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자연생태계

3. 생물다양성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Ⅳ. 자연생태계 46

2021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Ⅳ. 자연생태계 47

그림 4-15. 공원자원조사 기수별 계룡산국립공원에서 조사된 총 종수 변화

그림 4-16. 공원자원조사 기수별 계룡산국립공원에서 조사된 분류군별 종수 변화

식물 파충류 곤충류 담수조류

포유류 조류

양서류 담수어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고등균류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Ⅳ. 자연생태계 48

나. 분류군별 다양성 1) 관속식물

(1) 제4기(2021년) 조사 결과

· 계룡산국립공원 관속식물은 119과 340속 503종 8아종 31변종 9품종 등 총 551분류군 확인

· 이 중 양치식물 11과 30분류군, 나자식물 4과 8분류군, 피자식물 중 단자엽식물 14과 113분류군, 쌍자엽식물 90과 400분류군으로 확인되며 주요 식물종 현황은 아래 표와 같음

표 4-14. 계룡산국립공원의 주요 식물종 현황(★ : 기타지점(지점 외) 확인 종)

구분 종명 분류군 수(지점 내)

한국적색목록종

위기(EN) 구상나무★ 1(0)

준위협(NT) 깽깽이풀★ 1(0)

관심대상(LC) 사철란, 어리병풍★, 뻐꾹나리★, 금붓꽃★ 4(1)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Ⅳ등급 깽깽이풀★, 등★, 어리병풍★, 큰쐐기풀★ 4(0)

Ⅲ등급 구상나무★, 너도바람꽃★, 단풍나무★, 당귀★, 무환자나무★

등 13(2)

Ⅱ등급 꿩고비★, 나래회나무, 노랑제비꽃, 돌양지꽃, 마가목★ 등 14(5)

Ⅰ등급 감태나무, 개미탑★, 개비자나무, 계요등, 금붓꽃★ 등 31(10) 한반도 특산식물 구상나무★, 개나리★, 금오족도리풀★, 무늬족도리풀★ 등 18(9) 기후변화지표종

기후지표종 개비자나무, 계요등, 사람주나무 3(3)

기후지표 후보종 꿩의바람꽃★, 개미탑★, 꾸지뽕나무★ 3(0)

외래종 가중나무★, 개망초★, 끈끈이대나물★, 아까시나무 등 33(1)

생태계교란종 돼지풀★, 환삼덩굴★ 2(0)

(2) 종수 변화

· 4기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는 생물 종 중심에서 서식지 기반으로 조사 기준을 변경하여 조사 지점, 방법 등의 차이로 이전 조사(1~3기)와 비교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 이에, 이전 조사(1기~3기) 결과와 4기 조사 결과를 합산한 누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도별 서식 생물종의 변화 추이 를 확인하였으며, 연도별 관속식물 종수 변화 확인 결과 전반적으로 증가추세를 나타냄

깽깽이풀(적색목록 준위협종(NT)) 기수별 관속식물 분류군 수 변화상 그림 4-17. 계룡산국립공원 연도별 관속식물 종수 변화상(누적 종수는 2021 국립공원 기본통계에 기재된 출현종 수)

2021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Ⅳ. 자연생태계 49

2) 식생

(1) 제4기(2021년) 조사 결과

· 계룡산국립공원 식생 조자지점의 경사도는 10°~45° 정도로 평균 경사도는 20°이며, 토양은 갈색삼림토로 이루어 져 있고 미세지형은 평면이 많이 확인됨

· 계룡산국립공원의 식생군락 조사 결과 물푸레나무-느티나무군락, 물푸레나무-신갈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굴참나 무-느티나무군락 등 총 9개의 식생군락이 확인되며, 우점군락, 식생보전등급 등 항목별 식생현황 조사 결과는 아래 표 와 같음

표 4-15. 계룡산국립공원의 식생 현황

구분 종명

주요 우점군락 굴참나무군락, 물푸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종다양도(범위, 평균) 0.251~1.132(평균 : 0.883)

균재도(범위, 평균) 0.526~0.942(평균 : 0.869) 우점도(범위, 평균) 0.058~0.474(평균 : 0.131) 식생보전등급

Ⅲ등급 11개 지점(Ⅱ-b 11개 지점)

