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안전한 국립공원 구현

Dalam dokumen 태백산국립공원 보전·관리계획 (Halaman 41-47)

Ⅲ.

83 82

1. 보·관획 개2. 보·관획 여석 및 목표․3. 보·관획 관표․별 현4. 태원 부별 관5. 태원 용별 관6. 태원 부별 예

Ⅲ. 안전한 국립공원 구현

현황 및 문제점

• 다양한 재난관리 시스템과 관리인력의 분산으로 재난상황에 대한 효율적 대처 및 통제관리 어려움

•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 발생 증가로 국립공원 내 돌발적인 재난상황 발생 우려 및 사전예방, 조기대응을 위한 과학적 재난관리 중요성 증가

추진배경 및 목적

• 기상이변으로 인한 빈번한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 발생빈도 증가로 국가 재난관리체계의 패러다임이 사후복구에서 사전예방으로 변화 → 체계적·집중적 사전관리 요구도 증가 ICT를 반영한 관리 시스템 운영 고도화로 효율적 현장관측·분석, 위해요인 제거 등

사전예방 원칙 준수 및 조기 대응체계 운영(통합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 생명과 재산 피해 최소화

주요내용

• 통합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운영

▶기존 7종의 재난관리 시스템을 『통합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1종으로 통합하여 운영

▶ 재난 유형별 개별시스템 분석을 통한 DB자료 통합 구축, 일관된 공간정보 기반 지도관리 등 현장과 일체화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고도화 운영

<표 4-8>

통합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현황

기 존

향 후 주요내용

통합방재시스템

통합 재난상황

관리 시스템

기상정보, 재난예·경보시설, 상황근무관리 등

재해문자전광판 운영시스템 재해문자전광판 문구, 영상전송

스마트 상황전파시스템 PTT통신을 통한 무전, 영상 공유

산불감시시스템 산불감시카메라 영상정보 공유

급경사지 유지관리시스템 급경사지 현황정보, 정비 점검관리

추락위험지구 관리시스템 추락위험지구 현황정보, 정비·점검관리

산행안전예보제 운영시스템 홈페이지 산행안전예보 운영

• 재난예·경보 인프라 설치에 따른 운영관리

▶ 당골 및 백천지구 설치 재난예·경보 시스템(12개)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점검 및 정비 강화 → 우기철, 태풍내습 전 일제점검, 고장 시 즉각 보수 등 연간 정상 작동상태 유지(내구연한-10년)

• 현장 즉시 대응 경보체계 구축 및 운영

▶ 모바일 CDMA(무선모뎀 연결 스마트폰 전송) 방송시스템 구축·운영으로 탐방객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신속한 상황전파

▶ 문자전광판, CCTV, 원격방송, 차단시설 등 ICT기술 융합, 탐방로 입구부 통합원격통제 시스템 구축

→ 탐방로 출입관리

▶ 무선망과 이동통신망의 제한적 통신범위를 개선한 다자간 통신방식인 PTT 통신망 추진

<그림 4-12>

전광판 등 탐방객 알림 서비스 운영

• 안전 탐방 문자알림 서비스 제공

▶ 공원 내 실시간 재난상황을 민박촌, 야영장 이용자 및 현장방문 탐방객 요구 시 문자정보 제공 → 기상정보 및 공원 통제여부 등 스마트 상황전파시스템 활용

• 지능형 CCTV 설치 및 통합관제

▶ 낙석·산사태·산불 등 실시간 감시·관측을 위한 『CCTV 통합관제 시스템』 구축(2018년)

▶ 저지대 주요 탐방로 입구 및 화장실 등 다중이용 시설과 고지대 실시간 영상제공을 위한 주요 거점 CCTV 설치

<표 4-9>

저지대 및 고지대 CCTV 설치·활용계획

구분 설치위치 활용도

시설안전 및 화재예방 •백천분소(10), 신청사(15) -

탐방객 안전관리 • 함백산 입구(1), 두문동재(1), 금천(2), 늦통목이재(1), 반재(1)

• 탐방객 현황 및 산악안전사고 동향파악

• 산불 등 재난상항 실시간 모니터링

1. 현장 중심의 통제관리 인프라 확대·운영

85 84

1. 보·관획 개2. 보·관획 여석 및 목표․3. 보·관획 관표․별 현4. 태원 부별 관5. 태원 용별 관6. 태원 부별 예

• 낙석·산사태 계측시스템 운영

▶ 낙석위험: 기 지정 재난취약지구 12개소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19년부터 취약지구 해제 추진 및 위험성과 낙석이력 지역 17개소 추가계측 시행(※미설치 지역 낙석위험지구 발견 시 계측시스템 확대(D, E등급))

