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생태계
1. 일반서식지
가. 국립공원 서식지 동향
1) 서식지 유형별 평가 결과(생물다양성 현장조사)
· 자연공원법 제36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27조에 의거 5년마다 국립공원 보전 · 관리를 위해 자연자원조사 실시
· 조사지점별 생물다양성 평가 결과를 서식지 유형별 평균값으로 산출하여 국립공원 서식지 지도의 각 폴리곤의 서식지 유 형에 따라서 적용
· 계룡산국립공원에서 조사된 서식지 유형별 지점의 생물다양성 평가 점수와 평균 점수는 표11과 같이 산출되어 적용함
· 하천생태계의 경우는 산지하천의 단일 서식지 유형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관리지구별 하천생태계 평가점수를 적용함
· 서식지 유형 중 현장조사가 수행되지 않아서 서식지 평가가 불가능한 유형(암벽식생, 전석지, 개발지 등)은 종합 평가에서 배제함
표 4-1. 계룡산국립공원의 서식지 유형별 생물다양성 평가 등급
분류 서식지 유형 지점명 평가 등급 평가 점수 평균 점수
산림 생태계
산지낙엽활엽수림
F2 C 3.0
3.2
F7 C 2.8
F8 B 3.2
F10 B 3.1
F12 B 3.9
산지습성림
F3 C 2.5
2.8
F5 B 3.1
산지침엽수림 F11 C 3.0 3
침엽수식재지 F1 B 3.6 3.6
침활혼효림
F4 C 2.6
2.6
F9 C 2.6
활엽수식재지 F6 B 4.0 4
하천
생태계 산지하천
동학사지구 B 4.0 4.0
갑사지구 A 4.3 4.3
수통골지구 B 3.9 3.9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Ⅳ. 자연생태계 30
그림 4-1. 계룡산국립공원 서식지 유형별 생물 다양성 평가 결과 지도
2) 서식지 환경 평가 결과(GIS 서식지 분석)
· 생물다양성 평가 결과는 국립공원 내 모든 서식지 폴리곤이 동일한 값으로 적용되므로, 위치별·고도별 서식지의 차이 를 반영하지 못함
· 위치별·고도별 서식지 환경 차이를 반영하기 위하여 국립공원의 정규 식생 지수 (NDVI, Normalis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분석 결과(그림 9)를 서식지 폴리곤 별로 GIS에서 ‘구역통계’ 도구를 이용하여 각 폴리곤 내의 NDVI 평균값을 산출함(그림 10)
· NDVI는 수목이 있는 산림 서식지에서만 측정이 가능하므로 하천생태계에는 적용하지 않음
2021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Ⅳ. 자연생태계 31
그림 4-2. 계룡산국립공원 NDVI 분석도
그림 4-3. 계룡산국립공원의 각 서식지 폴리곤별 NDVI 점수 분석도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Ⅳ. 자연생태계 32
그림 4-4. 계룡산국립공원의 서식지 평가 결과 – 등급별 구분
3) 국립공원 서식지 평가 결과(생물다양성 현장조사 + GIS 서식지 분석)
· 계룡산국립공원에서 서식지 평가 결과 평가된 서식지 유형 중 산림생태계가 약 99%를 차지하였고, 하천생태계가 약 1%로 나타남
· 각 서식지(폴리곤)의 서식지 평가 점수는 ‘[(NDVI점수 × 100) + 유형별 평가 점수] / 2’로 평가함
· 서식지 평가 결과가 A등급인 서식지는 산림생태계에서 2.1%, 하천생태계에서는 0.14%로 평가되었으며, B등급 서식 지는 산림생태계에서 96.75%, 하천생태계에서 0.84%, C등급 서식지는 0.17%로 평가됨
· 계룡산국립공원에서 개발지와 식생이 없거나 식피율이 낮은 암벽식생, 암석지, 전석지 등을 제외한 지역에서 서식지 평가 등급은 99.97%가 우수 혹은 양호 등급으로 양호한 서식지 환경을 갖는 것으로 평가됨
2021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Ⅳ. 자연생태계 33
표 4-2. 계룡산국립공원의 서식지 평가 등급별 면적 및 비율
평가 등급 평가 등급 폴리곤 수 면적(m2) 비율(%)
산림생태계
A등급 121 1,257,429 2.10
B등급 2,289 57,937,307 96.75
C등급 18 103,332 0.17
합계 2,428 59,298,068 99.02
하천생태계
A등급 50 85,859 0.14
B등급 134 500,375 0384
합계 184 586,234 0.98
총 합계 2,612 59,884,302 100
