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3 여러 가지 방정식 pp.97~113 121

Dalam dokumen 수력충전 빠답(001~009) (Halaman 46-56)

1)x‹ +1‹ =0에서 (x+1)(x¤ -x+1)=0 x+1=0또는x¤ -x+1=0

x= 또는x=

2)x‹ +2‹ =0에서 (x+2)(x¤ -2x+4)=0 x+2=0또는x¤ -2x+4=0

x=-2또는x=1—'3i

3)x‹ +3‹ =0에서 (x+3)(x¤ -3x+9)=0 x+3=0또는x¤ -3x+9=0

x=-3또는x=

4)x‹ -2‹ =0에서 (x-2)(x¤ +2x+4)=0 x-2=0또는x¤ +2x+4=0

x= 또는x=

5)x‹ -6‹ =0에서 (x-6)(x¤ +6x+36)=0 x-6=0또는x¤ +6x+36=0

x=6또는x=-33'3i

6)(2x)‹ -3‹ =0에서 (2x-3)(4x¤ +6x+9)=0 2x-3=0또는4x¤ +6x+9=0

x= 또는x=

7)x‹ -x¤ =0에서(x-1)=0

x¤ =0또는x-1=0 x=0또는x=1 8)x‹ -9x=0에서x(x¤ -9)=0, x(x+3)(x-3)=0 x=0또는x+3=0또는x-3=0

x=0또는x=-3또는x=3

122

1)x› -1=0에서 (x¤ +1)(x¤ -1)=0 (x¤ +1)(x-1)(x+1)=0

x=i또는x=1

2)x› -16=0에서 (x¤ +4)(x¤ -4)=0 (x¤ +4)(x-2)(x+2)=0

x=2i또는x=2

3)16x› -1=0에서 (4x¤ -1)(4x¤ +1)=0 (4x¤ +1)(2x-1)(2x+1)=0

x= i또는x=

4)x› -x¤ =0에서(x¤ -1)=0 (x+1)(x-1)=0

x=0또는x=1

5)x› +x‹ -2x¤ =0에서(x¤ +x-2)=0

(x+2)(x-1)=0 x=0또는x=-2또는x=1 1

2 1

2

-33'3i 4 3

2

-1—'3i 2

33'3i 2

-1 -1 1 -3 1 5

1 1 -1 4 -5 1 1 -4 5 0 -1

1 1 -1 1 -1 1 1 1 0 1 1 1 0 1 0

-1 1 -1 -10 -8 1 1 -1 2 8 1 1 -2 -8 0

1 1 2 -5 2 1 1 1 3 -2 1 1 3 -2 0

1 1 -3 0 3 -1 1 1 1 -2 -2 1 1 1 -2 -2 1 0 1—'3i

2

http://zuaki.tistory.com

http://zuaki.tistory.com

125

1)x+1=t라고 하면

t‹ -2‹ =0⇨ (t-2)(t¤ +2t+4)=0에서 (x+1-2){(x+1)¤ +2(x+1)+4}=0

(x-1)(x¤ +4x+7)=0 x=1또는x=-2—'3i 2)x-4=t라고 하면

t‹ +1=0⇨ (t+1)(t¤ -t+1)=0에서 (x-4+1){(x-4)¤ -(x-4)+1}=0

(x-3)(x¤ -9x+21)=0 x=3또는x=

3)x-2=t라고 하면

t‹ -xt=0t(t¤ -x)=0에서

(x-2){(x-2)¤ -x}=0⇨ (x-2)(x¤ -5x+4)=0 (x-2)(x-1)(x-4)=0 x=2또는x=1또는x=4

126

1)x¤ +4x-1=t로 놓으면 t(t+4)-5=0t¤ +4t-5=0

(t+5)(t-1)=0 t=-5또는t=1

t=-5일 때, x¤ +4x-1=-5에서

x¤ +4x+4=0⇨ (x+2)¤ =0 x=-2

¤t=1일 때, x¤ +4x-1=1에서 x¤ +4x-2=0 x=-2—'6

⁄, ¤에서x=-2또는x=-2—'6 2)x¤ +5x+4=t로 놓으면

(t+2)t-3=0, t¤ +2t-3=0

(t+3)(t-1)=0 t=-3또는t=1

t=-3일 때, x¤ +5x+4=-3에서

x¤ +5x+7=0 x=

¤t=1일 때, x¤ +5x+4=1에서

x¤ +5x+3=0 x=

⁄, ¤에서x= 또는x=

127

1)x‹ +x¤ +ax-3=0의 한 근이1이므로 1+1+a-3=0 a=

x‹ +x¤ +x-3=0에서 좌변을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 하면

(x-1)(x¤ +2x+3)=0

x=1또는x=

따라서 나머지 두 근은x= -1—'2i 이다.