Ⅳ등급 1개 지점

※ 식생보전 등급 Ⅱ등의 경우, 식생안정화의 향상(Ⅰ등급)과 하향(Ⅱ등급)을 검토하기 위해 a,b,c 3가지로 임의적 세분 화하여 평가함(군락의 입지 및 식물 사회학적 특성을 종합하여 조사자가 최종판정)

(2) 군락의 다양성

· 계룡산국립공원 3기 자연자원조사(2012) 결과,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이 우점하는 것으로 확인됨

· 금회차 공원조사에서는 이전과 조사목적, 조사지점, 주요 방법이 상이하여 전차년도와의 단순한 1:1 비교는 의미가 없을 것으로 판단됨

그림 4-18. 계룡산국립공원 주요 식생군락

F12(굴참나무-느티나무군락) F9(소나무-신갈나무군락) F2(물푸레나무-느티나무군락)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Ⅳ. 자연생태계 50

3) 포유류

(1) 제4기(2021년) 조사 결과

· 계룡산국립공원에서 서식이 확인되는 포유류는 중·대형 포유류 3목 6과 9종, 소형 포유류 3목 7과 16종이 확인됨

· 주요 포유류로 멸종위기야생생물 4종, 천연기념물 1종, 한반도 고유종 1종, 외래종 2종 등을 확인함

표 4-16. 계룡산국립공원의 주요 포유류 현황

구분 내용 총계

중·대형 포유류 식육목, 우제목, 토끼목 3목 6과 9종

소형 포유류 첨서목, 익수목, 설치목 3목 7과 16종

법정보호종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수달 1종

Ⅱ급 담비, 삵, 하늘다람쥐 3종

천연기념물 수달(제330호), 하늘다람쥐(제328호) 2종

한반도 고유종 멧토끼 1종

외래종 개, 고양이 2종

(2) 종수 변화

· 4기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는 생물 종 중심에서 서식지 기반으로 조사 기준을 변경하여 조사 지점, 방법 등 의 차이로 이전 조사(1~3기)와 비교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 이에, 이전 조사(1기~3기) 결과와 4기 조사 결과를 합산한 누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도별 서식 생물종의 변화 추이를 확인함

· 연도별 포유류 종수 변화 확인 결과, 2기 조사 시 관찰종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가, 이후 3기 조사부터 증가 추세를 나타내었으며, 4기 누적 종수 확인 결과 34종이 확인됨

대륙쇠큰수염박쥐 기수별 포유류 종수 변화상

그림 4-19. 계룡산국립공원 연도별 포유류 종수 변화상 (단위 : 종)

2021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Ⅳ. 자연생태계 51

4) 조류

(1) 제4기(2021년) 조사 결과

· 계룡산국립공원에서 서식이 확인되는 조류는 총 10목 32과 62종 1,221개체이며, 조류 현황조사 결과 법정보호종은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 3종, 적색목록종 5종, 천연기념물 3종이 확인됨

· 우점종으로는 박새, 직박구리, 참새, 붉은머리오목눈이, 오목눈이, 쇠박새 등이 확인됨

· 주요 조류로는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인 팔색조, 흰목물떼새, 붉은배새매, 적색목록종 원앙, 붉은배새매, 흰목물떼새, 팔색조, 흰눈썹황금새, 천연기념물 원앙, 황조롱이, 팔색조 등이 확인됨

· 조사지점 외 구역인 갑사계곡에서 깃대종인 호반새가 관찰됨

표 4-17. 계룡산국립공원의 주요 조류 현황

구분 종명 종수

우점종 박새, 직박구리, 참새, 붉은머리오목눈이, 오목눈이, 쇠박새 -

법종보호종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 팔색조, 흰목물떼새, 붉은배새매 3

국가적색목록 원앙, 붉은배새매, 흰목물떼새, 팔색조, 흰눈썹황금새 5 천연기념물 원앙(제327호), 황조롱이(제323-8호), 팔색조(제204호) 3

(2) 종수 변화

· 4기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는 생물 종 중심에서 서식지 기반으로 조사 기준을 변경하여 조사 지점, 방법 등 의 차이로 이전 조사(1~3기)와 비교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 이에, 이전 조사(1기~3기) 결과와 4기 조사 결과를 합산한 누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도별 서식 생물종의 변화 추이를 확인함

