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본 연구는 10월과 11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서울대학교 생명윤리심의 위원회(IRB)의 승인을 얻은 후 예비 검사와 본 검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에 참여한 학생들은 학급을 단위로, 처치 종류에 따라 실수예방 인식 처 치집단과 실수관리 인식 처치집단 중 한 집단으로 무선 할당되었다. 이 러한 방식은 기존에 구성되어있는 학급을 단위로 실험에 참여하기 때문 에 준실험설계(quasi experimental design)에 해당하며 연구의 내적 타당 도를 저해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인 초등학생들의 인지적 수준과 주의집중 능력을 고려할 때 개별적으로 텍스트를 제공하여 처치 를 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조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처치시간을 통제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에 연구자가 시나리오를 직접 제시하는 방법을 선택하였기에 같은 학급의 학생들을 동일한 집단에 배정할 수밖에 없었다는 제한점이 있었다.

처치를 제외한 실험의 전 과정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진행되 었으며 연구 절차는 <표 4>와 같다.

Ÿ 실험 소개 및 과제 안내 (2분)

Ÿ 사전변인 측정 (10분)

과제효능감, 실수경향성, 과제흥미, 인지적 재해석 측정

Ÿ 집단별 실수인식 처치 (10분) 실수예방인식 집단, 실수관리인식 집단

자유 선택 과제 1회기 인지적

재해석 2회기 인지적

재해석 3회기 4회기 5회기

Ÿ 과제 수행 및 인지적 재해석, 과제지속 측정 (20분)

Ÿ 과제흥미 측정 (3분)

Ÿ 실험종료

<표 4> 실험 절차

실험소개 단계에서 참여자들은 연구 목적 및 실험 절차에 대해 간략한 설명을 듣고, 생년월일, 학년, 성별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작성하 였다.

과제안내 단계에서는 과제로 제시되는 문항들이 Raven Advanced Progressive Matrices(Raven & Forbes, 1973)라는 학습자의 인지적 능 력 측정을 위한 문항이라는 점을 안내하여 연구 참여자가 해당 과제의 가치를 높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예시 문항을 제시하여 문항을 푸는 방법에 대해 안내하였다.

처치에 앞서 참여자들의 과제흥미, 과제효능감, 실수경향성, 인지적 재 해석 사용의 기저선을 측정하였다. 이렇게 측정된 변수들은 추후 처치 집단 간의 사전 동질성을 확인하고 각 변수의 사전 수준을 확인하는 데 활용하였다.

이후 참여자들은 학급 단위로 실수인식 처치를 제공 받았다. 처치 시 간을 통제하고 연구 참여자들의 집중도를 높이기 위하여, 연구자가 직접 실수 관련 시나리오 내용을 설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자는 10분 에 걸쳐 각 실수인식과 관련되어 있는 실수 관련 역사적 일화들을 집단 별로 4개씩 제시하였다. 실수예방 처치 집단의 경우 실수로 인해 부정적 인 결과가 일어나거나 목표 달성에 실패한 사례들을 제시한 반면(예.

NASA에서 개발한 화성탐사선이 발사과정에서의 단위 입력 실수로 인하 여 정상 궤도에 진입하지 못하고 공중에서 폭발한 사건), 실수관리 처치 집단의 경우 실수가 새로운 발견과 발명에 도움이 되었거나 추후 목표달 성에 도움이 되었던 사례(예. 에디슨이 9999번의 실수 끝에 전구발명에 성공한 사건)를 제시하였다.

처치 이후 참여자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Raven APM 문제 풀 이에 참여하였다. 문제는 총 5회기에 걸쳐 제시되며 각 회기는 주어진 6

개 문항에 3분 내에 답을 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3분이 지나면 회기가 자동 종료되도록 구성하였다. 문제 풀이에 시간 제한을 둔 것은 학습자 들의 과제 참여시간을 통제하는 동시에, 실제 문제 풀이를 위한 주어져 야 하는 평균 시간보다 짧은 시간만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실수를 유도하 기 위함이었다.

실수를 활용한 학습법(Error Management Training)에 대한 선행연구 들에서는, 과제 수행 중 실수인식 처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과제 중 실수 와 관련한 문구를 제시하였다(Carter & Beier, 2010; Keith & Frese, 2005). 본 연구에서도 동일한 목적으로 문제가 제시되는 프로그램 상단 에 각 집단별로 실수와 관련된 문구를 제시하였다 ([그림2], [그림3] 참 조).

문제풀이 단계에서는 매개변인으로 상정한 인지적 재해석과 과제지속 이 측정되었다. 과제지속을 측정하기 위해서 학습자의 과제 자유선택 여 부를 측정하였다. 과제는 총 5회기로 구성되지만 2회기를 마친 이후부터 는, 다음 회기의 과제에 계속 참여할지 여부를 참여자가 스스로 결정하 도록 하였다. 즉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참여자는 최소 2회기에서 최대 5 회기까지의 문제풀이에 참여할 수 있으며, 참여자가 몇 번째 회기까지 참여하였는가를 프로그램 상에서 기록함으로써 과제 지속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매개변인으로 상정하였던 인지적 재해석의 사용을 측정하 기 위하여 1회기와 2회기의 문제풀이 이후에 인지적 재해석을 측정하는 문항에 답하도록 하였다. 측정은 1회기와 2회기 이후에 각각 한 번씩 측 정하여 총 2회를 측정하였으며, 측정치의 평균이 참여자가 과제를 수행 하면서 사용한 인지적 재해석의 수준을 나타낸다고 보았다. 문제 풀이를 모두 마친 참여자는 과제흥미에 대한 문항에 답을 하고 실험을 종료하였 다.

[그림 2] 과제화면 예시 (실수예방 집단)

[그림 3] 과제화면 예시 (실수관리 집단)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