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3.1 컨버터 설계

3.1.3 수동 필터 설계

제안하는 방식은 메인 컨버터의 출력 수동 필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대신 능동 출력 필터 구성을 위한 수동 필터가 추가된다. 따라서 제안한 방식을 통한 수동 필터 저감이 유효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절에서는 제안하는 방식을 적용한 시스템의 수동 필터를 설계하고 기존 방식에서의 수동 필터와 비교하였다. 비교군으로는 일반형 포워드 컨버터 방식과

직렬형 DC-DC 컨버터 방식을 구성하여 비교하였다.

각각의 인덕턴스 및 캐패시턴스 등은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위칭 주파수와 각 소자의 값을 정규화(Normalize)하여 진행하였다.

정규화 기준은 일반적인 단일 포워드 컨버터에 대해 ILF_pkpk/IO_max가 0.1이 되는 값을기준으로 LF, FsF, KAP를 각각 1로정규화 하였다.

3.1.3.1 인덕터 설계

자성 소자의 코어를 선정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121]에 나와 있는다음 식 (3.1)을바탕으로 필터인덕터의 코어를 설계하였다.

2

min AP pk .

APK LI (3.1)

여기서 AP(Area Product)는 인덕터 코어의 단면적과 권선을 위한 면적의

곱으로서 자성 소자 코어의 고유한 값이다. 단위가 길이의 네 제곱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부피나 크기를 나타내지는 않지만, 상대적인 비교가

54

가능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 값을 기준으로 제안한 방식과 기존의

직렬형 DC-DC 방식 간의 인덕터 코어의 부피 저감을 비교하였다.

우선 제안한 방식을 통한 메인 컨버터의 출력 인덕터의 저감 가능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제안한 방식에서 능동 출력 필터가 메인 컨버터 출력 인덕터 전류 리플을 상쇄시키므로 전류 리플에 대한 제약 없이 LF의 인덕턴스를 줄일 수 있다. 물론 이로 인해 커지는 전류 최대값이 선정한 능동 소자의 정격 전류 용량을 벗어나거나 RMS 전류 증가로 도통 손실이 증가할 수 있으나 이는 컨버터 설계 조건에 따라 상이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능동 소자의 정격을 고려하여 전류의 첨두치가 정격 부하

전류의 120% 미만이 되는 것을 기준으로 인덕터 저감 한계를 분석하였다.

포워드 컨버터에서 출력 필터 인덕터 전류의 첨두치는 다음 식 (3.2)를 만족해야 한다. 여기서 ILF_pkpk는 식 (3.3)과 같고 Isw_rate는 능동 소자의 정격 전류이다.

_ _ max _ _

1 ,

LF pk O 2 LF pkpk sw rate

IIII (3.2)

_ O (1 ) .

LF pkpk F sF

F

I V D T

L  (3.3)

이를 이용하여 최소 LF를 구하면 다음 식 (2.2)와 같다.

_ min

_ _ _ max

(1 ) (1 )

2 ( ),

F O F O

F

sF LF pkpk sF sw rate O

D V D V

L F I F I I

 

 

 (3.4)

식 (2.2)를바탕으로 식 (3.1)을 다시정의하면 다음 식 (3.5)와같다.

55

2

_ min _ min _ max

_ min

( (1 ) )

2

O

F P F O F sF

F

AP K L I V D T

  L  (3.5)

ILF_pkpk=0.1·IO_max인 지점을 기준으로 정규화한 APF_min를 도시하면 그림 3.2와 같다. 능동 소자의 정격 전류가 허용하는 범위내에서는 인덕터 코어의 축소 설계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안하는 방식은 최대 출력 전류 대비 인덕터 전류의 첨두치 진폭 비율을 크게 설계할 수 있는 시스템에 더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직렬형 DC-DC 컨버터 구성과 제안하는 시스템에서 추가되는 필터 인덕터의 최소 AP를 구하였다. 직렬형 DC-DC 컨버터의 인덕터(LPR)와 제안하는 시스템의 능동 출력 필터의 인덕터(LA)에 흐르는

그림 3.2 정규화한인덕턴스와 메인컨버터의 스위칭 주파수에따른

최소 AP.

0

0.5

1 0.2 0.4

0.6 0.8 0 1

0.5 1 1.5

LF (p.u.) FsF (p.u.)

AP Fmin (p.u.)

0.4 0.5 0.6 0.7 0.8 0.9 1 1.1 1.2 1.3 1.4

56

전류 첨두치(ILPR_pk, ILA_pk)는 각각 다음 식 (3.6) 및 식 (3.7)과 같다.

