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진경과
일자 추진내용
2016.6 Ÿ 제 7차 ACS(카리브국가연합: Association of Caribean States) 정상회의 계기 외 교장관 지원공약 및 표제사업 발굴
2016.10 Ÿ ACS측으로부터 공식 PCP 접수
2016.10.29.~11.1 Ÿ 심층기획조사 실시: 사업 및 예산(안) 구체화 요청(KIOST 참석, 사업추진 자문) 2017.1 Ÿ PCP 수정(안) 접수
2017.3. Ÿ ‘기후변화로 인한 카리브 백사장 침식대응방안 수립사업’조사를 위한 전문가 파 견 협조 요청(KOICA, 2017.3.6.)
2017.4 Ÿ 사전전문가회의 참석, 사업 개요 발표 및 향후 추진 방향 논의
2017.4.22.~30 Ÿ 기획조사 실시(자메이카, ACS, KIOST 전문가 참여), KOICA-ACS 협약 체결 2017.12 Ÿ ‘자메이카 연안침식 이해 및 대응역량강화’ 기술제안서 제출
2018.3 Ÿ KOICA-KIOST 협약체결 예정
나) 한 페루(중남미)해양과학기술공동연구센터 최신해양과학동향집 발간 및 배포
○ 발간물명: 2017 한 페루(중남미)해양과학기술공동연구센터 뉴스레터
○ 발간일자: 2018.2.28
○ 주요내용
- 센터에서 2017년 한 해 동안 발간한 뉴스레터를 한권에 수록 - 센터 활동 관련 국내외 보도자료 수록
○ 배포처
- 해양수산부, 코이카, 해양관련기관 중남미 관계자(12명), 중남미관련 학회 및 기관(총 361명), 한국해양학회(회원수 약 1400명), 한국해양수산기업협회(회원사 약 260여개) 등
7차년도(2018년)
해당연도
연구개발 목표 한․중남미 지역간 협력활동 활성화
세부 연구개발 목표 세부 연구개발 내용 및 범위 연구비(천원) 수행기관
한‧중남미 해양과학기술 협력 플랫폼 구축
• 한중남미 간 해양 정보 제공 및 센터 활동 홍보 1) 중남미지역 해양관련 최신동향 정보 제공 - 뉴스레터 발간 및 배포
- 센터 홈페이지에 센터 활동 및 해양 정보 제공 2) 성과확산
- 뉴스레터 등 해양정보 책자 등 보고서 발간 - 기후변화로 인한 페루 엔초비 생산량 변화에 따
른 어분가격 영향 연구 논문 게재 - 보도자료
65,000 한국해양과학기술 원
• 한중남미 지역간 해양 이슈 발굴 및 의사결정 지 원
- 한․페루 운영위원회 개최
- 공동연구과제 개발 및 수행 지원
50,000
한국해양과학기술 원, 페루해양연구소
(IMARPE)
현지 수요 기반 협력과제 발굴‧추진‧수행 지원
• 한·페루간 협력과제 수행 - 페루 북부 연안 변동성 연구 - 양식기업진출을 위한 투자지침서
93,000
한국해양과학기술 원, 페루해양연구소
(IMARPE)
지속가능한 해양과학기술 인적자원
양성
• 중남미 과학자 대상 능력배양 실시 - 교육훈련을 통한 과학자 능력배양 · 페루산 넙치 번식 및 양식기술 교육훈련 · 페루 대왕오징어 자원량 평가 교육훈련 - ODA 사업 발굴·추진·수행 지원
50,000 한국해양과학기술 원
1) 한·중남미 해양과학기술협력 플랫폼 구축
가) 한중남미 간 해양 정보 제공 및 센터 활동 홍보
① 센터 뉴스레터 발간 및 배포
○ 발송횟수: 2018. 4., 7., 10., 2019.1. 총 4회(센터 13건, 한국 14건, 페루 15건, 기타 중남미 24건, 스페인어 페이지 게시물수 포함)
○ 배포처: 외교부, 해양수산부, 코이카, 해양관련기관 중남미 관계자(12명), 중남미관련 학회 및 기관(총 361명), 한국해양학회(회원수 약 1400명), 한국해양수산기업협회(회원사 약 260여개)
○ 주요내용: 한국과 중남미 지역의 뉴스, 미디어, 신문, 인터넷 등을 통해 해양이슈 선별을 통해 주요 내용을 요약, 한 페루(중남미)해양과학기술공동연구센터, 한국, 페루, 중남미지 역으로 분류하여 제공
② 수산기사 제공
○ 페루 수산관련 기사만 별도로 주페루한국대사관에 제공, 해양 관련 기관으로 페루수산경제정 보 전문으로 발송(38건)
③ 홈페이지 운영: 한·중남미 지역 해양 정보 업로드
○ 홈페이지 주소: www.kope-lar.org
