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II
2. 생물다양성 평가 결과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Ⅷ. 부록 86
2021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Ⅷ. 부록 87
3) 곤충
① 주간
지구명 지점 종수 점수 위해종수 점수 점수 종합 점수
동학사지구 F1 36 4 1 -1 -1 3.0
동학사지구 F2 18 2 0 0 0 2.0
동학사지구 F3 9 1 0 0 0 1.0
동학사지구 F4 9 1 0 0 0 1.0
동학사지구 F5 36 4 2 -1 -1 3.0
동학사지구 F6 43 5 0 0 0 5.0
동학사지구 F7 20 2 1 -1 -1 1.0
갑사지구 F8 33 4 0 0 0 4.0
동학사지구 F9 22 2 0 0 0 2.0
갑사지구 F10 28 3 0 0 0 3.0
수통골지구 F11 34 4 4 -1 -1 3.0
갑사지구 F12 42 5 1 -1 -1 4.0
② 야간
지구명 지점 종수 점수 위해종수 점수 종합 점수
동학사지구 F1 108 2 2 -1 1
갑사지구 R1 221 5 3 -1 4
동학사지구 R4 159 3 1 -1 2
동학사지구 R7 173 4 1 -1 3
동학사지구 R8 177 4 2 -1 3
수통골지구 R9 64 1 1 -1 0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Ⅷ. 부록 88
4) 포유류
① 중대형 포유류
지구명 지점 종수 점수 멸종 위기 야생 동물
천연 기념물
한반도
고유종 점수 RAI
합 점수 외래종
수 점수 종합 점수
동학사지구 F1 6 3 0 0 0 3 56.21 3 1 4 3.3
동학사지구 F2 5 2 1 0 0 4 60.22 3 1 4 3.3
동학사지구 F3 5 2 0 0 0 3 25.97 2 0 5 3.0
동학사지구 F4 5 2 2 0 0 5 5.88 1 0 5 3.3
동학사지구 F5 6 3 1 0 0 4 42.93 2 0 5 3.5
동학사지구 F6 7 4 1 0 0 4 35.71 2 1 4 3.5
동학사지구 F7 5 2 0 0 1 4 68.93 3 1 4 3.3
갑사지구 F8 6 3 1 0 1 5 18.18 1 0 5 3.5
동학사지구 F9 4 1 0 0 0 3 13.69 1 0 5 2.5
갑사지구 F10 7 4 1 0 0 4 76.47 3 2 3 3.5
수통골지구 F11 7 4 0 0 1 4 45.81 2 1 4 3.5
갑사지구 F12 7 4 1 0 0 4 29.89 2 1 4 3.5
② 소형 포유류
지구명 지점 종수 점수 법종보호종 점수 종합 점수
동학사지구 D1 8 4 0 3 3.5
동학사지구 D2 7 3 1 4 3.5
동학사지구 D3 11 5 0 3 4.0
동학사지구 D4 3 2 0 3 2.5
갑사지구 G1 3 2 0 3 2.5
갑사지구 G2 7 3 0 3 3.0
수통골지구 S1 8 4 1 4 4.0
수통골지구 S2 1 3 0 3 3.0
2021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Ⅷ. 부록 89
5) 조류
지구명 지점 종 다양도 점수 종 풍부도 점수 종합 점수
동학사지구 F1 2.97 5 6.18 5 5.0
동학사지구 F2 2.37 3 3.25 1 2.0
동학사지구 F3 2.01 1 3.03 1 1.0
동학사지구 F4 2.14 1 3.41 2 1.5
동학사지구 F5 2.30 2 3.43 2 2.0
동학사지구 F6 2.52 4 4.09 3 3.5
동학사지구 F7 2.33 2 3.75 3 2.5
갑사지구 F8 2.26 2 3.40 2 2.0
동학사지구 F9 2.58 4 3.94 3 3.5
갑사지구 F10 2.45 3 4.00 3 3.0
수통골지구 F11 2.26 2 3.52 2 2.0
갑사지구 F12 2.88 5 5.46 4 4.5
6) 양서파충류
지구명 지점 종 다양도 점수 종 풍부도 점수 종합 점수
갑사지구 R1 1.33 3 1.30 3 3.0
