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실수인식에 따른 인지적 재해석의 차이
인지적 재해석 수준이 실수인식 처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 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지적 재해석의 사 용, t=-11.09, p=.000, 은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 상황에서 실수예방 집단은 2.89, 실수관리 집단은 3.95의 인지적 재 해석 수준을 보고하였으며(<표 14>참조), 이는 실수가 발생하는 과제상 황에서 실수예방 집단보다 실수관리 집단이 인지적 재해석을 더욱 많이 사용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수예방 (n = 187)
실수관리 (n = 192)
t p
95%CI
Cohen‘s d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LL UL
인지적
재해석 2.89 .99 3.95 .86 -11.09*** .000 -1.24 -.87 1.14
*p<.05, ** p<.01, *** p<.001
<표 14> 실수인식에 따른 인지적 재해석 수준 비교
사후 검증으로, 집단 내에서 처치 이후의 인지적 재해석 사용정도가 사전에 보고한 인지적 재해석의 기저선과 차이가 있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처치 집단에 따라 인지적 재해석의 사용이 기저선과 비교하 여 각기 다른 방향으로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표 15>참조). 실수예 방 집단의 경우 처치 이전에 비해, 처치 이후에 인지적 재해석의 사용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t=5.11, p=.000. 반면 실수관리 집단의 경우 처치 이전에 비해 처치 이후에 인지적 재해석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 났다, t=9.96, p=.000.
집단
사전 사후
t p
95%CI
Cohen‘s d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LL UL
실수예방
(n=187) 3.30 .94 2.89 .99 5.11*** .000 .25 .57 .42
실수관리
(n=192) 3.33 .82 3.95 .86 9.96*** .000 -.74 -.49 .74
* p<.05, ** p<.01, *** p<.001
<표 15> 집단 내 사전, 사후 인지적 재해석 수준 비교
0 1 2 3 4 5
인 지 적 재 해 석
사전 사후
측정시기
실수예방 실수관리
[그림 6] 집단 내 사전, 사후 인지적 재해석 수준 비교
나. 실수인식, 과제흥미의 관계에서 인지적 재해석의 매개효과
실수인식과 종속변인의 관계에서 인지적 재해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 기 위해 Hayes(2012)의 PROCESS 프로그램을 활용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지적 재해 석의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하여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 다. 부트스트래핑 실시 결과 매개효과 계수에 대한 95%의 신뢰구간에 0 이 포함되지 않으면, 매개효과는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볼 수 있다(Preacher & Hayes, 2004).
실수인식 처치가 인지적 재해석을 통해 과제흥미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실수인식 처치를 예측변인으로, 과제흥미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16>과 같이, 1단계 모형 의 회귀 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F=25.06, p<.001, 실수인식 처 치가 과제흥미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β=.250, p<.001. 이는 실수관리 집단의 참여자가 실수예방 집단의 참여자보다 과제흥미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2단계의 회귀모형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F=122.96, p<.001, 실수인식 처치가 인지적 재해석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β=.496, p<.001. 이는 실수관리 집단의 참여자가 실수예방 집단의 참여자보다 인 지적 재해석의 사용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3단계 회 귀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F=114.93, p<.001, 인지적 재해석을 통제한 상태에서 실수인식 처치가 과제흥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 았고, β=-.072, p=.125, 그 효과 또한 1단계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 났다. 즉 실수인식이 과제흥미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인지적 재해석을 통한 간접효과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수 인식과 과제흥미의 관계에서 인지적 재해석의 완전매개를 시사하는 바이 다.
매개모형의 간접효과 크기를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활용 하였다.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기 위해 5000개의 표본을 재추출하였으며, 검증 결과 매개효과 계수의 95% 신뢰구간의 하한 값과 상한 값이 각각 .49와 .78로 0을 포함하지 않아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7>참조).
단계 경로 b S.E. β t 1 실수인식처치 → 과제흥미 .49 .10 .25 5.01*** .06 2 실수인식처치 → 인지적재해석 1.05 .10 .50 11.09*** .25
3
실수인식처치 → 과제흥미 -.14 .09 -.07 -1.54
.38 인지적 재해석 → 과제흥미 .60 .04 .65 13.86***
* p<.05, ** p<.01, *** p<.001
<표 16> 실수인식과 과제흥미의 관계에서 인지적재해석의 매개효과 분석
매개변인 매개효과
계수 Boot S.E.
95% 신뢰구간
하한값 상한값
인지적 재해석 .63 .08 .49 .79
<표 17> 실수인식과 과제흥미의 관계에서 인지적 재해석의 간접효과
다. 실수인식, 과제지속의 관계에서 인지적 재해석의 매개효과
실수인식 처치가 인지적 재해석을 통해 과제지속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실수인식 처치를 예측변인으로, 과제지속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18>과 같이, 1단계 모형의 회귀 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F=28.134, p<.001, 실수인식 처치가 과제지속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β
=.264, p<.001. 이는 실수예방 집단의 참여자에 비해 실수관리 집단의 참 여자가 과제를 오래 지속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2단계의 회귀모형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F=122.96, p<.001, 실수인식이 인지적 재해석 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β=.496, p<.001. 이는 실수관리 집단의 참여자 가 실수예방 집단의 참여자보다 실수상황에서 인지적 재해석을 많이 사 용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3단계 회귀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으며, F=19.682, p<.001, 인지적 재해석을 통제한 상태에서 실수인식 처치가 과제지속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β=.173, p<.01. 하지만 그 효과는 1단계에 비해 감소하였다. 즉 실수인식은 인지 적 재해석을 통해 과제지속에 영향을 미치며 실수인식이 과제지속에 미 치는 직접효과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 모형의 간접효과 크기를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활 용하였다.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기 위해 5000개의 표본을 재추출하였으 며, 검증 결과 매개효과 계수의 95% 신뢰구간의 하한 값과 상한값이 각 각 .0868과 .3905로 0을 포함하지 않았다. 즉 실수인식과 과제지속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재해석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 다(<표 19>참조). 이러한 결과는 실수인식 처치와 과제지속과의 관계에 서 인지적 재해석의 부분 매개효과를 시사하는 결과이다.
단계 경로 b S.E. β t 1 실수인식처치 → 과제지속 .66 .12 .26 5.30*** .07 2 실수인식처치 → 인지적재해석 1.05 .10 .50 11.09*** .25
3
실수인식처치 → 과제지속 .43 .14 .17 3.06**
.10 인지적 재해석 → 과제지속 .22 .07 .18 3.24**
* p<.05, ** p<.01, *** p<.001
<표 18> 실수인식과 과제지속의 관계에서 인지적 재해석의 매개효과 분석
매개변인 매개효과
계수 Boot S.E.
95% 신뢰구간
하한값 상한값
인지적 재해석 .23 .08 .09 .38
<표 19> 실수인식과 과제지속의 관계에서 인지적 재해석의 간접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