※ 네이버, 다음 등 주요 포털에서 검색 가능
○ 한국 및 중남미 뉴스레터, 주요행사, 보고서 등 건 정보 업로드
나) 성과 확산
① 한 페루(중남미)센터 최신해양과학동향집 책자 발간 및 배포
○ 7차년도 사업기간 뉴스레터 및 언론보도자료로 구성
② 한·페루(중남미)해양과학기술공동연구센터 주관 출판기념회 개최
○ 일시 및 장소 : 2018.6.4(월), 페루 국회
○ 참석자: 조준혁 주페루한국대사, 한국대표단, 센터, Fredy Sarmiento Betancourt 페루 영세산 업체생산위원회 위원장, 해양·과학기술 관련 국회의원, 페루생산부, IMARPE, 해양·과 학 관련 기관·대학 관계자 등 50여명
○ 배포물: 센터 활동보고서(2012-2017), 2017 센터 뉴스레터, 2015-2016 엘리뇨 워크숍 결과보고 서, CPPS 기후변화 예측/모델링을 위한 해양관측데이터 프로세싱 워크숍 결과보고 서, 치타 양식 국제워크숍 결과 보고서 등 KOPE-LAR 주요 활동과 성과, 페루 엘니뇨 및 양식분야 연구활동 성과, 중남미 지역과의 협력활동 결과 등 총 5종의 보고서가 소 개되었음
○ 주요 성과: 조준혁 주페루 한국대사 및 페루 측 해양·과학기술 관련 국회의원, 페루생산부 및 IMARPE 관계자 등 50여명 참석하였으며 국내·외 언론보도를 통해 홍보효과 극대화
③ 센터 활동 관련 주페루한국대사관 홈페이지 혹은 볼레틴으로 배포(총 5회)
④ 국내 논문 게재
게재일 논문명
저자
학술지명 Vol.
(No.) 국내
외 주저자 교신 구분
저자
공동 저자 2018.8. 페루 기후변동 엘니뇨의 해양과학 특징 및
이의 어분 생산량-가격 변동 상관관계 고찰 김경진 하상섭 중남미연구 37(3) 한국 (국내)
다) 한중남미 지역간 해양이슈 발굴 및 의사결정 지원
① 제5회 한 페루(중남미)해양과학기술공동연구센터 운영위원회 개최
○ 일시 및 장소: 2018. 6. 1. 페루 생산부내 회의실
○ 참석자:
- 한국측: 정재관 사무관, 강현주, 허성표, 조가람(KIOST)
- 페루측: Alfredo Garcia, Yepez Pinillos(페루생산부), IMARPE 등 8명 - 센터: 김경진 한국 측 공동소장, Raul Castillo 페루측 공동소장 등 4명
○ 주요 결과
- 2017-2018년도 센터 주요활동 실적 및 예산집행 결과와 2018-2019년도 센터 주요 활동 및 예산 사용계획을 검토하고 승인
- 기존 협력과제 관련,“페루 연안용승 모니터링사업”은 지속 수행
- “고급어종(페루산 넙치) 생산성 향상 및 자연 생태 연구”는 KIOST와 IMARPE간 신규 협약 서를 체결하기로 의결
- 신규 협력과제 관련, “페루 양식기업 진출을 위한 투자가이드라인”은 추진하기로 의결 - “양식장비 공여”,“엔초비·대왕오징어 자원량평가 교육훈련”,“페루 직접식용소비 어업권 분석
및 어업권 개정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총 3개의 협력과제 가운데 페루 측에서 우선 순위 와 예산을 고려하여 한국측이 최종 결정하기로 의결
- KOPE-LAR 중장기 발전전략 초안 작성 의결
- KOPE-LAR 운영지침 관련, 페루생산부가 조속한 시일 내에 검토의견을 주기로 의결
② 제5회 한 페루(중남미)해양과학기술공동연구센터 운영위원회 후속조치
○ 신규협력사업 관련
- “양식장비 공여”,“엔초비·대왕오징어 자원량평가 교육훈련”,“페루 직접식용소비 어업권 분석 및 어업권 개정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총 3개의 협력과제 가운데 페루 측에서 예산을 조 정하여 모두 추진하는 것으로 최종 의결, 모두 수행
- 페루 민간양식기업 투자가이드라인 작성
○ 센터 중장기 발전전략 초안 작성
- 2018.8.25. 한국측 초안 작성 및 한국측 검토 요청 - 2018.9.11. 페루측 초안 검토 요청
- 2018.9.23. 페루측 검토의견 제출
- 2018.11.8. 한·페루 운영위원회에 최종초안 제출
초안 주요 내용 ㅇ 센터 개요
- 센터 설립 배경 및 성격, 기능 - 센터 현황