동학사지구 R2 0.68 1 0.51 1 1.0
동학사지구 R3 1.38 3 1.56 4 3.5
동학사지구 R4 1.30 3 1.31 3 3.0
동학사지구 R5 0.69 1 0.72 1 1.0
동학사지구 R6 0.99 2 1.03 2 2.0
동학사지구 R7 4.53 4 1.56 4 4.0
동학사지구 R8 1.82 5 2.34 5 5.0
수통골지구 R9 1.25 3 1.76 4 3.5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Ⅷ. 부록 90
6) 양서파충류
지구명 지점 종 다양도 점수 종 풍부도 점수 종합 점수
갑사지구 R1 1.33 3 1.30 3 3.0
동학사지구 R2 0.68 1 0.51 1 1.0
동학사지구 R3 1.38 3 1.56 4 3.5
동학사지구 R4 1.30 3 1.31 3 3.0
동학사지구 R5 0.69 1 0.72 1 1.0
동학사지구 R6 0.99 2 1.03 2 2.0
동학사지구 R7 4.53 4 1.56 4 4.0
동학사지구 R8 1.82 5 2.34 5 5.0
수통골지구 R9 1.25 3 1.76 4 3.5
2021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Ⅷ. 부록 91
7) 어류
지구명 지점 우점도 다양도 균등도 풍부도 등급 (FAI)
갑사지구 R1 0.99 0.28 0.26 0.45
동학사지구 R2 0.89 0.84 0.47 0.96
동학사지구 R3 0.99 0.14 0.12 0.46
동학사지구 R4 0.85 1.11 0.53 1.18
동학사지구 R5 1 0.14 0.2 0.22
동학사지구 R6 1 - - -
동학사지구 R7 1 0.12 0.18 0.27
동학사지구 R8 1 0.68 0.99 0.2
수통골지구 R9 0.83 1.18 0.6 1.12
갑사지구 R10 0.98 0.69 0.63 0.35
갑사지구 R11 0.97 0.4 0.36 0.44
갑사지구 R12 1 - - -
동학사지구 R13 0.9 0.83 0.46 0.99
동학사지구 R14 0.89 1.07 0.6 1
동학사지구 R15 0.82 1.04 0.58 0.95
동학사지구 R16 0.7 1.63 0.71 1.57
동학사지구 R17 0.8 1.4 0.58 1.62
동학사지구 R18 0.73 1.66 0.61 2.03
수통골지구 R19 0.67 1.41 0.72 1.12
수통골지구 R20 0.73 1.32 0.68 1.13
동학사지구 R21 0.78 1.34 0.58 1.56
갑사지구 R22 0.94 0.91 0.66 0.3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Ⅷ. 부록 92
8)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지구명 지점 1차 2차
종합 점수
BMI 점수 BMI 점수
갑사지구 R1 92.9 5 90.1 5 5
동학사지구 R2 90.9 5 91.5 5 5
동학사지구 R3 93.4 5 92.7 5 5
동학사지구 R4 95.4 5 88.3 5 5
동학사지구 R5 95.4 5 94.5 5 5
동학사지구 R6 89.0 5 85.3 5 5
동학사지구 R7 95.0 5 95.4 5 5
동학사지구 R8 92.2 5 88.1 5 5
수통골지구 R9 91.9 5 89.0 5 5
9) 담서조류
지구명 지점 1차 2차 종합평가
청수성 오탁성 DAlpo 등급 TDI 등급 청수성 오탁성 DAlpo 등급 TDI 등급 종합 등급 갑사지구 R1 80.1 1.5 89.3 B 91 A 80.8 10.5 85.1 B 88.5 B 4.3
동학사지구 R2 65.8 10.7 79.9 B 74.5 B 81.1 2.0 89.7 B 84.7 B 4.0
동학사지구 R3 93.4 0.0 96.7 A 87.5 B 90.0 1.2 94.7 A 86.9 B 4.3
동학사지구 R4 81.8 0.0 90.9 A 88.2 B 66.4 0.0 83.2 B 78.3 B 4.0
동학사지구 R5 45.9 0.0 72.9 B 58.6 C 89.4 0.3 94.6 A 93.6 A 4.0
