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별 문항
본 연구에서는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하기 위하여, 패션 쇼핑 챗봇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자신과 대화를 나눈 챗봇의 이름을 선택하도록 함 으로써 응답자가 충실하게 체험에 참여하였는지 확인하였다.
2) 조작 검증(manipulation check) 문항
의인화 조작 검증을 위해 Ryu and Balor(2005), Epley, Waytz, and Cacioppo(2007)의 연구를 바탕으로 의인화를 측정하는 문항을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인 설문문항은 ‘이 챗봇은 사람과 비슷한 것 같다.’,
‘이 챗봇은 인격을 갖고 있는 것 같다.’, ‘이 챗봇은 감정을 갖고 있는 것 같다.’, 이 챗봇은 감정표현이 자연스러웠다.’, ‘이 챗봇은 의식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느껴졌다.’로 이루어졌다.
개인화 조작 검증을 위해 Srinivasan, Anderson, and Ponnavolu(2002), 임일(2006)의 연구를 바탕으로 개인화를 측정하는 문항 을 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인 설문문항은 ‘이 챗봇은 나를 위해 개 인적으로 준비된 것이다.’, ‘이 챗봇은 나의 요구에 따라 특별하게 만들어 진 것이다.’, ‘이 챗봇은 나의 취향이 반영된 것이다.’, ‘이 챗봇은 나만의 쇼핑을 위한 것이다.’, ‘이 챗봇은 나에게 맞추어 제공된 것이다.’, ‘이 챗 봇은 나의 요구에 부합한다.’, ‘이 챗봇은 나의 관심에 부합한다.’로 이루 어졌다.
3) 사회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은 Burgoon and Hale(1987)의 연구를 토대로 박경인과 조창환(2015)이 개발한 사회적 실재감 척도를 본 연구의 맥락에 맞게 재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구체적 내용은 [표 3-7]에 제시되어 있다.
[표 3-7] 사회적 실재감 측정문항 및 출처
4) 신뢰
신뢰는 Wang, Beatty, and Foxx(2004), 강지원과 남궁영(2017)의 연구 에서 사용한 문항을 바탕으로 수정 및 보완하여 구성하였다. 구체적 내 용은 [표 3-8]에 제시되어 있다.
[표 3-8] 신뢰 측정문항 및 출처
변수 문항 내용 출처
사회적 실재감
챗봇은 나와 나누는 대화를 흥미로워하는 것 같았다.
Burgoon &
Hale(1987), 박경인, 조창환(2015) 챗봇은 나와 더 많은 대화를 나누고 싶어하는 것 같았
다.
챗봇은 우리의 대화가 친밀해 보이고자 노력했다.
챗봇은 내가 챗봇을 좋아하는지에 대해 신경 썼다.
챗봇은 대화를 통해 나와 더 깊은 관계를 맺고 싶어하 는 것 같았다.
챗봇은 나와의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변수 문항 내용 출처
신뢰
챗봇의 추천은 믿을 만하다.
Wang et al.(2004), 강지원, 남궁영(2017) 챗봇의 추천에 대해 신뢰가 간다.
챗봇이 제공하는 정보에 신뢰가 간다.
챗봇의 추천결과에 의지할 만하다고 생각한다.
챗봇의 추천 능력이 믿을 만하다고 생각한다.
챗봇이 공정한 방식으로 제품을 추천한다고 생각한다.
5) 지각된 즐거움
지각된 즐거움은 Moon and Kim(2001)의 연구에서 사용한 문항을 바 탕으로 수정 및 보완하여 구성하였다. 구체적 내용은 [표 3-9]에 제시되 어 있다.
[표 3-9] 지각된 즐거움 측정문항 및 출처
6) 서비스 수용의도
서비스 수용의도는 엄경순(2014)과 Komiak and Benbasat(2006)의 연 구에서 사용한 문항을 본 연구의 맥락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구체적 내용은 [표 3-10]에 제시되어 있다.
변수 문항 내용 출처
지각된 즐거움
챗봇과 대화하는 과정은 즐겁다.
Moon &
Kim(2001) 챗봇과의 대화는 즐겁다.
챗봇과의 대화는 재미있다.
챗봇과의 대화는 흥미롭다.
챗봇과의 대화는 기분 좋은 경험이다.
챗봇과의 대화는 나의 호기심을 유발한다.
챗봇과의 대화는 지루하지 않다.
챗봇과의 대화는 나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표 3-10] 서비스 수용의도 측정문항 및 출처
7) 인구통계학적 특성
인구통계적 특성을 측정하는 문항은 연령, 최종 학력, 직업, 월 평균 개인 소득에 대해 선다형식 및 자유기술형식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변수 문항 내용 출처
서비스 수용의도
나는 향후 이 서비스를 채택할 의향이 있다.
엄경순(2014), Komiak &
Benbasat (2006) 나는 향후 이 서비스를 이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는 추후 어떤 패션 제품을 구입할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받기 위하여 이 서비스를 이용할 것이다.
나는 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의향이 있다.
나는 이 서비스에 대해 긍정적으로 말할 것이다.
나는 다른 사람에게 이 서비스를 권장할 것이다.
제 3 절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본 절에서는 실험을 통한 자료수집에 있어 연구 참여자 선정 과정, 자 료 수집 방법,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