▶ 산 사 태: 산사태취약지역(산림보호법 제2조) 지정 5개소 우선 적용 및 위험지역 (백천계곡 및 화방재 ~ 수리봉 좌·우측)에 대해 산사태 발생시 계측시스템 연계 『조기경보 시스템22)』 구축

• 드론을 활용한 재난 현장관리

▶ 접근이 어려운 절벽, 급경사지의 산불, 산사태 등 피해 규모조사 및 상황파악을 위한 LTE 기반 무인항공기 도입

▶ 위험지역에 대한 항공영상, 현황 등 DB 확보에 따라 『통합 관제시스템』 자료구축 및 분석 활용

단계별 추진계획

2019 2020~2022 2023~2025 2026~2028

•통합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구축 •낙석·산사태 계측시스템 운영

•현장 즉시 대응 경보체계 구축 •드론을 활용한 재난 현장관리 →

중장기 경영목표 등 본부 추진계획에 따름 (※ 예산 미확정)

• 문자 전광판 및 CCTV 설치

• 재난예·경보시설 설치 완료(기상관측 시스템 포함)

• 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사업 효과성 평가 및 환류

•문자 알림 서비스 연차별 시행

예산계획 (단위: 백만 원)

과 제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문자전광판

재난 시스템 626 155 155 20 20 20 20 20 20 20 문자 알림

서비스 2 2 2 2 2 2 2 2 2 2

현황 및 문제점

• 겨울철 기상특보에 따른 입산통제에 대한 지역불만 및 탐방객 인식부족, 백두대간의 이용행태 정보부재 등 다양한 안전사고 발생요인 상존

• 안전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등 노후 공원시설의 인수로 인한 안전점검 및 보수정비 등 안전관리 소요 발생

추진배경 및 목적

• 겨울철 악천후 기상과 무리한 종주산행에 의한 구조요청의 증가 및 정비되지 않은 탐방로·급경사지, 노후시설 등 현장 접점의 재난·안전 관리 수요 증가

탐방객, 취약지역, 공원시설 등 상호연계 또는 독립적으로 발생 가능한 재난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관리방안 마련, 적용 → 태백산국립공원 안전사고 Zero화 구현

주요내용

• 탐방객 재난·안전사고 관리

▶ 겨울철 기상특보 시 지역여건을 감안한 탄력적 탐방로 통제관리 → 주의보: 『안전관리방안』 적용 개방, 경보: 폐쇄

▶ 무리한 산행 대비 『하산시간 지정제』, 밀집이용에 의한 2차적 충돌 예방을 위한 분산정책 모색 및 눈썰매 하산 유형에 대한 안전의식 홍보와 금지행위 적용 검토 등 유형별 탐방객 안전사고 관리

• 백두대간 안전관리대책 마련을 위한 이용량 분석

▶ 백두대간 이용행태 정보 부재에 따른 미흡한 안전관리체계에 대해 집중 탐방시간(주·야간), 시기(계절) 등 이용형태 파악을 통한 백두대간 안전관리 대책 마련 → 백두대간 남북 시·종점, 화방재 남·북 출입구 등 총 4개소 계수기 설치

• 구조 전문역량 강화

▶ 국립공원 구조대원별 평가에 따른 맞춤형 교육·훈련체계 운영 → 보수교육 및 측정대회 등 역량강화 점검·관리

▶국내·외 산악구조 전문교육 기관 벤치마킹 등 신기술 습득을 위한 기회 확대

• 탐방로 등 위험성 평가에 따른 정비·관리

▶ 드론 등 ICT를 접목한 현장점검 등 사전예방을 원칙으로 응급복구, 사후관리, 환류보완의 단계별 탐방로 점검·관리

2. 현장 접점에서의 재난·안전관리

22) 조기경보 시스템: 산사태계측시스템 경보기준은 본부 개발·확산정책에 따라 사무소 적용 → 실시간 변위 발생 시 최소 1시간 이전 탐방객 대피방송 및 직원 SMS 통보