· 이처럼 대부분이 우수한 서식지 환경을 갖는 계룡산국립공원이지만 공원관리의 우선순위를 판단하기 위하여 평가된 서 식지 평가 점수를 공원내 서식지 폴리곤 간에 상대적으로 구분한 결과 그림 9와 같이 국립공원의 경계부에서 중심부에 비하여 평가 점수가 낮은 것이 확인됨
· 공원 내 산림의 일부 지역은 지형에 의한 음영 발생으로 NDVI값이 낮게 나타나 평가 점수가 낮게 나타나는 부분이 있음
그림 4-5. 계룡산국립공원의 서식지 평가 결과 – 점수별 구분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Ⅳ. 자연생태계 34
나. 관리지구별 서식지 동향 1) 생태계 유형별 평가 결과
· 산림생태계 조사지점은 총 12개 지점으로 동학사지구 8개 지점, 갑사지구 3개 지점, 수통골지구 1개지점이 조사됨
· 조사된 분류군 중 식물, 식생, 중대형포유류 등은 대부분 지점에서 보통 이상의 생물다양성으로 평가됨
· 조류는 일부지역이 지형요인으로 인해 둥지를 짓기에 적절한 수목이 부족하여 조류의 번식장소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됨
· 곤충류와 고등균류는 멧돼지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서식지 교란, 독버섯의 높은 비중 등으로 인해 평가 등급이 타 분류 군에 비하여 낮게 평가됨
표 4-3. 계룡산국립공원 산림생태계 조사지점별 분류군 생물다양성 평가 결과
관리지구 지점명 식물 식 생 중대형
포유류 조류 곤충류(주간) 고등군류 F1
F2 F3 F4 F5 F6 F7 F9
갑사지구
F8 F10 F12 수통골지구 F11
2021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Ⅳ. 자연생태계 35
· 하천생태계 조사지점은 총 9개 지점으로 동학사지구 7개 지점, 갑사지구 1개 지점, 수통골지구 1개지점이 조사됨
· 조사된 분류군 중 담수조류, 담수어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대부분의 조사지점이 우수한 생물다양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특히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모든 조사지점이 ‘매우우수’ 등급으로 평가됨
· 양서·파충류 분류군은 R2와 R5 지점에서 출현종 수가 적어 생물다양성이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서식지의 환경 자체는 양호하여 향후 향상될 것으로 기대됨
표4-4. 계룡산국립공원 하천생태계 조사지점별 분류군 생물다양성 평가 결과
관리지구 지점명 중대형 포유류 조류 곤충류(주간) 고등군류
갑사지구 R1
동사학지구
R2 R3 R4 R5 R6 R7 R8
수통골지구 R9
그림 4-6. 계룡산국립공원 지점별 생물다양성 평가 결과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Ⅳ. 자연생태계 36
2) 관리지구별 평가 결과
· 계룡산국립공원은 동학사지구, 갑사지구, 수통골지구의 3개 지구로 구성되며, 생물다양성 평가결과 모든 지구가 ‘양 호(B)’ 등급으로 평가됨
(1) 동학사지구
· 동학사지구는 총 15개 지점으로 산림생태계 8개 지점, 하천생태계 7개 지점이 조사됨
· 동학사지구는 계룡산국립공원의 가운데에 위치하며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관리지구로, 시가지에 인접하고 주등 산로인 동학사 등산로를 포함하여 가장 많은 탐방객이 이용하는 지구임
· 하지만 탐방로를 제외한 지역의 생태계 서식지는 잘 보호되고 있어서 고등균류를 제외하면 모든 분류군이 보통 이 상의 서식지 등급으로 평가되었고, 우수(B) 이상 등급이 60%를 차지하여 대체적으로 양호한 서식지 환경을 나타 내고 있음
표 4-5. 계룡산국립공원 동학사지구의 분류군별 생물 다양성 평가
유형 분류군 등급 주요 내용
산림생태계
식물 주거지가 밀집하여 탐방압력이 높고 식물상에 대한 교란 압력이 높음
식생 큰배재 인근 지점들은 신갈나무와 물푸레나무가 혼효림을 형성하고, 층위구조는 전반적으로 안정된 상태이며 외래식물의 출현이 매우 낮음
중대형 포유류
종 출현 비율이 비교적 균등하고 다양하며, 멸종위기야생생생물 II급 삵과 담비가 출현
조류 탐방압이 높으나 산림과 수계 등 소형 포유류의 서식환경이 우수함
곤충류 계룡산국립공원에서 가장 넓은 범위로 가장 많은 탐방객이 유입되는 지역과 군사지역으로 출입이 통제중인 지역이 공존하고 있어 중간정도 수준을 유지
고등균류
조사지점이 많고 전반적으로 계곡부와 가까워 습윤하고 수종이 다양하여 여러종의 개체가 출현하지만, 탐방객이 많고 독버섯 비율이 높아 위험도