_ _ max _

1

LPR pk O 2 LPR pkpk

III (3.6)

_ _ max _

1

LA pk A 2 LA pkpk

III (3.7)

제안한 방식과 직렬형 DC-DC 방식의 보조 컨버터들의 스위칭 주파수, FsA, FsPR가 앞서 언급한 정규화 기준점에서 메인 포워드 컨버터의 스위칭

주파수, FsF의 10배이고 보조 컨버터들의 필터 인덕터, LA, LPR의 인덕턴스

값이 메인포워드 컨버터의 인덕터, LF의인덕턴스 값의 1/10이라 가정하면 LFFsF에 따라서 포워드 컨버터의 최소 AP인 APF_min값과 능동 출력

필터와 직렬 DC-DC 회로들의 최소 AP인 APAOF_min, APPR_min 값들이

식 (3.1)을기준으로 다음 그림 3.3과 같이 정해진다.

제안하는 방식에서는 능동 출력 필터로 흐르는 전류가 부하 전류가

(a)

57 (b)

(c)

그림 3.3 메인 컨버터의 스위칭 주파수(FsF)와 메인 컨버터 필터 인턱턴스(LF)에따른 보조 컨버터 인턱터의 AP_min 비교, (a) 제안하는 방식 (단일 출력, IA_max=0), (b) 제안하는 방식

(다중 출력, IA_max=0.5IO_max), (c) 직렬 DC-DC 컨버터 방식.

58

아닌 능동 출력 필터 간에 흐르는 전류, IA에 의해서 전류 최대치가 결정된다. 단일 출력의 경우 정상 상태에서 이 값은 0이며 다중 출력의 경우 교차 제어에 의한 오차 성분이 IA가 된다. 그림 3.3(a)는 IA_max=0인

상태이고 그림 3.3(b)는 IA_max=0.5IO_max인 상태의 결과를 나타낸다. 메인

컨버터의 인덕터 AP 대비 직렬형 DC-DC 방식의 인덕터 AP가 10~30%인 반면 제안한 방식의 단일 출력에서는 1~2%, 다중 출력인 경우에도 3~15%

정도로 크게 축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다중 출력에서도 적절한

제어를 통해 IA_max를 축소 시킬 경우 그 값에 따라 단일 출력의 경우와

유사한 수준의 작은 AP를 가지는 코어로 제안한 능동 출력 필터의 인덕터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을 기반으로 하여 제안한 방식에서

그림 3.4 제안한 방식에서 메인 컨버터의 스위칭 주파수(FsF)와 메인 컨버터 출력 인덕터 인덕턴스(LF)에 따른 전체 정규화된 AP.

0.5 0.6

0.7 0.8

0.9

1 0.2 0.4

0.6 0.8

1 0

0.5 1 1.5

LF (p.u.) FsF (p.u.)

total AP (p.u.)

0.4 0.5 0.6 0.7 0.8 0.9 1

59

메인 컨버터의 인덕터를 포함한 전체 AP를 그림 3.4에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 LF의 인덕턴스를 줄여도 인덕터 전류 최대치가 스위치의 정격 전류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전체 시스템의 AP가 기존 방식

대비 1/2 이하로까지 줄일 수있음을 확인할 수있다.

60

3.1.3.2 캐패시터 설계

출력 필터의 캐패시터는 스위칭 전압 리플과 부하 변동 시 전압 변동 폭을 결정하게 되므로 이들 두 가지 기준을 바탕으로 선정하게 된다.

① 부하변동을 고려한캐패시터

제안한 제어 전략을 도입하면 그림 2.6에 나와있듯 능동 출력 필터의 빠른 부하 응답을 통해 출력 전압 변동을 최소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선형 전압 제어기를 사용하는 컨버터의 부하 변동 시 최대 전압 변동

폭은 다음 식 (3.8)과 같이 정해진다 [14]. 여기서 fCrt는 제어 대역폭을

증가시켜도 부하 변동 시 전압 변동폭이 감소하지 않기 시작하는 지점의

주파수로 식 (3.9)와 같이 결정된다. 시스템의 제어 대역폭이 fCrt 이상이면

부하 변동시 출력 전압 변동은 RCO와 ΔIO에 의해 결정된다.

2

_ _ max

1 (4 ) 1

8 8

,

CO O C

O O C Crt

O Tr O C O C

CO O C Ctr

R C f

I I f f

V C f C f

R I f f

     

  

  

(3.8)

1 .

Crt 4

CO O

fR C (3.9)

여기서 RCO는 출력 캐패시터의 기생 저항 성분(Equivalent series resistor)을 의미하고 fC는 전압 제어 루프의 대역폭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출력 캐패시터를 최소화하였기 때문에 fC<fCrt의 조건에 해당한다. 이를 토대로 부하 변동 시 전압 변동폭을 고려한 최소 출력 캐패시터 CO_Tr_AOF_min 의 값은 다음식 (3.10)과 같이 정해진다.

61

_ _ _ min

_ _ max

1 1

8 .

O Tr AOF O

O Tr CA

C I

V f

 

 (3.10)

제어 대역폭, fCA가 능동 출력 필터의 스위칭 주파수, FsA에 비례하면 제안하는 컨버터의 최소 출력 캐패시터의 값과 단일 포워드로 구성한 컨버터의 최소 출력 캐패시터의 값은 다음 식 (3.11)과 같이 결정된다.

_ _ _ min sF _ _ _ min.