87 86

1. 보·관획 개2. 보·관획 여석 및 목표․3. 보·관획 관표․별 현4. 태원 부별 관5. 태원 용별 관6. 태원 부별 예

▶ 탐방로 식별 불가구간은 탐방로 폐쇄23) 검토 및 석회암 지반함몰24) 구간은 지속적 물리 탐사에 따른 보호방지책 설치

▶ 기타 안내체계가 혼재되어 있거나 수목전도 지역에 대해서는 이정표 NPIP 적용 및 전도수목 제거 등 적소 위험요인 관리

▶ 탐방로 위험성 평가에 따라 탐방로 위험등급별 정비 추진

<그림 4-13>

탐방로 위험등급 분포 현황

•2018년 추진완료 구간

- A구역: 검룡소 중심, 검룡소 주차장∼두문동재 (17,001m)

- C구역: 태백산맥 중심 당골 매표소∼화방재 (23,506m)

- D구역: 깃대배기봉 중심 백천탐방지원센터∼금천지구 (25,002m)

•2019년 이후 조치구간

- B구역: 함백산 중심 화방재∼ 두문동재(11,997m) - 대부분 능선부 탐방로로서 급경사지가 적어 낙석

또는 낙상사고 위험성 적음 (주의구간 (C등급)약 848m) 위험 등급 분포도(분포 비율)

A구역 60 70 80 90

50 40 30 20 10

0 B구역 C구역 D구역

안전 관심 주의 위험 매우 위험

• 급경사지 정밀조사를 통한 점검 및 정비관리

▶ ① 이완암 분포, ② 급경사지 상부 암반분포, ③ 불연속면 발달, ④ 수목전도 등에 의한 유실 및 낙석우려, ⑤ 암반노두 이완암 탈락에 의한 직접유입 영향, ⑥ 유실진행 등 요인을 고려한 위험성 영향 여부 점검

▶ 위험 급경사지 17개소 정비추진 완료(2018년)에 따라 계획기간 중 미정비 위험 급경사지 2개 구간 연차별 정비

▶ 기 시행된 정비 급경사지는 다음해부터 추가 훼손 여부 등 사후 모니터링 및 훼손 부분 복구·복원 추진

<표 4-10>

위험급경사지 잔여 정비구간

미정비 위험 급경사지 위험

지수 위험등급 정비내역

태백 01-00-01 •단군성전 상단 100m 37.78 B •뜬돌 제거, 낙석주의표지판 태백 12-00-01 •세심초소∼분주령 50m 41.85 C •낙석주의표지판, 돌쌓기

• 재난 예방을 위한 공원현장 시설관리

▶ 신·증축 시설 내진설계 반영(사무소, 탐방안내소, 네이처센터 등) 및 의무 적용 확대에 따른 기존 시설물 내진보강 검토

→ 대상에는 포함되지는 않지만 탐방객 이용빈도가 높고 지진으로 인한 피해 가능성이 높은 시설의 분류(목교량, 데크, 전망시설 등) 및 내진영향 검토

▶ 보수전담팀, 영선반을 활용한 자체 정비 및 계절별 특성을 고려한 안전시설 보수 등 노후 시설의 내구성 및 안전성 확보

▶ IoT 기반 실시간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및 『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에서 정한 『안전점검의 날』 강화 시행(매월 4일)

※ 지진·확산재해대책법, 건축법(2017. 2.)

<표 4-11>

내진설계 의무 적용대상 확대

기존 강화

3층 이상 또는 연면적 500㎡ 2층 이상 또는 연면적 500㎡

단계별 추진계획

2019~2021 2022~2024 2025~2027 2028

• 탐방객 재난·안전사고 관리 연차별 시행

• 구조 전문역량 강화 연차별 시행

•안전·재난 예방을 위한 공원현장 시설관리 연차별 시행

• 백두대간 이용행태 조사

• 백두대간 재난·안전대책 수립 및 시범운영

• 백두대간 안전대책

고도화 추진 • 사업 효과성 평가·환류

• 위험 탐방로 및 급경사지 정비

기 정비사업 지역에 대한 모니터링 및 추가 훼손지 보수·정비

예산계획 (단위: 백만 원)

과 제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안전사고관리

구조역량 강화 311 360 360 360 360 360 360 360 360 360 공원 현장시설

안전관리 186 50 50 50 50 50 50 50 50 50 위험 탐방로

급경사지 정비 663 110 110 10 10 10 5 5 5 5

23) 탐방로 폐쇄: 적조암갈림길~오투리조트, 은대봉~도깨비도로갈림길, 새마을지도자공원~도깨비도로 24) 지반함몰: 두문동재~분주령, 유일사~화방재 구간

Dalam dokumen 태백산국립공원 보전·관리계획 (Halaman 41-47)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