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지속가능한 해양과학기술 인적자원 양성

Dalam dokumen 요 약 문 (Halaman 72-76)

가) 중남미과학자 대상 양식기술 관련 능력배양 실시

① 페루, 에콰도르 한국 친환경양식기술 소개, 현지 양식기술 자문 및 현황 파악

○ 일시 및 장소: 2017.4.17.~23, 페루 리마/에콰도르 과야킬

○ 해당 자문 전문가: 이규태 대표이사(네오엔비즈)

○ 주요 활동

- 한국 친환경양식기술(물사용량 절감, 폐수배출량 저감, 에너지 사용절감, 생산성 향상, 수산물 품질 향상 기술) 소개

- 현지 양식기술 실험장(해수어 먹이생물 배양시설, 양식시설) 방문 및 자문 - 페루, 에콰도르 현지 양식기술 현황 및 문제점 파악

○ 주요 결과

- 페루 해양연구소 먹이생물용 동식물 플랑크톤 배양시설 문제점 및 개선방향

식물플랑크톤 배양 시설 동물플랑크톤 배양 시설

기술적 문제점

Ÿ 식물플랑크톤 대량배양기술 부족 Ÿ 낮은 광도

Ÿ 비효율적 이산화탄소 ⋅공급 Ÿ 낮은 식물플랑크톤 배양 밀도 Ÿ 교차 오염

Ÿ 동물플랑크톤 대량배양기술 부족 Ÿ 소규모 동물플랑크톤 배양 수조 Ÿ 낮은 동물플랑크톤 배양 밀도 Ÿ 낙후된 순환여과장치 및 기술 활용

개선 방향

Ÿ 생산비용절감 및 에너지이용 효율향상 방안 Ÿ 형광등 또는 LED등 적정 광량 공급 시설 Ÿ 식물플랑크톤 배양 용기 종류 및 크기 Ÿ 이산화탄소 공급 효율 향상 장치 Ÿ 식물플랑크톤 밀도 측정 장치

Ÿ 계대배양 프로토콜 및 교차 오염 방지 프로 토콜

Ÿ 생산비용절감 및 에너지이용 효율향 상 방안

Ÿ 동물플랑크톤 대량배양장치 Ÿ 고밀도 식물플랑크톤 공급 Ÿ 대량사육을 위한 산소공급 장치 Ÿ 순환여과시스템 이용효율성 검토 Ÿ 계대배양 프로토콜 및 교차 오염 방

지 프로토콜

- 페루해양연구원 해수어 양식시설 문제점 및 개선방향

기술적 문제점

Ÿ 작은 수조 규모 및 적은 수조 개수 Ÿ 저급 순환여과시설

Ÿ 부화기술 부족

Ÿ 먹이 영양 공급 기술 부족

Ÿ 낮은 친어 관리 밀도 Ÿ 낮은 치어 양성 밀도 Ÿ 긴 양성 기간

개선 방향

Ÿ 생산비용절감 및 에너지이용 효율향상 방안

Ÿ 부화기술

Ÿ 사료기술

Ÿ 초기 자어 먹이 종류

Ÿ 먹이 공급 기술

Ÿ 어류 성장 속도 개선 기술 Ÿ 수질관리기술

Ÿ 친어, 자어, 치어 관리 프로토콜 Ÿ 질병 예방 및 초기 대응 프로토콜

○ 페루 양식기술 관련 주요 검토의견

- 페루는 자연 수산자원량이 풍부하여 잡는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양식을 중요시하지 않았으 나 최근에는 수산자원 포획량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어 양식기술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 각은 하지만 이 문제가 시급하거나 진지한 분위기는 아니라고 판단됨.

- 양식산업 정책 결정 부재, 투자 부족, 추진 동력이 부족한 상황이며, 전국에 2개 정도의 양식 장밖에 없음

- 양식 연구 투자는 수산자원, 해양관측에 비해 후순위여서 페루해양연구원 자체에서 양식 투 자 비용을 마련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며 재원마련은 상급 부처와의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민간은 양식업을 하는 업체가 2개 정도 밖에 안되어 민간협력을 기대하기는 당장은 쉽지 않 을 것으로 보임. 한국업체가 페루 광어 양식에 투자하여 몇 년간 노력하였으나 현재는 사업 을 포기하고 철수한 것을 고려하여 민간 투자사업 실패이유 파악과 대안 마련 필요

