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의 구성과 내용
기초방정식
액체와의 명확한 인터페이스로 식별할 수 있습니다. 즉, 서로 다른 유체(여기서는 액체와 기체)를 밀도와 점성을 고려하여 운동방정식 (2.2)~(2.4)로 표현합니다.
LES에 의한 난류응력의 해석
감쇠영역의 감쇠계수 ̂는 밀도, ̂는 동점도계수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위의 식에서 밀도와 동점도계수는 기체인지 액체인지를 결정하는 공간과 시간의 함수이다.
각 상에서 경계면의 추적
SMAC법에 의한 이산화
연속방정식을 만족함으로써 계산된 과도유량장 ̃은 다음 식과 같이 압력보정을 위한 포아송방정식을 얻는다. 다음 방정식(2.19)으로부터 압력 보정을 위한 연립 선형 방정식을 구합니다.
고립파의 수치조파
3장 쓰나미 파도의 힘은 육지의 집에 작용합니다. 14 쓰나미 파력의 3차원 수치해석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다.
육상가옥군에 작용하는 지진해일파력
수치해석결과와 수리실험결과의 비교
또한 수력실험에서는 측정된 쓰나미 파력을 역산하여 값을 추정하였다. 3.12와 3.13은 수학적 실험과 이번 수치해석을 통해 계산된 값의 분포와 회귀곡선을 보여준다.
단일육상가옥에 작용하는 지진해일파력의 평가
수치해석에 의한 최대지진해일파력
0.12(CASE E)의 경우 /의 변화에 따라 육상주택에 작용하는 쓰나미파력을 수치해석으로 계산하였다. 여기서 액션 웨이브의 위력이 감소하지 않고, /떠날 때에도 증가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지진해일파력의 추정
그림에서 보면 쓰나미파가 구조물의 위치에 도달하는 순간 유속이 가장 높은 값에 도달하고, 침수심도는 구조물의 위치에 도달한 후 약 0.1초 후에 가장 높은 값에 도달한 후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감소합니다. 결과적으로 저항력이 관성력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정된 쓰나미파력이 수치해석값을 잘 재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언
결과는 쓰나미 파력이 크게 과대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4장 육상 저장 탱크에 작용하는 쓰나미 파력.
육상저유탱크에 작용하는 지진해일파력
수치해석에 의한 최대지진해일파력
측정되었으며, ⁄이 가장 높은 CASE 5에서 가장 큰 값을 나타냈다. 즉, 은색 탱크가 작을수록, ⁄가 높을수록 더 커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지진해일파력의 추정
이는 최대 쓰나미 파력을 수치해석값으로 나누어 무차원화한 결과이다. 항력계수, 관성계수, 쓰나미파력을 추정하기 위해 식 (3.7)을 적용하였고, 식 (3.9)와 (3.10)로부터 항력계수와 관성계수를 추정하였다.
결언
그림 5.1은 쓰나미로 파괴된 해안 벽의 예를 보여줍니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과 쓰나미가 해안 제방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를 활용한다.
안정성 평가방법
- 지진에 의한 토압
- 안벽의 지진관성력
- 동수압
- 정수압
- 지진해일파력
- 지진해일파력에 관한 수치해석조건 및 결과
본 연구에서는 쓰나미 파력을 계산하는 두 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는 제안된 방정식에 따른 쓰나미 파도의 위력을 보여줍니다.
해안안벽의 안정성
활동
여기에 바닥 마찰과 안벽의 무게가 있습니다. 여기에 바닥 마찰과 안벽의 무게가 있습니다.
전도
안정성 평가결과
수동적인 상황
결과를 보면 값이 높아질수록 활동 및 팁핑에 대한 안전율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안전율의 차이는 값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합니다.
주동적인 상황
이러한 결과는 제안식과 수치해석 모두에서 동일하며, 제안식과 수치해석의 안전율 차이는 값이 커질수록 작아진다. 의 경우를 보면 의 값이 증가할수록 활동에 대한 안전계수는 1.7~2.0으로 증가하고, 쇠퇴에 대한 안전계수는 이다.
결언
제6장 지진 및 쓰나미로 인한 유출을 고려한 연안 안벽의 안정성 평가. 본 장에서는 뒷채움재를 투수성 재료로 가정하여 쓰나미파가 안벽을 넘나드는 경우를 가정한다.
해안안벽의 안정성해석을 위한 이론적 배경
- 지진해일파력
- 지진에 의한 토압
- 안벽의 지진관성력
- 동수압
- 정수압
포트에 작용하는 동수압은 5장과 같습니다. 포트에 작용하는 정수압 역시 5장과 같다.
안정성 평가방법
수동적인 상황
패시브 상태에서 전복에 대한 안벽의 안정성은 그림 1에 나와 있습니다. 각 힘은 6.2(a)의 안벽의 하단을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주동적인 상황
위의 방정식을 사용하여 수동 및 능동 모드에서 활동 및 전복에 대한 방파제의 안정성을 평가합니다. 보다 다양한 조건에서 안벽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쓰나미 파고, 안벽 뒤 수심, 수직 지진 가속도 계수, 내부 마찰각, 벽 마찰각 및 간극수압 비율을 Table 1과 같이 변경하여 검토하였다. 6.1.
안정성 평가결과
지진해일파력에 대한 수치해석결과
이것이 그 결과이며, 쓰나미가 안벽을 침수시켜 제방의 지하수위를 변화시키는 과정을 사진을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수동적인 상황
다양한 값에 대한 방파제 안전계수의 시계열입니다. 6.7은 되메움재의 초기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안전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안전계수는 약 12.8% 감소합니다.
주동적인 상황
활성 상태의 경우 활성도와 전도성이 증가함에 따라 안전율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수직방향 지진가속도계수의 차이에 따른 해안안교벽의 안전율 변화는 Fig. 활동 횟수가 증가할수록 안전계수는 약 3.8%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낙상 횟수가 증가할수록 안전계수는 약 3.58%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언
반면 활동상태에서 해안벽에 도달하는 쓰나미파는 항력으로 작용하여 안전율이 증가한다. 또한 지진, 쓰나미 파도 및 지하 매립.
육상저유탱크에 작용하는 지진해일파력
이를 통해 쓰나미 파력 평가에는 항력과 관성력을 동시에 고려하는 추정 방법이 더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이를 통해 쓰나미 파력 평가에는 항력과 관성력을 동시에 고려하는 추정 방법이 더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지진 및 지진해일파 작용하의 해안안벽의 안정성 평가
또한 쓰나미 파고와 간극수압의 경우 값이 커질수록 패시브 상황에서는 안정성이 감소하고 액티브 상황에서는 안정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활동상황에서는 쓰나미파도가 저항력으로 작용하여 해안부두의 안정성을 높여준다.
지진 및 지진해일파의 월류를 고려한 해안안벽의 안정성 평가
지진과 쓰나미를 고려한 경우보다 높은 132.7이었으며, 활성상태에서의 안전계수는 활성의 경우 0.86, 활성의 경우 0.86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상태에서는 범람 전의 쓰나미파가 저항력으로 작용하여 안전계수를 증가시키는 반면, 범람 후에는 활동력으로 작용하여 궁극적으로 안전계수를 감소시키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2009), 직사각형 구조물에 작용하는 쓰나미 힘의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