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본 연구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효율적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시하여 실 증 분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기존 컨테이너 터미널 연구에서는 주로 재무제표 등을 분석한 사례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본 연구는 요인을 추출하고 가설을 검정 하여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컨테이너 터미널 종사자에게 효율적 운영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운영 성과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기

여할 것이다.

두 집단의 T-검정한 내용을 기반으로, 외국적 터미널 운영사는 풍부한 자금력과 글로벌 영업망을, 국적 터미널 운영사는 전문화된 항만 운영 노하우를 이용한 차 별화된 서비스 제공을 중점적으로 향상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나아가 향후 국내 항만 시장을 육성 및 활성화하는데 있어, 선진화된 GTO의 운영 방식을 적극 도입 하고 국적 터미널 운영사들을 통합하여 과당경쟁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가설 검증에서는 조직 특성에서 경영자 의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 업의 특성상 운영 및 의사결정의 주체가 경영자임을 반영한 것으로, 경영자의 합 리적인 의지가 기업의 효율성 운영 요인으로 잘 활용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구축 해야 할 것이다.

조직 문화에서는 기업 문화가 높게 나타났는데 기업 문화는 해당기업의 고유한 특성으로 기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하므로, 올바른 기업 문화가 잘 정 착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과제

본 연구의 결과와 해석은 몇 가지 한계점 및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수 측정에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운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 직 특성과 조직 문화 요인만을 고려하였으나, 이외에도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 성 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추가적으로 추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만을 연구대상으로 삼았기 때문 에 국내 전체의 컨테이너 터미널로 연구결과를 확대 적용시키기는 어렵다.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 효율성 요인에 대한 실증연구로 터미널의 효율적 인 운영을 위한 핵심요인들이 도출되었고 도출된 요인들 간의 중요도를 분석하였 다. 상술한 요인들이 실제로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글로별 경쟁력 강화와 관 련이 있는지에 대한 분석은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지 않으며, 터미널 운영사의 마 케팅 전략, 정부의 정책과의 관계 등 정상적인 요소가 생산성 및 효율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도 보완되어야 한다. 따라서 향후 회귀분석과 고차원 적인 분석 툴을 사용하여 실시해야 할 것이다.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보다 효율적인 운영사간 통합을 위해 단순 지분율 경 쟁에 국한되고 있는 실정에서 벗어나 부산항이 전체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효율성 제고 방안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부산항 터미널 8개 운영사의 일정 기간 동안 한정된 설문 자료를 인 용함으로서 논거의 일반화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터미널별 운영실적을 터미널 별 선석 및 야드 규모 등 단위 투입요소와 단순 비교함으로서 각 터미널별 운영체 계 차이에 따른 생산성 차이는 고려되지 않고 있다. 또한 북항과 신항이 각각 가 진 조건을 배제하고 단순히 국적 터미널 운영사와 외국적 터미널 운영사 각 종사 자들의 인식차이로 비교하는 것은 현실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부산항 터 미널 운영사 간의 통합이 진척된 이후 계속된 투자 및 이에 따른 물동량 증가에 따른 시계열 자료에 기초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국내 문헌>

강길현ㆍ손재홍(2012), “직무 및 조직 특성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 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강상곤(2001), "DEA 모형을 이용한 컨테이너 항만 및 터미널의 효율성 평가에 관 한 실증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광희(2003), "컨테이너 선사의 전략적 제휴 대상 선택요인", 「해운물류연구」, 제38호, pp.47-70.

김성용(2008),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의 문제점과 경쟁력 요인에 관한 실증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우선(2013), "3만 TEU급 초대형 컨테이너선박 재원 분석 연구", 「계간 해양수 산」, 3권 2호, pp.16-36.

김욱철(2018), “한국형 글로벌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 설립방안에 관한 연구”, 한 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율성ㆍ정학빈ㆍ신영란(2017), “GTO 운영적 특성별 국내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의 효 율성 및 생산성 변화 비교연구”, 「해운물류연구」, 제33권, 제3호, pp.555-575.

김의재(2018), “글로벌 항만운영업체(GTO)가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 발전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인수(2011), “우리나라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국제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 구”, 한국해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현주ㆍ허진ㆍ최웅(2010), “외식업체의 조직 특성과 고객지향성의 관계에 관한 탐 색적연구”, 「외식경영학회지」.

김현진(2016), “글로벌 선사간의 인수 합병을 통한 얼라이언스 재편과 국내 해운사 들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류동근(2005), “국내 컨테이너전용터미널의 효율성 비교: DEA 접근”, 「해운물류 연구」, 제47호, 한국해운물류학회, pp.21-38.

박만희(2008),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한국학술정보, pp.74-81.

박찬관(2001), “조직 문화와 리더쉽간의 적합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호철(2019), “부산항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 재구 성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백영란(2015), “호텔조리사의 조직 특성이 자기효능감에 따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창석ㆍ박창대(2002). “호텔기업 의 EVA(경제적 부가가치) 변동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연구」,pp.123-147.

송진용(2010),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의 경쟁력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양병찬(2017), “한진해운 파산 1년, 해운법제의 개선과제”, 한국해양대학교 학술지, pp.9-31.

윤영덕(2018), “해외 선진 GTO(Global Terminal Operator) 성장 사례 분석을 통한 대한민국 GTO 발전 방안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윤정희(2016),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항만하역시장 안정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영준(1991), 「SPSS/PC를 이용한 다변량분석」, 석정.