- 세미나나 견학 같은 단기적 방법 이외에 중장기적인 접근방법이 필요

나) 기술공여사업 추진

① 2017 KOICA 카리브지역 무상원조사업 추진

○ 사업명: 기후변화로 인한 카리브 백사장 침식 대응방안 수립

○ 사업기간/사업비: 2017~2018/344만불

○ 주요 내용

- 카리브 국가연합 18개 국가 중 8개국가* 대상 모니터링 기자재 지원, 마스터 플랜 수립 등 해안침식 모니터링 역량 강화

* 쿠바, 도미니카 공화국, 아이티, 트리니다드 토바고, 안티구아 바부다, 그레나다, 자메이카, 파나마

○ 수원기관: 총괄은 ACS(카리브국가연합: Association of Caribean States), 기술담당 쿠바 해양 연구소 및 각국 해양담당기관

○ 배경 및 추진경과

- 2016.6.: 제 7차 ACS(카리브국가연합: Association of Caribean States) 정상회의 계기 외교장 관 지원공약 및 표제사업 발굴

- 2016.10: ACS측으로부터 공식 PCP 접수

- 2016.10.29.~11.1: 심층기획조사 실시: 사업 및 예산(안) 구체화 요청(KIOST 참석, 사업추진 자문)

- 2017.1.: PCP 수정(안) 접수

- 2017.3.: ‘기후변화로 인한 카리브 백사장 침식대응방안 수립사업’조사를 위한 전문가 파견 협 조 요청(KOICA, 2017.3.6.)

- 2017.4.: 사전전문가회의 참석, 사업 개요 발표 및 향후 추진 방향 논의

- 2017.4.22.~30.: 기획조사 실시(자메이카, ACS, KIOST 전문가 참여), KOICA-ACS 협약 체결

○ 향후 계획

- KOICA-KIOST 협약체결(2017.하반기) - 사업시행(2017.하반기)

② 콜롬비아 해양예보시스템 능력배양사업 추진

○ 사업명: 콜롬비아 해양예보시스템 연구능력 확충사업

○ 사업기간/사업비: 2018~2021년/2,000백만원

○ 목적

- 콜롬비아 연안통합관측 및 예보시스템 구축

○ 주요 내용

- 콜롬비아 실시간 해양관측 네트워크 및 해양예보시스템 구축 - 콜롬비아 해양예보전문가 양성

○ 배경 및 추진경과

- 2016.6.: 콜롬비아해양학위원회(CCO)-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간 양해각서 체결 - 2016.7.: 수원국으로부터 원조요청서(PCP) 접수

- 2016.9.: KIOST 콜롬비아 대사 면담

- 2016.9.: CPPS(남동태평양협의체)가 콜롬비아 운영해양예보시스템(COOS)와의 공동협력 의사 를 KIOST에 보내옴

- 2016.10: 콜롬비아 현지방문 조사 및 사업계획서 수립

○ 향후 계획

- 2019년 KOICA 사업 제안서 제출 예정

③ KOICA 페루 해양기후관측 모니터링 및 역량강화 사업 추진

○ 사업기간: 2016 ~ 2019 (4년)

○ 사업예산: 7백만불 (USD)

○ 추진경과

- 2014.07.: 사업 제안서 제출 - 2014.11.: 코이카 1차 심의 통과

- 2014.12.: 사업 예비조사 기획회의 개최

- 2014.12.: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전문가 추천 요청(해양수산부) - 2015.02.: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 2015.12.: KOICA 사업 선정

- 2015.12.: 외교부, 공공협력기관으로 KIOST 선정

- 2016.05.: KIOST-IMARPE간 KOICA 사업 추진 협의(IMARPE)

* IMARPE측에서 IMARPE에서 사업 수행위한 모니터링센터 공간 마련 약속 - 2016.5.-7.: 심층기획조사(KIOST 박요섭, 전동철, 김성대)

목적: 구체적 사업 범위, 한국-페루 양측간 분담사항, 사업 세부 추진계획, 전략 및 일정, 사 업 성과지표 및 모니터링 방안

주요 조사 일정: 장비 및 통신 분야(2016. 5. 20-25), 자료 관리 및 모니터링, 역량강화 분야 (2016.7.4.-8)

- 2016.07.: 2차 심층기획조사보고서 제출

- 2016.08.: 페루 코이카사무소에서 코이카본부에 심사판정 의뢰 - 2016.11.: APCI에서 페루해양연구소(IMARPE)로 공문 발송

* 페루 코이카에서 현 프로젝트가 승인되지 않았음(부이장비에 대한 높은 위험성과 보험료 분담 등의 문제)

- 2017.03.: 해수부, KIOST, 페루코이카소장 면담

* 페루 코이카사업의 문제점 확인 및 사업 추진 관련 논의

- 2017.4.~5.: 기존 페루코이카기획조사보고서 재검토 및 재기획 추진(엘리뇨, 능력배양에 초점)

Dalam dokumen 요 약 문 (Halaman 7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