동학사지구 R6 84.8 2.7 91.1 A 93.5 A 84.7 1.4 91.7 A 91.4 A 5.0
동학사지구 R7 67.6 8.8 79.4 B 76.1 B 69.1 2.4 83.6 B 69.2 C 3.8
동학사지구 R8 70.8 0.7 85.0 B 96.5 A 87.1 0.6 93.3 A 92.7 A 5.0
수통골지구 R9 54.1 0.2 78.1 B 18.2 E 15.7 0.0 57.9 C 75.3 B 2.3
2021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Ⅷ. 부록 93
10) 고등군류
지구명 지점 전체종수 안정성 점수 우수성 점수 위해성 점수 종합 등급
동학사지구 F1 11 5 3 1 3.0
동학사지구 F2 9 1 3 5 3.0
동학사지구 F3 5 1 2 5 2.7
동학사지구 F4 1 1 1 5 2.3
동학사지구 F5 8 1 2 5 2.7
동학사지구 F6 19 3 4 4 3.7
동학사지구 F7 4 3 2 1 2.0
갑사지구 F8 8 1 3 5 3.0
동학사지구 F9 7 2 2 2 2.0
갑사지구 F10 9 2 3 3 2.7
수통골지구 F11 7 5 2 5 4.0
갑사지구 F12 30 4 5 3 4.0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Ⅷ. 부록 94
11) 빛
지구명 지점 평균휘도 빛 공해 등급 평균결과
동학사지구 F1 0.5 낮음
동학사지구 F2 0.5 낮음
동학사지구 F3 0.6 낮음
동학사지구 F4 0.6 낮음
동학사지구 F5 0.5 낮음
동학사지구 F6 2.2 보통
동학사지구 F7 0.6 낮음
갑사지구 F8 2.8 보통
동학사지구 F9 2.6 보통
갑사지구 F10 0.5 낮음
수통골지구 F11 0.5 낮음
갑사지구 F12 9.9 높음
갑사지구 R1 2.4 보통
동학사지구 R2 0.8 보통
동학사지구 R3 0.7 보통
동학사지구 R4 0.7 보통
동학사지구 R5 0.7 보통
동학사지구 R6 1.1 보통
동학사지구 R7 0.6 낮음
동학사지구 R8 2.8 보통
수통골지구 R9 9.9 높음
2021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Ⅷ. 부록 95
12) 지형지질
① 본질적 가치
지구명 지점 지형명 학술 및 교육 지형 및 경관 기
대표성 희소성 다양성 전형성 재현성 특이성 규모 자연성 심미성 타
동학사 GR-01 학봉리 화강암 판상절리와 폭호 4 4 4 4 4 4 5 4 4 1
동학사 GR-02 학봉리 화강암과 고철질 암맥군 5 4 5 5 4 4 4 5 4 2
동학사 GR-03 학봉리 폭포, 폭호와 암괴류 4 2 2 4 4 3 3 5 3 1
동학사 GR-04 학봉리 은선폭포와 급애 5 3 4 5 4 5 5 5 5 3
동학사 GR-05 학봉리 화강암과 판상절리 I 4 3 3 4 4 4 5 4 4 1
동학사 GR-06 학봉리 화강암과 판상절리 II 4 3 2 4 4 3 3 5 2 1
동학사 GR-07 학봉리 화강암, 반화강암맥, 페그마타이트 5 4 5 5 4 5 5 4 4 3 갑사 GR-08 중장리 쥐라기 화강암과 세맥(용문폭포) 4 4 4 4 4 5 5 5 4 2 갑사 GR-09 중장리 엽리상 화강암과 고철질 암맥군 4 3 5 5 4 5 5 4 4 2
갑사 GR-10 중장리 엽리상 화강암과 석영맥 4 3 4 5 4 4 5 4 3 1
수통골 GR-11 계산동 쥐라기 화강암, 반화강암맥,
판상절리 4 4 5 5 4 5 5 3 4 3
수통골 GR-12 덕명동 화강암 암석돔과 박리상 절리군 4 4 4 5 4 5 5 4 5 3
수통골 GR-13 덕명동 수통폭포와 폭호 4 4 4 5 4 4 5 5 5 3
수통골 GR-14 덕명동 하상침식지형 4 3 4 5 4 4 5 5 4 2
수통골 GR-15 덕명동 백악기 화강암과 판상절리(I) 4 3 4 4 4 3 5 4 4 1 수통골 GR-16 덕명동 백악기 화강암과 판상절리(II) 4 3 5 4 4 4 5 4 3 1 수통골 GR-17 계산동 복운모화강암과 페그마타이트 4 5 5 5 4 5 3 3 4 3
