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6.4 안정성 평가결과

6.4.2 수동적인 상황

Fig. 6.6에서지진해일파가해안안벽을월류하는경우시간에따른안벽의안정성변화를검토한다. 이때,

지진해일파를 5cm~8cm로변화시키고, 을제외한 안전율평가에사용된 조건들은 / 0.2, /

0.4, /2, 0.2, / 0.5, 0.2, /2, 30°이다. 안벽의 안전율변화를살펴보면

활동(Fig. 6.6(a))의경우 7초대까지지진의영향만을받고있으며, 안전율은약 7.2의값을가진다. 그후, 지진해

일파가안벽에도달하면서안벽을내측으로미는힘(활동력)이지배적으로작용하면서안전율은급격히감소 되고, 에따라 12%씩감소한다. 지진해일파가안벽을월류한후저항력으로작용하여안전율이다시초기의 상태로돌아오게되고, 시간이지날수록저항력이강해지면서안전율은초기의값보다큰값을가지게된다. 이는전도에대해서도활동과동일하며, 입사파고가증가할수록안전율이더욱낮아지며, 월류후안전율이가 장높아지는경향을나타낸다. 그리고, 지진과지진해일파를고려하지않는경우와비교할때안전율이급격히 감소함을알수있으며, 지진과지진해일파를고려하지않는경우해안안벽의안전율은활동과전도에서각각 43.24, 123.86을나타낸다.

80

Fig. 6.5. Time evolution of the computed water level fluctuation.

(a) Sliding mode

81 (b) Overturning

Fig. 6.6. Time series of safety factor of the quay wall for various values.

(2) 뒷채움재의 지하수위의 영향

다음의 Fig. 6.7은뒷채움재의초기지하수위변화에따른안전율의변화를나타낸다. 초기지하수위와안벽의

높이비 / 는 0(dry), 0.25, 0.5, 0.75 및 1(fully wet)로 변화시키며, / 를제외한안전율평가에사용된 조

건들은 / 0.2, / 0.4, /2, 0.2, 6 , 0.2, /2, 30°이다. 먼저, 활동에대해 / 가증가할수록안전율은약 7.6%씩소폭증가하며, / 0인경우 2.4로안전율은 최저를나타낸다. 전도에대해안전율은 / 가증가할수록약 8.2%씩증가하며, 활동과마찬가지로 /

0인경우 5.03으로안전율은최저값을나타내는것을알수있다.

(a) Sliding mode

82 (b) Overturning

Fig. 6.7. Time series of safety factor of the quay wall for various values.

(3) 수직지진가속도계수의 영향

수직지진가속도계수 의증가(0, /2, )에따른안전율변화를 Fig. 6.8에나타낸다. 를제외한안전 율 평가에 사용된 다른 조건들은 / 0.2, / 0.4, / 0.5, 0.2, 6 , 0.2, /2, 30°이다. Fig. 6.8에나타난바와같이, 가증가할수록시간의변화에따른안전율이일정 한비율로감소하는것을확인할수있다. 안전율은활동에대해 가증가할수록약 12.8%씩감소되며, 전도

에대해서도약 13.3%씩감소된다.

(a) Sliding mode

83 (b) Overturning

Fig. 6.8. Time series of safety factor of the quay wall for various values.

(4) 수평지진가속도계수의 영향

Fig. 6.9는수평지진가속도계수 의증가에따른안전율변화를나타낸것이다. 를제외한안전율평가

에사용된다른조건들은 / 0.2, / 0.4, / 0.5, /2, 6 , 0.2, / 2, 30°이다. 먼저, 수동에 대한 결과로 가 증가할수록 안전율은 점차 감소하며, 감소된 비율은 약

43.5%로큰폭으로감소한다. 전도에대해서도 가증가할수록약 50.3%씩큰폭으로감소하고있음을확인

할수있다.

(a) Sliding mode

84 (b) Overturning

Fig. 6.9. Time series of safety factor of the quay wall for various values.

(5) 흙의 내부마찰각의 영향

다음의 Fig. 6.10은내부마찰각 의차이(25°~40°)에따른안전율변화를나타낸것이다. 를제외한안

전율에 사용한 다른 조건들은 / 0.2, / 0.4, / 0.5, /2, 6 , 0.2, /2, 0.2이다. Fig. 6.10(a)와같이 의증가에따라약 39.2%씩증가하며, 35°인경우초기 안전율이 9.7에서안벽에도달하는순간급격히떨어지고월류후안전율은점차상승하다가최고 11.3까지증

가한다. 그리고, 전도의 경우(Fig. 6.10(b)) 가 증가함에 따라 48.42%씩 안전율이 증가하며, 초기안전율은

12.7~41.6까지증가한다.

(a) Sliding mode

85 (b) Overturning

Fig. 6.10. Time series of safety factor of the quay wall for various values.

(6) 벽마찰각의 영향

Fig. 6.11은벽마찰각 의변화에따른안전율변화를나타낸것이다. 을제외한안전율평가에사용된조

건들은 / 0.2, / 0.4, / 0.5, /2, 6 , 0.2, 30°, 0.2이다.

활동(Fig. 6.11(a))에대해 가 0~ /2로증가하면서안전율은 21.3% 가량증가하며, 초기안전율은 5.81~7.05로

증가한다. 전도(Fig. 6.11(b))에 대해 안전율은 가 0~ /2로 증가하면서 45.8% 증가하며, 초기안전율은

12.2~17.9로증가한다.

(a) Sliding mode

86 (b) Overturning

Fig. 6.11. Time series of safety factor of the quay wall for various values.

(7) 간극수압비의 영향

간극수압비 의차이에따른해안안벽의안전율변화를 Fig. 6.12에나타낸다. 안전율평가에사용되는다 른 조건들은 / 0.2, / 0.4, / 0.5, /2, 6 , δ /2, 30°, 0.2

이다. 활동의경우 가 0~0.4까지증가하면서안전율은약 19.4%씩감소하는경향을나타낸다. 전도의경우

가증가하면서안전율은약 21.5%씩감소하는것을알수있다.

(a) Sliding mode

87 (b) Overturning

Fig. 6.12 Time series of safety factor of the quay wall for various values.

6.4.3 주동적인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