-1—'2i 1

-5—'∂13 2 -5—'3i

2

-5—'∂13 2 -5—'3i

2

9—'3i 2 조립제법에 의하여

g(x)=( )(x¤ -3x+1)

f(x)=(x-1)(x+1)(x¤ -3x+1) 따라서f(x)=0의 해는

x-1=0또는x+1=0또는x¤ -3x+1=0

x=1또는x=

2)f(x)=x› -5x-6으로 놓으면 f(-1)=1+5-6=0이므로

f(x)=(x+1)(x‹ -x¤ +x-6) g(x)=x‹ -x¤ +x-6으로 놓으면 g(2)=8-4+2-6=0이므로

g(x)=(x-2)(x¤ +x+3)

f(x)=(x+1)(x-2)(x¤ +x+3) 따라서f(x)=0의 해는

x=-1또는x=2또는x=

3)f(x)=x› +x‹ -x-1로 놓으면 f(1)=1+1-1-1=0이므로

f(x)=(x-1)(x‹ +2x¤ +2x+1) g(x)=x‹ +2x¤ +2x+1로 놓으면 g(-1)=-1+2-2+1=0이므로

g(x)=(x+1)(x¤ +x+1)

f(x)=(x-1)(x+1)(x¤ +x+1) 따라서f(x)=0의 해는

x=1또는x=-1—'3i 2

-1—'∂11i 2 x+1

-1 1 -2 -2 1 1 1 -1 3 -1 1 1 -3 1 0

-1 1 0 0 -5 -6 1 1 -1 1 -1 6 1 1 -1 1 -6 0

2 1 -1 1 -6 2 1 2 2 6 2 1 1 3 0

-1

1 1 1 0 -1 -1 1 1 1 2 2 1 1 1 2 2 1 0

-1 1 2 2 1 1 1 -1 -1 -1 1 1 1 1 0

3—'5 2

1 1 1 1 -3 1 1 1 2 3 1 1 2 3 -0

http://zuaki.tistory.com

http://zuaki.tistory.com

t=2일 때, x¤ =2에서x=—'2

¤t=10일 때, x¤ =10에서x=—'∂10 따라서 구하는 해는x=—'2또는x=—'∂10 3)x¤ =t로 놓으면

t¤ +t-12=0, (t+4)(t-3)=0

t=-4또는t=3

t=-4일 때, x¤ =-4에서x=2i

¤t=3일 때, x¤ =3에서x=—'3 따라서 구하는 해는x=2i또는x=—'3 4)x¤ =t로 놓으면

t¤ -3t+2=0, (t-1)(t-2)=0

t=1또는t=2

t=1일 때, x¤ =1에서x=1

¤t=2일 때, x¤ =2에서x=—'2 따라서 구하는 해는x=1또는x=—'2 5)x¤ =t로 놓으면

t¤ -13t+36=0, (t-4)(t-9)=0

t=4또는t=9

t=4일 때, x¤ =4에서x=2

¤t=9일 때, x¤ =9에서x=3 따라서 구하는 해는x=2또는x=3 6)x¤ =t로 놓으면

t¤ -5t+6=0, (t-2)(t-3)=0

t=2또는t=3

t=2일 때, x¤ =2에서x=—'2

¤t=3일 때, x¤ =3에서x=—'3

따라서 구하는 해는x=—'2또는x=—'3

130

1)x+0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의 양변을으로 나누면 x¤ +5x-4+ + =0

