지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