· 연도별 조류 종수 변화 확인 결과, 2기에 관찰종수가 증가하였다가 3기에 감소하였으며, 4기 누적 종수 확인 결과 118종이 확인됨

황조롱이(천연기념물) 기수별 조류 종수 변화상

그림 4-20. 계룡산국립공원 연도별 조류 종수 변화상 (단위 : 종)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Ⅳ. 자연생태계 52

5) 곤충류

(1) 제4기(2021년) 조사 결과

· 계룡산국립공원에서 서식이 확인되는 곤충류는 주간 곤충류 15목 141과 644종, 야간 곤충류 15목 105과 540종으로 확인됨

· 현지조사에서 주간곤충류는 나비목(28.26%)과 딱정벌레목(23.97%), 야간곤충류는 나비목(60.744%)과 노린재목 (15.19%)에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한 것으로 확인됨

표 4-18 계룡산국립공원의 곤충류(주간/야간) 현황

구분 종명 분류군 수

주간 곤충류

한반도 고유즁 등줄어리쌕쌔기, 팔공산밑들이메뚜기, 고려줄딱정벌레 등 11

한국적색목록종 큰거저리, 꼬리명주나비, 외뿔장수풍뎅이 3

국가기후변화지표종 각시메뚜기, 말매미, 남방노랑나비 3

국외반출 승인대상종 검은물잠자리, 물잠자리, 방울실잠자리, 어리장수잠자리 등 100 생태계교란종 미국선녀벌레, 주홍날개꽃매미, 갈색날개매미충, 등검은말 4

야간 곤충류

한반도 고유종 서울병대벌레, 긴꼬리비늘뿔나방, 날개알락파리 등 12

한국적색목록종 외뿔장수풍뎅이 1

국외반출 승인대상종 둥근날개날도래, 진강도래, 서울병대벌레, 참검정풍뎅이 등 48 생태계교란종 주홍날개꽃매미, 갈색날개매미충, 벼물바구미, 미국선녀벌레 4

(2) 종수 변화

· 4기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는 생물 종 중심에서 서식지 기반으로 조사 기준을 변경하여 조사 지점, 방법 등의 차이로 이전 조사(1~3기)와 비교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 이에, 이전 조사(1기~3기) 결과와 4기 조사 결과를 합산한 누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도별 서식 생물종의 변화 추이 를 확인하였으며, 연도별 곤충류 종수 변화 확인 결과, 2기 조사 시 관찰종수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4기 누적 종수 확인 결과 2,629종이 확인됨

황조롱이(천연기념물) 기수별 조류 종수 변화상

그림 4-21. 계룡산국립공원 연도별 곤충류 변화상 (단위 : 종)

2021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Ⅳ. 자연생태계 53

6) 양서·파충류

(1) 제4기(2021년) 조사 결과

· 계룡산국립공원의 양서류는 2목 6과 8종 255개체가 발견되었으며, 법정보호종(멸종위기야생생물, 천연기념물) 및 생 태계교란종은 확인되지 않음

· 파충류는 총 1목 4과 7종 21개체가 발견되었으며, 법정보호종(멸종위기야생생물, 천연기념물) 및 생태계교란종은 확 인되지 않음

· 우점종 확인 결과, 양서류는 전체 255개체 중 옴개구리가 82개체, 파충류는 전체 21개체 중 쇠살모사가 9개체로 가장 많이 확인됨

(2) 종수 변화

· 4기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는 생물 종 중심에서 서식지 기반으로 조사 기준을 변경하여 조사 지점, 방법 등의 차이로 이전 조사(1~3기)와 비교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 이에, 이전 조사(1기~3기) 결과와 4기 조사 결과를 합산한 누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도별 서식 생물종의 변화 추이를 확인함

· 연도별 양서·파충류 종수 변화 확인 결과, 양서류와 파충류 모두 점진적으로 출현종 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냄

· 4기 누적 종수 확인 결과 양서류는 12종, 파충류는 12종이 확인됨

이끼도롱뇽 기수별 양서류 종수 변화상

쇠살모사 기수별 파충류 종수 변화상

그림 4-22. 계룡산국립공원 연도별 양서·파충류 종수의 변화 (단위 : 종)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