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이론적 배경에서 고찰한 인적자본이론과 내생적 성장이론 등의 논리적 근거를 바탕으로 그동안 기업 내 교육훈련의 성과에 관한 연구들이 Bishop(1991), Holzer et al.(1993), Bartel(1994), Black & Lynch(1996), Black &
Lynch(1997), Barrett & O'Connell(2001), 류장수(1995), 김안국(2002), 이병희·
김동배(2004), 노용진·정원호(2006)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이상의 선행연구들은 모두 재무성과 중 생산성에 초점을 맞추었고, 생산성 지표로서 대부분 매출액을 사용한 반면, Bartel(1994)과 류장수(1995), 김안국 (2002) 등이 예외적으로 부가가치를, Holzer et al.(1993)이 불량률을 매출액 외 의 추가적인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들 선행연구의 분석 결과는 Bishop(1991), Holzer et al.(1993), Bartel(1994), Black & Lynch(1996), Barrett & O'Connell(2001) 등 해외연구의 경우 대체로 기업의 교육훈련이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김안국(2002), 이병희·김동배(2004), 노용진·정원호(2006) 등 국 내연구들도 대부분 기업 교육훈련의 긍정적 생산성 효과를 확인하고 있으며, 류장수(1995)에서만 기업 교육훈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생산성 효과를 보이고 있다.15)
이 외에도 교육훈련의 성과와 관련된 연구에서 나인강(2010)은 교육훈련이 높을수록 직무능력 및 동기부여, 이직 방지 등의 인적자원성과를 높여주고, 신 건권 등(2003)은 교육훈련비의 투자가 많을수록 기업의 경영성과인 매출총이익 률과 경상이익을 높여준다고 분석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임정연·이영민(2010) 은 1인당 교육훈련비 투자가 증가할수록 객관적인 경영성과 지표인 일인당 당 기매출액 및 당기 순이익이 증가하는 등 긍정적인 영향을, 또한 이경희·정진
15) 노용진·채창균, “기업 내 교육훈련의 경영성과 효과”, 노동정책연구, 9(2), 2009, p.69.
화(2008)는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와 기업재무비율, 기업의 재무성과, 그리고 경 영성과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16)
한편, 최근 들어 교육훈련의 성과와 관련한 연구는 패널자료 등을 활용하여 효과성 측면에서 다양하게 분석되고 있다.
고승경(2014)17)은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기업 교육훈련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 하였는데, 먼저 당기의 교육훈련비가 당기 1인당 매출액에 정(+)의 영향을 미 치고, 횡단면 분석결과 과거의 교육훈련이 당기의 기업성과에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시계열 추정결과와 횡단면 추정 결과에서 모두 1기전의 교육훈련 경제적 효과보다는 당기의 교육훈련 경제적 효과가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현재(2013)18)는 교육비 및 연구개발비 지출의 경제성과에 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고,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교육비지출과 R&D지출 증가가 명목국민총 소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계적 규명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비지 출이 장기적으로 인적자본을 형성하여 실질국민총소득을 증가시키지만 단기적 으로는 그 경제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R&D지출 증가가 장단기 모두 실질국민총소득을 증가시키지 못하는 것은 R&D 투자정책의 한계 성을 의미한다. 한편, 교육비지출 증가는 우리나라 첨단기술산업의 심화에 기 여하여 이 부문의 생산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R&D지출 증가는 단기적으로 수출증대를 통해 국민소득을 간접적으로 증대시키는 경로 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기운·김인국·오계택(2013)19)은 고용창출의 핵심 주체인 기업차원에서 교
16) 김민경·나인강, “전게논문”, pp.2050-2051.
17) 고승경, 「전게논문」.
18) 이현재, “교육비 및 연구개발비 지출의 경제성과에 관한 실증분석”, 경영경제연구, 36(1), 2013.
6, pp.17-30.
19) 반기운·김인국·오계택, “기업의 교육훈련과 고용성과분석 -대·중소기업 간 파급경제적 효과를 중심 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기본연구(2013-1). 2013. 10.
