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6.4 안정성 평가결과

6.4.3 주동적인 상황

87 (b) Overturning

Fig. 6.12 Time series of safety factor of the quay wall for various values.

6.4.3 주동적인 상황

88 (a) Sliding mode

(b) Overturning

Fig. 6.13 Time series of safety factor of the quay wall for various values.

(2) 뒷채움재의 지하수위의 영향

Fig. 6.14는뒷채움재의초기지하수위와해안안벽의높이와의비 / 의변화에따른안전율의변화를

나타낸것이다. / 를건조한상태에서포화상태까지 5단계로변화시키며, / 를제외한안전율변화 에 사용된 조건들은 / 0.2, / 0.4, /2, 0.2, 6 , 0.2, /2,

30°이다. 주동상태의경우는활동과전도모두 / 가증가할수록안전율이감소하는경향이나타나며, 활

동의경우 / 가증가할수록약 20.6%씩, 전도의경우 / 가증가할수록약 19.1%씩감소한다.

89 (a) Sliding mode

(b) Overturning

Fig. 6.14. Time series of safety factor of the quay wall for various values.

(3) 수직지진가속도계수의 영향

수직지진가속도계수 의차이에따른해안안벽의안전율변화를 Fig. 6.15에나타낸다. 안전율평가에사 용되는 다른 조건들은 / 0.2, / 0.4, / 0.5, 0.2, 6 , 0.2, / 2, 30°이다. 활동의경우 가증가함에따라안전율은약 3.8%씩감소하는경향을나타내며, 전도의경 우 가증가하면서안전율은약 3.58%씩감소한다. 이것으로안벽의안정성에수직지진가속도계수의영향은 미소한것으로판단된다.

90 (a) Sliding mode

(b) Overturning

Fig. 6.15. Time series of safety factor of the quay wall for various values.

(4) 수평지진가속도계수의 영향

Fig. 6.16은수평지진가속도계수 의차이에따른안전율의변화를나타낸것이다. 안전율평가에사용된

조건들은 / 0.2, / 0.4, / 0.5, /2, 6 , 0.2, /2, 30°이다.

활동의경우 가 0.1~0.4로증가함에따라 30.8%씩감소하며, 안전율은 0.1인경우 3.07로가장큰값

을나타낸다. 전도에대해서안전율은 가증가함에따라 25.6%씩감소하며, 0.1인경우 1.83로가장

큰값을나타낸다.

91 (a) Sliding mode

(b) Overturning

Fig. 6.16. Time series of safety factor of the quay wall for various values.

(5) 흙의 내부마찰각의 영향

Fig. 6.17은내부마찰각 의변화에따른안전율변화를나타낸것이다. 을제외한안전율평가에사용된

다른 조건들은 / 0.2, / 0.4, / 0.5, /2, 6 , 0.2, /2, 0.2이다. 활동에대해 가25°~40°로증가함에따라초기안전율은 0.830~1.167로증가하며, 이는각각 13.3%

가량의증가율을나타낸다. 또한, 전도에대해안전율은 11.9%씩증가하며, 초기안전율은 0.3~0.42까지증가한

다.

92 (a) Sliding mode

(b) Overturning

Fig. 6.17. Time series of safety factor of the quay wall for various values.

(6) 벽마찰각의 영향

Fig. 6.18은벽마찰각 의차이에따른안전율변화를나타낸것이다. 을제외하고안전율평가에사용된

조건들은 / 0.2, / 0.4, / 0.5, /2, 6 , 0.2, 30°, 0.2이다.

활동의경우 가 0에서 /2으로증가함에따라안전율은 18.7%가증가하며, 전도의경우 31.4%가증가한다.

93 (a) Sliding mode

(b) Overturning

Fig. 6.18. Time series of safety factor of the quay wall for various values.

(7) 간극수압비의 영향

Fig. 6.19는간극수압비 의차이에따른안전율변화를나타낸것이다. 안전율평가에사용된조건들은

/ 0.2, / 0.4, / 0.5, /2, 6 , δ /2, 30°, 0.2 이다.

0.4인경우활동에대해초기안전율은 1.08이며, 지진해일파가안벽에도달하는 8초이후 2.55로급격히증가 하다가월류후점차감소하여초기안전율보다낮은 0.67까지감소한다. 가증가함에따라안전율은약 18.9%

씩증가한다. 전도의경우 0.4에서안전율은시간에따라초기 0.38에서최대 1.58까지증가하였다가 0.25

로감소하며, 가증가함에따라 12.6%씩증가하는경향을나타낸다.

94 (a) Sliding mode

(b) Overturning

Fig. 6.19. Time series of safety factor of the quay wall for various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