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에너지 자립섬, 진도 복합발전단지 조성

III. 현안해결 사업(섬진강 하구 관리를 위한 환경변화 연구)

3. 에너지 자립섬, 진도 복합발전단지 조성

IV. 협력제안 사업

3. 에너지 자립섬,

협력제안사업

3. 에너지 자립섬, 진도 복합발전단지 조성

I. 배경

❍ 세월호 사건 이후 침체된 진도군의 경제 활성화의 일환으로 추진

❍ 우리나라 서남해역 특히 진도해역은 조류, 풍력, 그리고 태양광 등 자연에너지 생산의 최적지임

- 울돌목 또는 장죽수도에 조류발전소 또는 복합(조류+풍력)발전소 건설

- 울돌목은 다양한 지장물로 풍력발전 적용이 곤란

II. 발전소별 타당성 검토(약식)

❍ 조건별 발전량과 건설비 추정

- 조류발전의 설비용량 및 연간 발전량은 발전 시스템 1기당 정격용량 300kW를 적용하였고, 연간 발전량은 발전설비 이용율 27.6% 적용 (울돌목 조류발전소 타당성 조사, 해양수산부 2011)하여 개략 추정, 향후 정밀 기획시 재검토 필요

- 풍력발전은 10MW급 시스템의 전체 발전량에 2013년 우리나라의 풍력발전 평균 발전설비 이용율 22.58%를 적용, 연간발전량 약 19.8MWh를 도출(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개략 추정, 재검토 필요)

<표 9 진도의 조건별 복합발전 개발안 개요>

개발안 구성 설비 용량1

(MW)

연간 발전량1

(GWh)

건설비용 (추정,

억원)

case 1 울돌목 조류발전 6.0 19.6 639

case 2 장죽수도 조류 Line 1 32 77.6 3,400

case 3 장죽수도 조류 Line 2 9 21.8 960

case 4 장죽수도 조류 Line 1+2 41 99.4 4,300 case 5 장죽수도 조류 Line1+풍력2 33 97.2 3,600 case 6 장죽수도 조류 Line 2+풍력2 19 41.4 1,100 case 7 장죽수도 조류 Line1+2+풍력2 51 119 4,500

경제성 검토

1) 울돌목 조류발전 - 전제조건

· 할인율 : 5.5%

· 사용년수 : 20년

· 유지보수비 : 풍력발전의 유지보수비(0.0135유로/kWh)를 적용

진도

해남

울돌목 시험조류발전소 울돌목

해양 에너지공원 조류발전소

<표 10> 울돌목 조류발전소 경제성 분석

구분 울돌목 조류발전소

설비용량 6 MW

연간발전량 19.6 GWh

비용 639 억원

수익

전력판매

정산단가 146.2 원/kWh

금액 2,866 백만원/년

REC 거래

거래단가 86 원/kWh

가중치 2.0

금액 3,371 백만원/년

합계 6,237 백만원/년

경제성

B/C 1.093

NPV 6,005 백만원

IRR 6.67%

※ 각 에너지원별 정산단가나 REC 거래단가변동에 따라 수익과 경제성 변동됨

※ 정산단가: ‘13.6∼’14.5 기간 평균값

※ REC 거래단가: 2014. 9월 기준

2) 장죽수도 복합발전단지 건설비용 개략 추정

m 조류발전 시스템

- 울돌목 조류발전 단지의 공사비(해양수산부, 2011)를 근거로 장죽 수도 Line1과 Line2의 공사비 추정

m

풍력발전 시스템

- 인터넷 검색(풍력발전소 건설에 관한 사항은 향후 현장조사 및 건 설비용에 대한 상세 조사가 필요함)

Line1

Line2 풍력발전기(2MW)

조류발전 단지

장죽도

신도

서망항

하조도

<그림 11> 장죽수도 복합발전단지 건설 예상 위치

<표 11> 조류발전 시스템 건설비 추정

울돌목 장죽수도

Line 1

장죽수도 Line 2

발전구조물 수량 5 43 12

발전시스템 수량 12 107 30

토목공사비(억원) 298 1,600 450

기전공사비(억원) 28 1,500 430

기타 비용(억원) 54 300 80

총 공사비(억원) 639 약 3,400 약 960

<표 12> 풍력발전 시스템 설치비 추정

풍력발전기 130억원

주변 비용(BOP) 43억원

개발 비용 9억원

채권 비용 4.5억원

Financing Cost 11억원

전기/력 설비 101억원

법리 비용 0.5억원

비상 비용 1억원

Working capital 0.3억원

총 공사비 약 300억원

※ 출처(URL): http://cafe.naver.com/rechts/9471

3) 기타 사항

m 진도군 복합발전 상세 검토를 위한 타당성 조사 실시 필요

m 복합발전단지 조성에 대한 진도군의 의지 확인 필요

m 건설 및 운영 단계에서 발전회사 참여 검토 필요

<첨부> 발전원별 정산단가 및 REC 단가

<발전원별 정산단가>

ㅇ 2013년 6월부터 2014년 5월까지의 전력거래소 정산단가 자료를 이용하여 태양광, 풍력 및 해양에너지의 최근 1년간 정산단가 산출

기간 태양광

(원/kWh)

