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전남 연안수산 연구 방향

III. 현안해결 사업(섬진강 하구 관리를 위한 환경변화 연구)

2. 전남 연안수산 연구 방향

IV. 협력제안사업

협력제안사업

2. 전라남도 연안수산 연구 방향

I. 배경

❍ 전남은 전국 최대ž최고의 해양수산자원을 보유하고 있음

- 바다면적 2만6천450㎢(전국의 37%), 해안선 6천475㎞(46%), 수산물 생산량 113만톤(41%), 갯벌 1천37㎢(42%), 도서 2천219개(66%)

- 어가수(전국의 32%), 어민 68,622(31%), 어업후계인 14,210명(42%)

m

전남 주요 현안 문제

- 기후 및 환경 변화에 따른 연안 해양환경 변화 - 해양산성화에 의한 갯벌 패류 생산 저하

- 연안역 영양염 고갈 및 저염분에 따른 양식 생산 저하 및 양식 품 종 낙후화

- 양식생물 대량폐사 증가 및 적조 원인/예보 필요

m

향후 협력 연구사업 도출

- 양 기관 간「해양수산산업 공동연구 실무협의회」 구성 및 협의를 통한 MOU 체결(실무협의회 정례화 필요)

- 전라남도 해양수산산업 발전을 위한 공동 연구 로드맵 작성 - 공동 연구 과제 선정 및 국가 R&D 과제 개발

- 양 기관 매칭 펀드를 통한 현안 문제 해결 과제 추진

II. 현안문제 발굴 (전남수산과학원 제시)

m

지역별 해삼 형질 특성 비교 분석(해삼연구센터)

- 해양환경과 해삼 과육, 영양학적 성분, 뿔 높이, 건해삼 과피 두 께, 중금속 함량 비교분석 등

m

농어 성성숙 인위적 제어 기술 개발(국제갯벌연구소)

- 추계 산란을 익년 2~3월 산란시기조절로 인공종묘생산 생산비 절감

m

보리새우 성성숙 제어 및 춘계 종묘생산 연구(국제갯벌연구소) - 추계산란 보리새우의 춘계산란으로 양식산업 복원, 생산비 절감

m

백합 천해 양식 지역 환경학적 특성 비교 분석(국제갯벌연구소) - 백합양식이 소멸된 영광해역과 현재 생산력이 높은 강화도 지역과

비교 분석하여 백합양식 복원 여건 조성 방안 검토

m

전복류 3배체 인위적 조작 기술 연구(전복연구소)

- 하이브리드 대형전복 개발시 생태계 교란 방지 및 속성장 확보

m

적조생물 구제 기술 연구(연구기획담당관)

III. 시급한 현안과제

(농어 및 보리새우의 산란유도 및 생산성 향상 기술 개발)

m

두 어종의 산란주기 조절을 통한 조기 종묘생산 기술 개발을 통한 생산성 향상 추진

m

연구추진방향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연구비 확보 및 연구인력 참여

-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원 : 연구 참여 및 실험시설, 시험생물 지원

IV. 기대효과

m

산란주기 조절을 통한 조기(봄, 여름철) 종묘생산 기술 개발에 따른 동절기 연료 비용 획기적 절감

m

조기 종묘생산에 따른 생산기간 단축 및 생존율 향상

m

연중 종묘 생산에 따른 안정적 양식환경 및 산업 기반 조성

m

남서북 해역 환경 대응 신양식기술 보급에 따른 전남 지역 수산업 경쟁력 강화 및 어민 소득 증대

IV. 협력제안 사업

3. 에너지 자립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