동학사 GR-18 학봉리 화강암 절리와 암괴류 3 3 3 4 4 4 5 5 3 1
동학사 GR-19 학봉리 화강암 절리와 광맥 4 3 4 4 4 3 3 4 2 1
동학사 GR-20 학봉리 화강암 급애 지형 4 3 4 4 4 4 5 5 5 3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Ⅷ. 부록 96
지구명 지점 지형명 학술 및 교육 지형 및 경관 기
대표성 희소성 다양성 전형성 재현성 특이성 규모 자연성 심미성 타
동학사 GR-21 학봉리 화강암 암석돔과 급애 4 3 4 4 4 5 5 5 5 3
동학사 GR-22 온천리 복운모화강암과 판상절리 4 2 3 4 4 3 4 4 3 1
동학사 GR-23 온천리 복운모화강암과 암석돔 4 3 3 5 4 4 5 4 4 2
동학사 GR-24 학봉리 엽리상화강암과 페그마타이트 4 4 5 5 5 3 4 4 3 3 동학사 GR-25 학봉리 페그마타이트와 하상침식지형 4 4 5 5 5 4 5 5 4 3
동학사 GR-26 상신리 암괴류(테일러스) 4 3 2 4 2 3 5 5 3 1
동학사 GR-27 상신리 폭포와 폭호 4 3 4 4 4 4 4 5 4 1
동학사 GR-28 상신리 엽리상화강암과 관입구조 4 4 5 5 4 4 4 5 4 3
동학사 GR-29 학봉리 암석돔과 관입구조 4 3 4 4 4 4 5 4 5 1
동학사 GR-30 학봉리 암괴류(테일러스) 4 4 3 5 3 5 5 5 5 4
동학사 GR-31 학봉리 화강암 풍화구조 4 3 5 4 4 5 5 4 5 3
갑사 GR-32 양화리 화강암과 절리군 4 2 4 4 4 3 3 4 3 1
갑사 GR-33 중장리 화강암 풍화지형 4 4 5 5 4 5 5 4 5 2
갑사 GR-34 학봉리 관음봉 홍색장석화강암 4 3 5 5 4 5 5 3 5 3
갑사 GR-35 중장리 화강암 급애 지형 4 4 5 5 4 5 5 4 5 3
동학사 GR-36 학봉리 화강암 기암괴석 4 3 5 5 4 5 5 4 5 3
동학사 GR-37 학봉리 화강암과 정동구조 4 4 5 5 4 5 5 4 4 3
갑사 GR-38 중장리 화강암 풍화지형 4 3 4 4 4 5 5 4 5 3
동학사 GR-39 상신리 백악기 화강암 4 2 3 4 4 3 5 5 2 1
동학사 GR-40 상신리 백악기 화강암과 암괴류 3 3 3 3 3 4 5 5 3 1
동학사 GR-41 학봉리 화강암 절리와 폭포 4 3 4 3 4 5 5 5 4 2
동학사 GR-42 학봉리 엽리상화강암과 암맥 5 4 5 4 4 4 4 4 3 3
2021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Ⅷ. 부록 97
지구명 지점 지형명 학술 및 교육 지형 및 경관 기
대표성 희소성 다양성 전형성 재현성 특이성 규모 자연성 심미성 타
동학사 GR-43 용동리 백악기 화강암과 절리군 4 3 3 4 4 3 5 5 3 1
동학사 GR-44 용동리 화강암 암석돔과 판상절리 4 3 4 5 4 5 5 4 4 3
동학사 GR-45 용동리 화강암 암석돔과 석영맥 4 3 4 5 4 4 4 4 3 1
동학사 GR-46 용동리 백악기 화강암과 급애 4 3 5 4 4 5 5 5 5 4
동학사 GR-47 부남리 폭포와 폭호 4 4 4 5 4 4 5 5 5 3
동학사 GR-48 부남리 백악기 화강암과 광맥 5 4 5 5 4 4 5 5 3 3
동학사 GR-49 학봉리 테일러스(암괴류) 4 2 3 4 2 3 5 5 3 1
동학사 GR-50 학봉리 화강암 절리와 석영맥 4 4 5 5 4 5 5 4 4 3
평 균 4.1 3.3 4.1 4.5 3.9 4.2 4.7 4.4 3.9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Ⅷ. 부록 98
② 부수적 가치 및 보전관리
지구명 지점 지형명
기 능 경 제 역사 및 문화 보전 및 관리
토양 생태 관광 지질 역사성 민속성 상징성 접근성 편의
및 방호 시설
관리 현황