풍력 (원/kWh)

해양에너지 (원/kWh)

2013. 06 167.2 171.2 149.2

2013. 07 166.8 162.6 147.5

2013. 08. 156.3 156.3 151.0

2013. 09. 221.6 154.3 123.6

2013. 10. 186.2 169.7 151.1

2013. 11. 151.7 155.0 143.5

2013. 12. 207.9 159.8 148.9

2014. 01 175.7 153.1 138.5

2014. 02 247.3 168.8 149.0

2014. 03 170.0 173.7 160.9

2014. 04 167.6 163.6 149.1

2014. 05 149.8 150.4 142.0

평균 181.3 161.5 146.2

※ 출처: 전력거래소 통계시스템(https://epsis.kpx.or.kr)

<발전원별 REC 가중치 및 단가>

ㅇ REC 가중치

발전원 REC 가중치 비고

태양광 1.5 건축물 등 기존 시설물 이용

해상풍력 1.5 연계거리 5km 이하

조류 2.0 2015년 가중치 부여 계획

※ 출처: 전력거래소 REC 거래시스템(http://rec.kpx.info/index.jsp)

ㅇ 발전원별 REC 단가

- 2013년 10월부터 2014년 9월까지의 전력거래소 정산단가 자료 를 이용하여 최근 1년간 REC 단가 산출

- 우리나라의 REC는 태양광과 일반으로 2원화하여 거래 진행

기간 태양광

(원/kWh)

일반 (원/kWh)

2013. 10. 220 180

2013. 11. 221 223

2013. 12. 208 241

2014. 01 196 228

2014. 02 168 187

2014. 03 - 121

2014. 04 129 95

2014. 05 116 86

2014. 06 117 81

2014 .07 116 81

2014. 08 108 81

2014. 09 98 86

평균 154 141

※ 출처: 전력거래소 REC 거래시스템(http://rec.kpx.info/index.jsp)

<첨부> 연안환경활동가 자문서

전남 연안관리의 문제점

(한해광, 서남해환경센터장)

I. 여수 연안

<연안(만) 관리>

m

여자만

- 여수시-순천시-보성군-고흥군으로 둘러싸인 만으로 각 시군마다 각기 다른 문제가 상존

- 여수 지역의 경우는 최근 수출용 패류생산 지정해역 지정 위한 위 생조사를 실시 중

- 여자만 생산 새고막은 수산물 지리적 표시 제 20호로 등록 - 다양한 법적보호종 서식

m

가막만

- 가막만 2차 연안관리계획 수립 시 연안습지 서식 법적보호종 조사 미시행으로 갈등

- 가막만 내 무인도의 침식 현저(신월동 앞바다)

m

여수만

- 여수만의 경우는 우이산호(유류유출사고) 이후 연안관리 부재

- 수달(광양만에도 서식) 등 법적보호종 및 천연기념물의 실태파악과 관리가 필요

<쓰레기>

m

- 섬 지역에 쌓인 해양쓰레기(주로 프라스틱과 스티로폼) 수거 처리 는 한계점에 도달

- 수거 예산은 어촌계에 배분되나 어민의 노령화로 수거 후 적기에 육지로의 반출이 어려워 소각처리가 급증(국제망신?)

m

연안

- 어장에서 발생되거나 외부에서 유입되는 쓰레기가 대부분으로 이를 소거를 실기하면 어장과 그 주변에 침적하여 더 큰 피해를 야기

<어구관리>

m

여자만

- 새고막 양식에 사용되는 대나무와 그물

m

가막만

- 스티로폼과 어장쓰레기(로프 등)

<기후변화(?)>

m

방파제 월류

- 최근 해수면상승(?)으로 인한 방파제를 넘는 월파(류)현상이 증가하 고 있으며, 섬의 경우에 더 심해짐

II. 광양만 연안

m

섬진강

- 섬진강 최상류는 옥정호를 통해 유역 변경식 수력발전으로 전북 동진강 으로 유입

- 광양군 다압취수장으로 통해 광양 제철과 산업단지에 단수가 공급

- 이로 인해 농민은 염해피해, 어민은 기수역 축소에 따른 어업피해가 심 각한 상태임

-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16년부터 일일 50만 톤의 담수(보성호 ?)를 섬진 강에 공급할 계획임

m

광양만

- 광양만의 잔류 갯벌의 중요성과 보존 필요성: 율촌3산단 지역이 포 함된 조화리에 도요물떼새, 노랑부리백로, 노랑부리저어새, 알락꼬 리마도요, 물수리 등 천연기념물과 멸종위기종이 도래

- 이외에도 기수역의 보호대상해양생물의 파악이 시급 - 중금속 오염 저질토 처리 문제

- 광양만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와 연계하여 보존활동 필요

m

(부유쓰레기) 처리를 위한 시설과 관리 확대 필요

- 광양시 태인동 부유쓰레기 차단막(년 800~1,000톤 수거)으로는 한 계임(특히 우기시 유입량 산정으로 재설치 필요)

경남 연안

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