육훈련과 고용의 관계를 분석하였는데, 분석결과 기업의 교육훈련은 기술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고용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 술수준이 높거나 기술변화가 빠른 기업의 경우 교육훈련 투자가 기업의 고용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또한 파급경제적 효과 분석에서 하위 기업의 숙련향상은 상위기업의 고용증가에 기여하였지만, 반대의 경우 오히려 부정적인 경제적 효과가 관찰되었다. 즉, 중소기업에서 일반 대기업, 중소기업 또는 일반 대기업에서 재벌대기업으로는 긍정적 파급경제적 효과가, 그 반대 로는 부정적 파급경제적 효과가 관찰되었다.
김아영(2013)20)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kis-value의 1999~2011년의 13개년의 자료를 이용해 산업특성변수, 기업특성변수와 기업의 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는데, 당기 연구개발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전기 연구개발비, 전전기의 연구개발비는 통계적으로 유 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거 연구개발비는 시 차를 두고 기업의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김민경·나인강(2012)21)은 교육훈련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 서 훈련전이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육훈련은 교육훈련전이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교육훈련전이는 HR성과인 직무능력, 동기부여, 이직 방지와 기 업성과인 노동생산성과 일인당 매출액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교육훈련은 성과(HR성과,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상욱(2010)22)은 장기간의 기업 현직교육훈련에 대한 투자와 노동 생산성 간의 관계 및 그 효과를 계량적으로 규명하였다. 한국신용평가 자료와 인적자
20) 김아영, 「기업의 성과 결정요인 분석 -산업특성변수와 기업특성변수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2.
21) 김민경·나인강, “전게논문”, pp.2047-2064.
22) 박상욱,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기업 현직교육훈련의 투자효과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과, 박사학위논문, 2010. 8.
본기업 패널자료 그리고 사업체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기업은 현직교육훈련 투자를 통한 인적자원개발을 장기적으로 이룰 때 노동생 산성을 향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간의 현직교육훈련 투자가 노동생산성 을 향상시킨 것을 보인 결과는 평생교육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으 로 판단된다.
이성·박주완·황승록(2010)23)은 혁신성이 교육훈련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 치는가, 교육훈련 투자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그리고 조직몰입이 조 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2009년에 실시한 인적자원기업패널 조사대상 기업 473개 중 분석이 가능한 제조업 307 개 기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혁신성은 1 인당 교육훈련비와 조직몰입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1인당 교육훈련비는 조직몰입도와 1인당 매출액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직몰입도 역시 1인당 매출액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용진·채창균(2009)24)은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 행위를 이해하기 위하여 한 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기업 교육훈련의 생산 성 및 수익성 효과에 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1인당 교육훈련 비가 1인당 매출액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부 가가치와 영업이익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훈련의 수익성 효과를 지지하지 않고 있으며, 생산 성효과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만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진환(2006)25)은 교육훈련비가 기업의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시차효과를 알 몬의 다항시차모형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는데, 연구결과 교육훈련비가 유의적
23) 이성·박주완·황승록, “기업의 혁신성이 교육훈련 투자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농업교육과 인 적 자원개발, 42(4), 2010. 12, pp.275-296.
24) 노용진·채창균, “기업 내 교육훈련의 경영성과 효과”. 노동정책연구, 9(2), 2009. 6, pp.67-93.
25) 한진환, “교육훈련이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시차효과”, 회계연구(대한회계학회), 제11권, 제1호, 2006. 4, pp.285-304.
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훈련의 시차는 전전기의 교 육훈련이 당기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동장비 증가율 이 1인당 부가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종업원 수 증가율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6)
이상과 같이 살펴본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와 성과간의 영향력에 집중함으로써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데에 다소 부족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산자로서 재화와 서비스 시장에 참여하는 경제주체인 기업측면에서 생산자 이론에 입각하여 생산함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고 려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교육훈련 투자의 경제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 하는 데에 차별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