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I. 현안해결 사업(섬진강 하구 관리를 위한 환경변화 연구)
1. 전남 소하구역(하구-만) 해양생물자원 관리 방안 연구
협력제안사업
1. 전남 소하구역(하구-만) 해양생물자원 관리 방안 연구
I. 연구개발의 필요성
m
(하구의 중요성) 하구는 하천에서 유입되는 담수와 해수가 섞이는 기수역으 로 생물다양성과 생산성이 지구상에 가장 높지만, 이용개발 중심의 하구 정책으로 인하여 그 가치가 상실된 실정임- 하구역(22,832 달러/ha/yr)의 환경가치는 경작지(92 달러/ha/yr)보다 250배(Nature, 1997), 섬진강 하구의 생태적 가치는 농지보다 3배 이 상 높은 것으로 추산(유승훈, 2007)
m
(하구역 관리) 4대강 및 새만금 하구역에 대규모 방조제를 건설, 담수 저류 와 갯벌 매립 등으로 인한 환경과 생태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가능 한 하구역 관리체계 구축방안(2005)’이 국가 차원에서 수립되었음- 4대강 하구역 관리를 위한 국가 연구비(2010-2020) 투자는 약 200억 규모이며,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소규모 과제가 진행 중에 있으나, 전남 도내의 소하구역 관리를 위한 연구비 투자는 거의 없음
m
(소하구 관리 필요성) 전남 연안에 분포하고 있는 소하구는 외해와 소통이 불량한 만들과 연계되어 있어 유입되는 육상 오염물질의 농축으로 인해 환경과 생태계의 큰 변화가 예상되지만, 아직까지 현황 파악이 제대로 이 루어지지 않고 있음- 순천만과 여자만에서는 생물의 대량폐사(1997년, 2000년, 2009, 2013, 2014년)가 빈번하게 발생하지만, 그 원인이 파악되지 않고 있음
생산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며, 소하구역별(예, 도암만, 탐진강, 섬진강, 순천만 등) 생태계 기반을 고려한 맞춤형 하구 활용기술(수산자원 관리) 개 발이 필요함
II. 연구개발의 목표와 내용
가. 연구개발의 목표
m
소하구역 생태계 관리프로그램 개발m
소하구역 맞춤형 고부가치 해양생물자원 개발m
소하구역 생태계 기반 증⋅양식 복원기술 개발나. 연구개발의 내용
m 소하구역 생태계 관리프로그램
- 소하구역 환경 수용능력 평가 및 관리 연구
- 소하구역 생태계 기능 및 서비스 증진을 위한 개선 방안 연구 - 소하구역 생태계 위협 및 교란 생물 관리 기술 개발 연구
m 소하구역 맞춤형 고부가가치 해양생물자원 개발
- 유용생물자원의 성 성숙 제어 기술 개발- 하구역 맞춤형 유용생물자원 대량 생산 체계 구축 연구
m
소하구역 생태계 기반 지속 가능형 증⋅양식 기술 개발- 하구역 생태계 기반 지속 가능형(sustainable) 생물 생산 연구 - 하구역내의 잘피를 활용한 CDMA 사업
III. 추진 전략
1. 소하구역 생태계 관리프로그램
m
전남 연안의 소하구 현황 및 환경 특성 분석- 소하구역 내의 환경(수리/퇴적) 조사: 만내에 유입되는 육상 유입 물질, 해수 유동, 퇴적 이동 조사
- 소하구역의 해양생태계 기능 및 생물자원 변동 조사 및 원인 평가:
해양생태계 구조 및 기능 조사, 유용생물자원 조사, 생태계 기능 및 자원변동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 평가
m
소하구역의 생태계 서비스 개선 방안 마련 및 적용 - 소하구역 생태계 서비스 가치 평가- 생태계 위협 및 교란 생물 관리 기술 개발 연구 - 외래어종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생태계 복원 사업
2. 소하구역 맞춤형 고부가가치 해양생물자원 개발
m 대상 생물의 성 성숙 조절 및 산란 유도 기술 개발 m 대상 생물의 대량 생산 기반 구축 및 관리 방안 연구 m
선발 육종 품목 방류에 따른 생태계 교란 영향 분석m 외래어종 관리 프로그램
3. 소하구역 생태계 기반 지속가능형 증⋅양식 기술 개발
m
전남 연안 소하구역별 해양생태계 및 수산자원 관리방안 연구- 만내의 생태 특성 및 자연 생산력을 활용한 지속가능형 증⋅양식 기술 개발
m
소하구내의 잘피를 이용한 CDMA 사업 추진VI. 기대효과
m
연안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소규모 하구역에서 생태계 서 비스 기능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m
소하구 생태계 서비스관리기술은 국가 연안역 관리정책 기반에 매 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