높음
하천생태계
담수조류 일부 비점오염원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지점이 있었으나 대체로 양호한 상태를 나타냄
양서파충류 동학사를 향하는 등산로를 중심으로 탐방객 및 이용시설이 매우 많은 지역으로 지점별로 차별화된 관리방안이 필요함
담수어류 하천계류나 상류에 위치하며 하천규모는 작으나 특별한 교란요인이 없어 하천건강성평가는 전체적으로 좋음으로 평가됨
저서성대형 무척추동물
전반적으로 양호한 환경상태를 유지하고 있아나, R2와 R6의 경우 하천공사 등으로 다소 교란이 발생함
2021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Ⅳ. 자연생태계 37
· 계룡산국립공원 동학사지구의 서식지 평가는 A등급 2.76%, B등급 97.23%로 B등급이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였고, C 등급이 0.01%로 평가됨
· 국립공원 경계부에 인접한 서식지의 평가 점수가 낮은 경향이 있으며, 북쪽 고청봉 일대와 수용추골 일대가 지구 내에 서도 가장 취약한 서식지 환경을 나타냄
표 4-6. 계룡산국립공원 동학사지구의 서식지 평가 등급별 면적 및 비율
평가 등급 평가 등급 면적(m2) 비율(%)
산림생태계
A등급 1,011,981 2.79
B등급 35,210,635 96.07
C등급 3,209 0.01
합계 36,225,825 98.84
하천생태계
B등급 424,591 1.16
합계 424,591 1.16
총 합계 36,650,416 100
그림 4-7. 계룡산국립공원 동학사지구의 서식지 평가 등급(좌) 및 점수(우)
계룡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Ⅳ. 자연생태계 38
(2) 갑사지구
· 갑사지구는 총 4개 지점으로 산림생태계 3개 지점, 하천생태계 1개 지점이 조사됨
· 갑사지구는 계룡산국립공원의 서쪽에 위치하며 동학사지구 다음으로 넓은 면적이며, 동학사지구와 수통골지구에 비 하여 상대적으로 시가지와 격리되어 있음
· 모든 분류군에서 서식지 등급이 보통 이상으로 평가되었으며, 양호(B) 이상 등급이 70%이며 그 중 우수(A) 등급이 30%로 관리지구 중 가장 우수한 서식지 환경을 나타냄
표 4-7. 계룡산국립공원 갑사지구의 분류군별 생물 다양성 평가
유형 분류군 등급 주요 내용
산림생태계
식물 탐방로가 통과하여 지속적 교란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외래식물이 없고 양치식물계수가 높아 우수한 서식지 환경을 나타냄
식생
문필봉과 관음봉 인근 능선부와 사면상부에 위치하는 지점은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출현하였으며, 신원사 계곡은 굴참나무림이 우점하고 있음.
특히 사면상부는 급경사지를 이루고 있어 보전상태가 양호함
중대형 포유류
출현종이 다양하고 출현빈도도 비교적 균등하며, 멸종위기야생동물 II급 담비와 삵이 출현
조류 깃대종인 호반새가 관찰되었으며 다른 곳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가가 적고 계곡의 수량이 풍부
곤충류
계룡산국립공원의 서부지여으로 나머지 관리지구에 비해 잘 보존된 지역이 많으며, 갑사와 신원사 주변에 교란요인이 다소 있지만 산림 내로는 비교적
양호함
고등균류 조사지점이 전체적으로 계곡부 근처이긴 하나 암석이 많은 조사지점에서는 여러 개의 개체가 출현하지 않음
하천생태계
담수조류 인근 편의시설이 밀집되어 있어 이용객이 늘어나는 시기에 관리 감독이 필요함
양서파충류
양서류의 산란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계곡 주변에 농경지였던 지역이 초지로 방치되고 있으며 현 상황이 지속된다면 양서파충류 서식지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담수어류
하천 계류부터 중류까지 비교적 다양한 지점들이 포함되는데, 계류 및 상류는 특별한 오염원이 없어 서식지가 양호하였으나 일부 지역에서
하천공사가 진행되어 서식지가 교란되었고 용동지 상부 및 하부는 생태계교란종의 서식이 확인되어 교란이 예상됨. 하천건강성평가는 매우
좋음 혹은 좋음으로 평가됨 저서성대형
무척추동물 전반적으로 양호한 환경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인위적 교란은 관찰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