{x¤ + }+5{x+ }-4=0

{x+ }

¤+5{x+ }-6=0

이때, x+ =t로 놓으면 t¤ +5t-6=0, (t-1)(t+6)=0

t=1또는t=-6

t=1일 때, x+ =1에서

x¤ -x+1=0x=

¤t=-6일 때, x+ =-6에서

x¤ + 6 x+1=0 x= -32'2 1

x

1—'3i 2 1

x 1 x

1 x 1

x

1 x 1

1

5 x 2)x‹ -3x¤ -x+a=0의 한 근이1이므로

1-3-1+a=0 a=3

x‹ -3x¤ -x+3=0에서 좌변을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 하면

(x-1)(x¤ -2x-3)=0, (x-1)(x-3)(x+1)=0

x=1또는x=3또는x=-1

따라서 나머지 두 근은x=3또는x=-1이다.

128

1)x‹ +ax¤ -3x-1=0의 한 근이-1이므로 -1+a+3-1=0 a=-1

x‹ -x¤ -3x-1=0에서 좌변을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 하면

(x+1)(x¤ -2x-1)=0

x=-1또는x=1—'2

따라서 나머지 두 근은x=1—'2이다.

2)x‹ +(a+5)x¤ -ax-9+3a=0의 한 근이-1이므로 -1+a+5+a-9+3a=0, 5a=5a=1

x‹ +6x¤ -x-6=0에서 좌변을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 하면

(x+1)(x¤ +5x-6)=0, (x+1)(x+6)(x-1)=0

x=-1또는x=-6또는x=1

따라서 나머지 두 근은x=-6또는x=1이다.

129

1)x¤ =t로 놓으면

x› =()¤ =t¤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t¤ -3t+2=0, (t-1)(t-2)=0

t=1또는t=2

t=1일 때, x¤ =1에서x=

¤t=2일 때, x¤ =2에서x=

따라서 구하는 해는x= 또는x=

2)x¤ =t로 놓으면

t¤ -12t+20=0, (t-2)(t-10)=0

t=2또는t=10

—'2

1

—'2

1 1 1 -3 -1 3

1 1 1 -2 -3 1 1 -2 -3 0

-1 1 -1 -3 -1 1 1 -1 2 1 1 1 -2 -1 0

-1 1 6 -1 -6 1 1 -1 -5 6 1 1 5 -6 0

http://zuaki.tistory.com

http://zuaki.tistory.com

이때, x+ =t로 놓으면 t¤ -3t-4=0, (t-4)(t+1)=0

t=4또는t=-1

t=4일 때, x+ =4에서

x¤ -4x+1=0 x=2—'3

¤t=-1일 때, x+ =-1에서

x¤ +x+1=0 x=

따라서 주어진 사차방정식의 해는 x=2—'3또는x=

5)2x› +5x‹ +x¤ +5x+2=0의 양변을``으로 나누면 2x¤ +5x+1+ + =0

2{x¤ + }+5{x+ }+1=0 2{x+ }¤+5{x+ }-3=0 이때, t=x+ 로 놓으면

2t¤ +5t-3=0, (t+3)(2t-1)=0 t=-3또는t=

t= 일 때, x+ = 에서2x¤ -x+2=0

⁄∴x=

¤t=-3일 때, x+ =-3에서x¤ +3x+1=0

⁄∴x=

따라서 주어진 사차방정식의 해는

x= 또는x=

131

1)a+b+c=-4 2)ab+bc+ca=3 3)abc=-(-5)=5 4)(a-1)(b-1)(c-1)

=(ab-a-b+1)(c-1)

=abc-ac-bc+c-ab+a+b-1

=abc-(ab+bc+ca)+(a+b+c)-1

=5-3-4-1=-3

5) + + = =

6)a¤ +b¤ +c¤ =(a+b+c)¤ -2(ab+bc+ca)

=(-4)¤ -2¥3

=16-6=10

3 5 ab+bc+ca

abc 1

c 1 b 1 a

-3—'5 2 1—'∂15i

4

-3—'5 2

1 x 1—'∂15i

4

1 2 1 x 1

2

1 2 1

x 1 x 1

x

1 x 1

2

5 x

-1—'3i 2

-1—'3i 2 1

x 1 x 1 x 따라서 주어진 사차방정식의 해는

x= 또는x= 이다.