동학사 GR-01 학봉리 화강암 판상절리와 폭호 1 4 3 3 1 1 1 1 3 4 동학사 GR-02 학봉리 화강암과 고철질 암맥군 1 4 4 3 1 1 1 4 3 4
동학사 GR-03 학봉리 폭포, 폭호와 암괴류 1 4 3 3 1 1 1 3 2 4
동학사 GR-04 학봉리 은선폭포와 급애 1 5 4 3 1 3 3 1 3 4
동학사 GR-05 학봉리 화강암과 판상절리 I 1 5 4 3 1 1 1 2 2 4
동학사 GR-06 학봉리 화강암과 판상절리 II 1 4 3 3 1 1 1 3 1 4 동학사 GR-07 학봉리 화강암, 반화강암맥, 페그마타이트 1 5 4 3 3 1 1 4 3 4 갑사 GR-08 중장리 쥐라기 화강암과 세맥(용문폭포) 1 4 5 3 1 3 3 1 3 4 갑사 GR-09 중장리 엽리상 화강암과 고철질 암맥군 1 4 5 3 1 1 1 2 2 4
갑사 GR-10 중장리 엽리상 화강암과 석영맥 1 4 5 3 1 1 1 2 2 4
수통골 GR-11 계산동 쥐라기 화강암, 반화강암맥,
판상절리 1 4 5 3 2 1 1 5 4 4
수통골 GR-12 덕명동 화강암 암석돔과 박리상 절리군 1 4 4 3 1 1 1 4 3 4
수통골 GR-13 덕명동 수통폭포와 폭호 1 5 4 3 1 3 2 3 2 4
수통골 GR-14 덕명동 하상침식지형 1 5 3 3 1 1 1 2 2 4
수통골 GR-15 덕명동 백악기 화강암과 판상절리(I) 1 5 3 3 1 1 1 2 2 4 수통골 GR-16 덕명동 백악기 화강암과 판상절리(II) 1 5 5 3 1 1 1 2 2 4 수통골 GR-17 계산동 복운모화강암과 페그마타이트 1 4 5 4 1 1 1 5 5 4
동학사 GR-18 학봉리 화강암 절리와 암괴류 1 4 3 3 1 1 1 1 1 4
동학사 GR-19 학봉리 화강암 절리와 광맥 1 5 4 3 1 1 1 1 1 4
동학사 GR-20 학봉리 화강암 급애 지형 1 5 3 4 1 1 3 1 1 4
2021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Ⅷ. 부록 99
지구명 지점 지형명
기 능 경 제 역사 및 문화 보전 및 관리
토양 생태 관광 지질 역사성 민속성 상징성 접근성 편의
및 방호 시설
관리 현황
동학사 GR-21 학봉리 화강암 암석돔과 급애 1 5 4 4 1 3 4 1 1 4 동학사 GR-22 온천리 복운모화강암과 판상절리 1 5 3 3 1 1 1 1 1 4
동학사 GR-23 온천리 복운모화강암과 암석돔 1 5 5 3 1 1 1 5 1 4
동학사 GR-24 학봉리 엽리상화강암과 페그마타이트 1 4 3 4 1 1 1 4 1 4 동학사 GR-25 학봉리 페그마타이트와 하상침식지형 1 4 4 4 1 1 1 4 1 4
동학사 GR-26 상신리 암괴류(테일러스) 1 4 4 1 1 1 1 4 1 4
동학사 GR-27 상신리 폭포와 폭호 1 4 4 3 1 1 1 4 1 4
동학사 GR-28 상신리 엽리상화강암과 관입구조 1 4 4 3 1 1 1 4 1 4
동학사 GR-29 학봉리 암석돔과 관입구조 1 4 3 3 1 1 1 1 1 4
동학사 GR-30 학봉리 암괴류(테일러스) 1 4 5 2 1 1 1 1 3 4
동학사 GR-31 학봉리 화강암 풍화구조 1 4 4 3 1 1 2 1 2 4
갑사 GR-32 양화리 화강암과 절리군 1 4 3 3 1 1 2 1 2 4
갑사 GR-33 중장리 화강암 풍화지형 1 4 4 3 1 1 2 1 1 4
갑사 GR-34 학봉리 관음봉 홍색장석화강암 1 4 4 3 1 2 4 1 2 4
갑사 GR-35 중장리 화강암 급애 지형 1 4 4 3 1 1 2 1 3 4
동학사 GR-36 학봉리 화강암 기암괴석 1 3 5 3 1 1 4 1 2 4
동학사 GR-37 학봉리 화강암과 정동구조 1 4 5 3 1 1 4 1 2 4
갑사 GR-38 중장리 화강암 풍화지형 1 4 4 3 1 1 2 1 3 4
동학사 GR-39 상신리 백악기 화강암 1 4 4 3 1 1 3 1 2 4
동학사 GR-40 상신리 백악기 화강암과 암괴류 1 4 4 2 1 1 1 1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