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변수
▶
종속변수 경제적 효과 1 교육훈련비(1인당)
매출액(1인당) 2 자본집약도(1인당)
3 광고선전비
4 현금비율
5 기업업종
6 기업규모
7 노동자수
매출액(1인당) = f(교육훈련비(1인당), 자본집약도(1인당), 광고선전비, 현금비율, 기업업종, 기업규모, 노동자수)
선형회귀식 : Y = α+βX+βX+βX+βX+βX+βX+βX+ε
Y: log(1인당 매출액), X: log(1인당 교육훈련비), X: log(1인당 자본집약도), X: log(광고선전비), X: log(현금비율), X: 더미변수(기업업종),
X: 더미변수(기업규모), X: 노동자수, ε: 잔차(오차항)
<그림 4-1> 연구모형
그리고 본 연구의 주요 변수들인 1인당 매출액, 1인당 교육훈련비, 1인당 자 본집약도, 광고선전비 등은 이들 재무지표들에서 음수가 발생하는 경우를 대 비해서 로그값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취하였다. (1) Y>1이면 log_Y = log(Y), (2) -1≤Y≤1이면 Log_Y = 0, (3) Y<-1이면 Log_Y = -log(-Y)
구체적으로 <표 4-1>과 같은 변수를 이용하여 모형을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 의 분석에서 이용되는 변수들 간의 기술통계량은 <표 4-2>에서 보는 바와 같 다.
변수 변수설명
종속변수 1인당 매출액
기업의 생산성 지표 (매출액 총액/종업원 수)
「NICE신용평가(주)」의 기업 재무정보 자료
독립변수
1인당 교육훈련비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에 대한 대리변수 (교육훈련비 총액/종업원 수)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자료
1인당 자본집약도
노동자 한사람에 얼마의 자본액이 투자되고 있는지를 표시 (총자본/종업원 수)
「NICE신용평가(주)」의 기업 재무정보 자료
광고선전비 「NICE신용평가(주)」의 기업 재무정보 자료
현금비율 「NICE신용평가(주)」의 기업 재무정보 자료
기업업종
제조업, 금융업, 비금융 서비스업으로 분류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자료
기업규모
299명 이하, 300∼999명, 1,000∼1,999명, 2,000명 이상으로 분류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자료
노동자수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자료
<표 4-1> 변수설명
1) 1인당 매출액
기업의 성과를 알 수 있는 노동생산성은 기업에서 가장 중요한 생산요소인 노동력의 단위당 성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교육훈련을 이해하기 위하여 교육훈련의 노동생산성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 업의 교육훈련이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되어서 지속적인 연구가 진 행되어 왔으며 Bishop(1991), Holzer et al.(1993), Bartel(1994), Black &
Lynch(1996), Barrett & O'Connell(2001), 류장수(2001), 김안국(2002), 노용진·
정원호(2006), 권기정(2007)등의 선행연구에서 기업성과를 수익성보다는 생산성 에 맞추었고 생산성 지표로 대부분의 연구에서 1인당 매출액을 사용하고 있 다. 매출액은 매출원가와 매출총이익의 합으로 계산되는데 매출총이익은 판매 와 제조(생산)활동의 성과가 측정 된 것이므로 제조업체의 경우 생산 효율성을 측정하는 근거가 된다. 매출액에 대한 매출총이익의 비율이 경쟁업체보다 높 다면 생산부분의 생산성 정도가 양호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매출액은 기업의 생산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변수라 할 수 있다.38)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 1인 당 노동생산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매출액을 전체 근로자 수로 나누어 계산한 근로자 1인당 매출액을 이용하였다.
한편, 노용진·채창균(2009)은 생산성보다는 수익성이 기업의 투자 판단의 기준에 적합하다고 주장하는데, 기업의 수익성을 측정하는 변수인 부가가치가 기업의 노동생산성을 측정하기에 더욱 적합한 변수라고 판단하고 기업의 노동 생산성에 대한 대리변수로 부가가치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부가가치가 생산성 을 측정하기에 더 적합한 변수이기는 하나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는데 부가가치에 대한 정보는 일부의 기업에서만 제공되고 그 외의 기 업 에서는 제공이 되지 않아 표본의 크기가 크게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본
38) 장영광, 「기업경영」, 무역경영사, pp.35-132.
연구에서는 기업의 생산성을 측정하는 변수로 부가가치보다는 매출액을 이용 하였다. 즉, 기업의 노동생산성을 추정하기 위한 변수로 근로자 1인당 매출액 을 이용하였고, 근로자 1인당 매출액 변수는 「NICE신용평가(주)」의 기업 재 무정보 자료에 제시되어 있는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 변수에 자연로그를 취 하였다.
2) 1인당 교육훈련비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교육훈련비 지출에 대한 기업의 경제적 효과간의 관 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교육훈련 투자에 대한 변수를 정의하는데 기업의 교육 훈련 투자에 대한 변수로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자료의 교육훈련비를 이용하였다. 기업의 교육훈련을 직접적으로 측정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변수이나 이러한 변수를 얻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연구에서 교육훈련의 대리변수를 이용한다. Bartel(1994)은 교 육훈련에 대한 설명변수로 공식적인 근로자 교육훈련프로그램 (employee formaltraining programs)의 존재여부를 이용하였으며, Black & Lynch(2001)는 훈련을 받은 근로자수 이용하였고, Holzer etal.(1993)는 1인당 훈련시간을 이용 하였다. 또한 Bishop(1989)는 신입사원에 대한 교육훈련 시간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Conti(2005)는 근로자가 훈련에 참여하는 비중을 이용하였다.