- 협력과제 발굴, 추진, 수행지원 등 주요 성과 ㅇ 센터 장기발전전략 설립의 필요성
- 센터 운영 및 협력활동 문제점 분석
* 센터 역할 및 임무 재정립, 협력분야 및 과제 발굴· 추진의 한계점 분석 - 대외여건 분석(중남미지역으로의 협력확대 필요성 분석)
ㅇ 센터 장기발전전략(2019-2028)
- 비전 및 목표(공통협력수요에 기반한 협력을 통한 양측간 해양과학기술 발전) -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센터 정보제공기능 발굴 기능 강화, 협력과제 발굴·추진방법
다양화, 중남미지역으로의 협력과제 확대)
○ “고급어종(페루산 넙치) 생산성 향상 및 자연 생태 연구”관련 협약내용 관련 조율 중
2) 공동연구과제 발굴 및 수행 가) 한·페루간 공동연구 수행
① 페루 북부 연안 변동성 연구
○ 책임자
- 한국 측: 신창웅 책임연구원 - 페루 측: Dimitri Gutierrez
○ 연구기간 : 2014.10.27.~2019.10.27
○ 목적
- 페루 북부연안 해양 자료 수집, 연안 엘리뇨 예측 위한 자료 활용
○ 당해연도 연구실적
- 페루 북부해역 모니터링 장비 계류(2018.03.09 ~ 03.19)
- 페루 북부해역 모니터링 장비 회수 및 재계류(2018.09.10 ~ 09.13)
* CTD 25시간 관측: 2018.9.11.15:00-9.12.16:00 분석
- 논문 투고
② 페루 민간양식기업 진출위한 투자가이드라인 발간
○ 배경
- 제 5회 센터 운영위원회에서 의결(2018.6.1.)
* 우리나라에서 양측의 양식산업 발전을 위해 전략적으로 수행하자고 제안하고 페루에서 적 극적으로 수락한 과제로서, 투자가이드라인에 포함시킬 내용은 양측간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결정
○ 목적
- 본 협력과제는 한국과 페루정부가 상호간의 양식산업 발전을 위해 전략적으로 추진한 과제 로서, 우리나라 양식기업 페루 진출 촉진 및 페루측 양식산업 발전을 위하여 양식기업진출 가이드라인 발간
○ 추진실적
- 센터, 페루생산부, 코트라, 우리원, 페루 수산양식법 전문가 등 전문가그룹 구성 - 전문가그룹 회의 5회 개최(6.25., 7.24., 9.7., 11.8., 11.28, 페루생산부)
- 양식설립 절차 관련 자문회의 수시 개최
○ 페루 양식 관련 자료 수집·분석(2018.4.~12.)
○ 보고서 세부 목차 작성(2018.9.)
○ 페루양식 현황 관련 설문 작성 및 배포(2018.10~11)
- 주요 질문: 양식기업 설립 이유, 양식종 선택방법 및 이유, 양식기업 설립 승인과정 및 운영 시 어려운 점, 정부 지원이 필요한 부분 등
- 페루 민간수산협회, 민간양식협회에 설문지를 배포했으나 응답자가 10여명에 그쳐 페루양식 현황 부분은 페루생산부에서 제공한 통계자료와 관련보고서를 참조하였으며, 심층인터뷰를 통해 회사설립 및 운영을 통한 페루 양식현황, Lessons learned을 내용을 수집하기로 함.
○ 양식기업 인터뷰(2019.2.)
- 송어(Capri Comio), 넙치(World Dream Fish Peru), Tilapia Azul(틸라피아), 가리비 (Acquapisco, Seacorp), 새우(Ecosac), 총 6개 기업과 페루생산부산하 국립수산보건청 (SANIPES)와의 인터뷰 실시
- 회사 규모, 설립 동기 및 절차, 회사설립 및 운영에서의 어려움. 양식발전을 위한 페루정부에 요청하는 사항, 양식회사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전략 등에 대해 인터뷰 함
* SANIPES의 경우는 양식수출품 승인절차에 대한 질의
< 송어 양식회사-Capri Cornio > < 새우양식회사-Ecosac >
< 틸라피아 양식회사-Tilapia Azul > < 가리비양식회사-Seacorp >
○ 페루 양식기업 설립 절차 초안 작성(2018.10.~)
○ 투자가이드라인 최종본 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