O Tr AOF O Tr CF

sA

C F C

F (3.11)

여기서 FsFFsA는 각각 포워드 컨버터의 스위칭 주파수와 능동 출력 필터의 스위칭 주파수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메인 컨버터의 스위칭 주파수와 능동 출력 필터의 스위칭 주파수의 비율만큼 출력 캐패시터의 값을 줄일수 있게 된다.

② 스위칭 리플을 고려한캐패시터

제안한 방식을 적용하면 출력 캐패시터로 인가되는 전류, iCO를 저감할 수 있어 스위칭 리플 규제를 만족하기 위한 캐패시터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제안하는 방식에서 출력 전압리플은 다음 식 (3.12)와 같다.

_ 2

(1 )

(1 )

1 .

8

O A

A A A

O sw CO

A O sA A sA

V D

V D D

V R

L C F L F

 

   (3.12)

여기서 ΔVO_sw≤ΔVO_sw_max를 만족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스위칭 전압

리플을 고려한 출력 캐패시터를 설계하면 다음 식 (3.13)과 같다.

_ _ min 2

_ _ max

(1 )

1 .

(1 ) 8

A A A

O sw

CO O A A sA

O sw

A sA

V D D

C V R V D L F

L F

 

   (3.13)

62

RCO가 매우 작아 식 (3.13)에서 CO O(1 A) _ _ max

O sw A sA

R V D

L F V

   인 경우,

(1 )

CO O A 0

A sA

R V D

L F

  으로 가정 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스위칭 전압

리플을 고려한 캐패시턴스는 제안하는 방식을 통해 기존에 방식에 비해

다음 식 (3.14) 및 식 (3.15)와 같이 줄어들게 되며 그 축소 비율인 식

(3.15)의 KCO_swFsA/FsFLA/LF에 따라 그림 3.5에 나타내었다.

_ _ _ min _ _ _ _ min,

O sw AOF CO sw O sw CF

CK C (3.14)

그림 3.5 스위칭 리플 규제를 만족하는 최소 출력 캐패시턴스 비교.

2 4

6 8

10 0.1 0.2

0.3 0.4

0.5 0

0.2 0.4 0.6 0.8

LA/L F F

sA/F sF K COsw

0.1 0.2 0.3 0.4 0.5 0.6 0.7

63

2

_ 2

(1 )

(1 ).

sF

F A A A

CO sw

A sA IN S P F F

F

L V D D

K L F V N N D D

 

 (3.15)

이때, DADF는 일반적인 포워드 컨버터의 설계와 능동 출력 필터의 동작 범위를 고려하여 DA=0.5, DF=0.25로 가정하여 분석하였다. 일반형 포워드 방식 대비 최소 출력 캐패시터의 크기 비율인 KCO_sw가 능동 출력 필터의 스위칭 주파수의 제곱에 반비례하게 감소하므로 작은 능동 출력 필터 인턱터로도 출력 캐패시터를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능동 출력 필터의 위와 같은 두 가지 기능을 통해 부하 변동 시 전압 변동 폭 규제와 스위칭 전압 리플 규제를 만족하기 위한 캐패시터 값이 각각 정해지고 최종적인 출력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는 식 (3.10)과 식 (3.13) 중 큰 값인다음 식 (3.16)과 같이 결정된다.

 

_ _ min max _ _ _ min, _ _ _ min .

O AOF O Tr AOF O sw AOF

CC C (3.16)

64

3.1.3.3 능동출력필터의 캐패시터

제안하는 방식을 적용할 경우 출력 캐패시터 이외에 능동 출력 필터의 전압원으로 사용하는 캐패시터가 필요하다. 능동 출력 필터의 전압원으로 사용하는 캐패시터인 CA는 구조상 메인 컨버터의 출력 캐패시터보다 더 높은 내압을 요구하므로 단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능동 출력 필터의 캐패시터 최소값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CA의 최소 캐패시턴스는 식 (3.10)를 기반으로 다음 식 (3.17)과 같은 설계 기준을 가진다.

_ _ min

_ _ max

1 1

A Tr 8 O A

A Tr CF

C I D

V f

 

 (3.17)

±5%의 규제가 있는 출력 전압과 다르게 ΔVA_Tr_max에 대해서는 설계 규제가 없으므로 더 큰 전압 변동 폭으로 설계가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더 작은 캐패시턴스를 가지는 캐패시터로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vA에 대한 스위칭 리플 규제가 없으므로 기생 저항이 큰 전해 캐패시터를 사용해도 되므로 가격 측면에서 이점이 있을 수 있다. ΔVA_Tr_max 값을 VA의 20%, 즉,

ΔVA_Tr_max=0.2VA로 선정하는 경우 일반형 포워드 컨버터의 부하 변동 시

전압 변동을 고려한 최소 출력 캐패시턴스인 CO_Tr_CF_min에 비해 다음 식

(3.18) 만큼 축소된 캐패시터로 설계가 가능하다.

_ _ min _ _ _ min

5

A Tr 20 A O Tr CF

CD C (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