이영훈(2014), “글로벌 얼라이언스 전략을 통한 해운기업의 경쟁력 제고 방안에 관 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정희(2019), “상해항 컨 물동량 4.2% 증가, 3,842만 TEU 처리”, 한국해사문제연 구소 학술지, pp.120-123.

임민규(2017), “우리나라 항만 터미널 운영 업체의 해외 시장 진출 전략에 관한 연 구”,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석주ㆍ박경곤ㆍ최성기(2011), “호텔조리부 조직 특성이 직무교육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외식경영학회지」.

정창욱ㆍ김일경(2007), “기업의 조직 문화와 기업의 규모에 따른 ERP 시스템 도입 의 성공요인 분석”,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정태원ㆍ곽규석(2001), “동종 항만군 분류를 통한 컨테이너항만의 운영효율화 방안 에 관한 연구.” Vol.19. No.1, 대한 교통학회.

조규성ㆍ황홍석ㆍ배석태(2007), “컨테이너터미널 운영능력 분석에 관한 연구”, 한 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 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조윤기(2006), “한ㆍ중ㆍ일 컨테이너항만의 효율성 비교 분석”, 「동북아경제연 구」, 제18권 제3호,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채서일(2002), 「사회과학조사 방법론」, 제3판, 서울: 학현사.

최만기(2013), “한국기업의 조직 특성, 윤리경영, 조직성과 및 지속가능성에 관한 실증연구”, 「경영경제학회지」.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7), “2017 해운통계요람”, 「Shipping Statistics Handbook」.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7), “거대선사의 시장지배력 확대에 대한 국적선사의 대응 방향” 「KMI 현안연구」, 제 47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7) “부산항, 2,000만 TEU 달성의미와 향후 과제” 「KMI 동향분석」, 제 64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8) “2017년 우리나라 컨테이너 항만 선석생산성 크게 개 선” 「KMI 동향분석」, 제 81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8) “초대형 컨테이너선은 몇 척이고, 얼마나 클까요?”

「KMI 인포그래픽」, 통권 제 2호.

해양수산부(2015), “부산항, 2020년까지 ‘세계2대 환적거점항’으로 육성”, 보도자료.

해양수산부(2017), “해운시장 얼라이언스 재편의 영향 및 대응방안 연구”, 보 도자료.

해양수산부(2018),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 체계 전면 개편”, 보도자료.

<국외 문헌>

Allen, L.(1958),

Managementand Organization

, McGraw-Hill.

Alphaliner(2016),

Alphaliner Weekly Review

, Volume 2016 Issue 35. August 31, 2016.

Bergeron, F. & Raymond, L.(1992), "The Advantages of Electronic Data Interchange",

Database,

Vol.23, No.4, Fall.

Brown, A. D. and Starkey, K.(1994),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Communication andInformation”,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 31(6).

Cheon, S. H., Dowell, D. E. & Song, D. W.(2010), “Evaluating Impacts of Institutional Reforms on Port Efficiency Changes”,

Ownership, Corporate Structure,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Changes of World Container Ports

,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Vol.46.

Denison, D. R. and Mishra, A. K.(1995),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Effectiveness,”

Organization Science,

6(2), pp.204-223.

Drewry Maritime Research(2018),

Global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Annual Review and Forecast - 2018.

Farrell, M. J.(1957), “The Measurement of Productive Efficiency”,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 120(3), pp.253-290.

Govindarajan, V. & Fisher, J.(1990), “Strategy Control System and Resource Sharing:

Effect on Business-unit Performance”

,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Ha, Myung-shin, and Phyu, Win-ei(2013), “The Efficiency Analysis of Yangon Container Terminals in Myanmar -Based on DEA-”,

Korea International Commerce Review

, Vol.28, No.3.

Jones, G. R.(1983), “Transaction Costs, Property Rights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 Exchange Perspective

. ASQ, 28, pp.25-43.

Kaisar, E. I., Pathomsiri, S. & Haghani, A.(2006), “Efficiency Measurement of US Port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National Urban Freight

Conference,

Long Beach, CA.

Lambert, D. M., Stock, J. M. and Ellram, L. M.(1998),

Fundamental of Logistics Managemen

, Boston, MA, Irwin/McGraw-Hill.

Leach, P. T.(2014), “Survival of the Biggest”,

Journal of Commerce,

Vol.14 No.20, p.43.

Midoro, R. and Pitto, A.(2000), “A Critical Evaluation of Strategic Alliances in Liner Shipping”,

The Flagship Journal of International Shipping and Port Research,

Vol.27 No.1.

Narver. J. C. & Slater, F. S.(1990), “The Effect of Market Orientation on Business Profitability”,

Journal of Marketing

, 54(1).

Pettigrew, A. M(1979), “On Studying Organizational Culture”,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 24, pp.570-581.

Robbins, S. P. & Judge, T. A.(2010). "Organizational Behavior",

Pearson Education .Inc.

Roll, Y. and Hayuth, Y.(1993), “Port Performance Comparison Apply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Maritime Police and Management

, Vol.20, No.2, pp,153-161.

Schein, E. H.(1985),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A Dynamic View.

San Francisco

.

Thomas J. Dowd & Thomas M. Leschin(1989), “Container Terminal Productivity : A Perspective”,

Port & Harbors

.

Tylor, E.(1964),

Culture defined. Sociological Theory : A Book of Readings,

West Drayton,: Collier-Macmillan.

UNCTAD(2017),

Review of Maritime Transport 2017.

Quinn, R. P. & Magine, T. W.(1973). “Evaluation Weighted Model of Measuring Job Satisfaction”,

A Cinderella Story, Organization Behavior Performance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