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48

P-스케쥴과 A-스케쥴의 비교를 통해 도출된 4가지 세부 스케쥴을 앞서 <표1>에서 언급하였던 미래예측기억의 의도성과 기록성에 의해 구분하면 다음과 같이 구조화할 수 있다.

그림 12. 의도성과 기록성에 따른 세부 스케쥴 유형화

제 2절 스케쥴 유형별 맥락과 특징

<연구문제 2>에서는 <연구문제 1>을 통해 유형화된 4개의 세부 스케쥴에 대해 각각 시간, 공간, 행동의 3가지 맥락에서의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49

OO의 경우 주로 오전 9시~저녁 6시까지에 집중되어 있다. 반면 저녁 9시 이후의 밤 시간에는 그 비중이 확연히 떨어진다. 반면 XO-1의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 증가하며, 밤에는 그 비중이 가장 많다. 하루 중 시간이 지날수록 의도하지 않은

스케쥴이 증가하며, 스케쥴의 사전 예측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간 흐름에 따른 사전 예측성의 감소는 사전예측 가능한 XO-2와 OO의 합이 오전부터 저녁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감소하는 것에서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하루의 시간흐름 속 일상에서는 오전에 캘린더의 기록성과 예측성이 가장 높은 이후로는, 의도하지 않은 스케쥴의 개입에 따라 캘린더의 기록성과 사전예측성은 떨어지게 됨을 확인하였다.

그림 13. 시간흐름에 따른 스케쥴 총시간 비교

0 50 100 150 200 250

아침 오전 오후1 오후2 저녁

XO(2) OO OX XO(1) (시간)

50

그림 14. 시간흐름에 따른 스케쥴별 시간 비중

1-2. 주중과 주말의 구분에 따른 스케쥴의 비중 비교

주중(월~금)과 주말(토~일) 구분에 따른 하루 평균 스케쥴 시간 비교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난다. OO의 시간은 줄어든 반면, XO-1의 시간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절대적인 시간뿐 아닌, 전체적인 비중의 비교에서도 XO-2와 OX의 비중에는 큰 변화가 없는 반면, OO의 줄어든 비중과 XO(1)의 늘어난 비중은 확연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현대인의 일상은 하루의 주기적 24시간 중에서 오전에서 밤으로 갈수록, 그리고 주기적 1주일 중에서 주중에서 주말로 갈수록, OO는 줄고 XO-1 스케쥴이 증가하며, 기록성과 예측성이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44.2%

41.1%

33.5%

44.6%

19.6%

37.8%

14.3%

45.4%

43.0%

34.7%

43.8%

13.2%

11.7%

4.9%

5.7%

3.3%

6.9%

4.3%

29.9%

8.6%

17.8%

17.4%

29.7%

44.7%

0% 20% 40% 60% 80% 100%

아침 오전 오후1 오후2 저녁

XO(2) OO OX XO(1) (비중, %)

51

그림 15. 주중, 주말의 하루 평균 스케쥴 시간

그림 16. 주중, 주말의 스케쥴 비중 비교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일주일 동안 진행되는 과정에서, 실험에 0

20 40 60 80 100 120 140

주중 주말

XO(2) OO OX XO(1)

37.0%

37.2%

37.7%

29.8%

4.6%

5.0%

20.7%

28.1%

0% 20% 40% 60% 80% 100%

주중 주말

XO(2) OO OX XO(1) (비중, %) (시간)

52

대한 피로도 등으로 주중에서 주말로 갈수록 이벤트가 줄어들지는 않았을까 확인하였지만, 요일별 수집된 이벤트 개수에는 특정한 흐름 또는 패턴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또한 이미 리쿠르팅 단계에서 스크리닝을 통해, 평소 주중, 주말 구분 없이 규칙적으로 캘린더를 사용해온 피실험자를 모집한만큼, 실험참여 기간 동안도 평소 개인의 성향에 따른 스케쥴링 외 별도의 실험진행 등이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따라서 주중에서 주말로 이어지는 실험기간이 주중, 주말의 스케쥴 개수 및 비중에는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림 17. 요일별 수집된 이벤트 개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