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추해 볼 수 있다.
한편,CBD의 경우 리모델링,재건축 이후 프라임 오피스 빌딩 저층 부를 대형 서점으로 이용 또는 면세점,영화관과 같은 특수한 용도로 사 용되고 있으며,YBD는 권역의 특징 상 주변부에 오피스 입주자들이 이 용 가능한 상업시설의 부족으로 오피스 내 상업시설을 확대한 것으로 예 상된다.그러나 GBD의 경우,강남이라는 대형 상업지역이 인근에 인접 해 있어 대형 오피스 입주자들이 오피스 내 공간 이외에 상업시설의 이 용이 가능한 점들로 인해 그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3)층
오피스 내 상업시설은 지하층에 평균 60%의 비율로 구성이 되며, 현재 권역별 지상층과 지하층의 상업시설 면적 비율은 크게 차이가 나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준공시점 대비 현재 상업시설은 지 상층과 지하층에서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지상층의 경우 권역별로 변 화가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지상층의 경우 보행레벨로 오피스 상주인 뿐만 아니라 보행자가 방 문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층간 변화량의 차이는 폐쇄되었던 오피 스 공간이 점차 개방되어 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4)업종
오피스 내 상업시설을 구성하는 업종의 80%는 식음시설과 판매시설 로 구성되어 있으며 권역별로 비교적 고르게 업종의 구성이 나타나고 있 었다.층간 업종의 구성을 살펴보면,지상층과 지하층에 주로 분포하는 업종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은행의 경우 전체 평균 93%가 지상 층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금융업의 특징상 접근성과 가시성 을 확보할 수 있는 지상층에 주로 입점하기 때문으로 보인다.또한 지상 층의 상업시설 면적 비율의 변화는 식음시설인 카페시설의 증가와 관련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지상층의 카페 입점은 오피스 임대료 구조 가 전세구조에서 임대구조로 바뀌면서 전세형태로 입점해 있는 은행 대 신 빠른 현금수익을 거두어들일 수 있는 대기업 프렌차이즈 카페로 전환 되기 시작하면서 임대형 오피스를 중심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 인다.또한 지상층 대부분이 카페시설이 분포하는 것을 통해 지상층의 업종 구성은 오피스 이용자뿐만 아니라 외부이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업 종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준공연도 대비 현재 시점의 상업시설 면적 비율이 증가한 가운데 식 음시설과 판매시설 간 면적비율의 음의 상관관계는 증가한 상업시설의 면적이 식음시설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즉 준공연도 에 따른 오피스 내 상업시설의 업종 구성 변화는 오피스 내 상업시설이 특정 고객층을 대상으로 판매활동이 주를 이루는 서비스 기능에서 다양 한 계층을 대상을 수용할 수 있는 식음시설의 확장으로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이외에 판매시설과 식음시설은 대부분 지하층에 분포하고 있었는데 은행시설과 카페로 단순 구분 지을 수 있는 지상층의 업종 구성과는 별 도로 지하층의 업종구성은 편의품 판매시설,선매품 판매시설,고급음식 점,레스토랑,일반 업종들이 동일 공간에 입점해 있는 지하층의 업종 구 성의 변화가 오피스 내 상업시설의 유형을 결정지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