Barrett& O'Connell(2001)은 훈련참가 근로자 비율, 1인당 훈련일 수, 1인당 훈련비용 등 다양한 교육훈련 변수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기업 특유의 교육훈 련과 일반교육훈련을 분류하여 교육훈련의 효과를 분석하였기 때문이다. 한편, 대부분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교육 훈련에 대한 대리변수로 근로자 1인당 교 육훈련비를 이용하고 있다(<표 4-2>참조).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HCCP의 교육훈련비를 이용하고 HCCP의 근로자수를
선행연구 교육훈련 투자의 대리변수
Bartel(1994)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존재여부
Black & Lynch(1997) 훈련을 받은 근로자수
Holzer et al.(1993) 1인당 훈련시간
Bishop(1989) 신입사원에 대한 교육훈련 시간
Conti(2005) 근로자가 훈련에 참여하는 비중
Barrett & O'Connell(2001) 훈련참가 근로자 비율.
1인당 훈련일수. 1인당 훈련비용 류장수(1995), 김안국(2002),
노용진·정원호(2006), 고승경(2013) 등 1인당 매출액
이용하여 근로자 1인당 교육훈련비를 계산하였다. 근로자 1인당 교육훈련비 역시 자연로그를 사용하였다. 기업 교육훈련은 기업의 노동생산성을 증가시킬 것이라 예측되므로 이 변수의 계수 값은 정(+)의 값을 보일 것이라 예측 할 수 있다.
<표 4-2> 선행 연구별 교육훈련 투자의 대리변수
주: 고승경, 「전게논문」, p.42.
3) 1인당 자본집약도
기업의 자본집약도(capitalintensity)란 총자본을 종업원 수로 나누어 종업원 한사람에 얼마의 자본액이 투자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업의 경영방 식이 자본집약적으로 이루어지는지 노동집약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측정하는
비율로 기업의 재정정도를 알 수 있는 변수이다.39) Black & Lynch(2001), Wright et al.(2005), Conti(2005)등이 기업의 자본집약도를 생산성과 관련된 변 수로 이용하였으며 기업의 특성 중에서 기업 재정정도를 알 수 있는 변수이므 로 본 연구에서도 변수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기업의 자본집약도 는 「NICE신용평가(주)」의 기업재무정보 자료상의 자본집약도(종업원1인당)변 수를 이용하였으며 자연로그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자본비율이 높아 기업의 재정정도가 양호한 기업은 매출액을 상승시킬 것이기 때문에 이 변수 역시 기 업의 생산성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4) 광고선전비
교육훈련비가 인적자본에 해당한다면 연구개발비는 조직적 자본, 광고선전비 는 고객자본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기업가치에서 이러한 무형자산이 차지 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인식에 따라 광고선전비 등 무형의 가치를 가지는 지출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등이 진행되어 왔다. 기 존 연구결과에 의하면 연구개발비나 광고선전비의 경우 단순한 비용이 아닌 미래의 경제적 효익이라는 차원에서 기업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연구개발비와 광고선전비가 무형자산으로서의 속성을 어느 정도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본 연구에서 이용하는 「NICE신 용평가(주)」의 기업재무정보 자료에 연구개발비의 결측값이 너무 많아 분석에 서 제외하고 광고선전비를 자연로그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39) 장영광, 「전게서」, p.127.
5) 현금비율
기업은 금융 불안 등의 외부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기업의 현금보유 및 현금 조달 능력이 기업에 대한 투자를 결정짓는 중요 자료로 여기고 있다. 이 지표 는 매출을 통해 현금을 창출하는 기업의 능력을 나타냄으로써 기업의 전체적 인 효율성과 경영성과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비율이 낮을수록 회사 의 외상매출 비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기업 이익과는 정(+)의 관계 일 거라고 예측할 수 있다.40) 현금비율 자료로는 「NICE신용평가(주)」의 기업 재무정보 자료를 이용하였다.
6) 기업업종
기업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중 하나인 산업의 분류에 있어서, 「인적자본 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자료에는 산업(대분류), 산업 (중분류), 한국표준산업분류(소분류)등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 분류 중 산업(중분류)를 이용하여 제조업, 금융업, 비금융 서비스업으로 구분하 였다. 노용진·채창균(2009), 반가운(2011)등은 기업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변수로 산업을 분류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도 기업의 특성을 고려하 는 변수로 이용하였다. 그리고 명목척도인 기업업종 자료의 처리를 위해 이미 분류한 제조업, 금융업, 비금융 서비스업의 3가지 유형 중에서 금융업을 제외 하고 (n-1)개인 1개의 더미변수로 생성하였다(<표 4-3>)참조).
40) 김아영, 「전게논문」, pp.4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