2)x› -3x‹ +4x¤ -3x+1=0의 양변을으로 나누면 x¤ -3x+4- + =0

{x¤ + }-3{x+ }+4=0

{x+ }¤ -3{x+ }+2=0

이때, x+ =t로 놓으면 t¤ -3t+2=0, (t-1)(t-2)=0

t=1또는t=2

t=1일 때, x+ =1에서

x¤ -x+1=0 x=

¤t=2일 때, x+ =2에서

x¤ -2x+1=0,` (x-1)¤ =0x=1

따라서 주어진 사차방정식의 해는x= 또는x=1 3)x› +11x‹ +26x¤ +11x+1=0의 양변을으로 나누면 x¤ +11x+26+ + =0

{x¤ + }+11{x+ }+26=0

{x+ }

¤+11{x+ }+24=0

이때, x+ =t로 놓으면 t¤ +11t+24=0, (t+3)(t+8)=0

t=-3또는t=-8

t=-3일 때, x+ =-3에서

x¤ +3x+1=0x=

¤t=-8일 때, x+ =-8에서

x¤ +8x+1=0x=-4—'∂15 따라서 주어진 사차방정식의 해는 x= 또는x=-4—'∂15

4)x› -3x‹ -2x¤ -3x+1=0의 양변을으로 나누면 x¤ -3x-2- + =0

x¤ + -3{x+ }-2=0

{x+ }¤ -3{x+1}-4=0

x 1

x

1 x 1

1

3 x -3—'5

2

1 x

-3—'5 2 1

x 1

x

1 x 1

x

1 x 1

1

11 x

1—'3i 2 1

x

1—'3i 2 1

x 1 x

1 x 1

x

1 x 1

1

3 x

-32'2 1—'3i

2

http://zuaki.tistory.com

http://zuaki.tistory.com

132

1)a+b+c=-(-2)=2 2)ab+bc+ca=4 3)abc=-(-8)=8

4)(a-1)(b-1)(c-1)

=abc-(ab+bc+ca)+(a+b+c)-1

=8-4+2-1=5

5) + + = = =

6)a¤ +b¤ +c¤

=(a+b+c)¤ -2(ab+bc+ca)=2¤ -2¥4=-4 7)a+b+c=2이므로

a+b=2-c, b+c=2-a, c+a=2-b (a+b)(b+c)(c+a)

=(2-c)(2-a)(2-b)

=8-4(a+b+c)+2(ab+bc+ca)-abc

=8-4¥2+2¥4-8=0

133

1)x‹ -(-1+2+4)x¤ +(-2+8-4)x-(-12¥4=0

x‹ -5x¤ +2x+8=0

2)x‹ -(0+1-2)x¤ +(0-2+0)x-0¥1¥(-2)=0

x‹ +x¤ -2x=0

3)x‹ -(2+5+4)x¤ +(10+20+8)x-2¥5¥4=0

x‹ -11x¤ +38x-40=0

4)x‹ -(-1-3-5)x¤ +(3+15+5)x-(-1)(-3)(-5)=0

x‹ +9x¤ +23x+15=0

5)x‹ -{ - - }x¤ +{- + - }x

- ¥{- }¥{- }=0

x‹ + x¤ - x- =0

134

1)a+b+c=-3, ab+bc+ca=-2, abc=1

x‹ -(-a-b-c)x¤ +(ab+bc+ca)x-(-abc)=0 x‹ +(a+b+c)x¤ +(ab+bc+ca)x+abc=0

x‹ -3x¤ -2x+1=0

x‹ -{ + + }x¤ +{ + + }x- =0

+ + = =-2

+ + = =-3

x‹ +2x¤ -3x-1=0

2)a+b+c=3, ab+bc+ca=1, abc=1

x‹ -(-a-b-c)x¤ +(ab+bc+ca)x-(-abc)=0 x‹ +(a+b+c)x¤ +(ab+bc+ca)x+abc=0

x‹ +3x¤ +x+1=0 a+b+c

abc 1

ca 1 bc 1 ab

ab+bc+ca abc 1

c 1 b 1 a

1 abc 1

ca 1 bc 1 ab 1

c 1 b 1 a

1 16 1 4 1 4

1 2 1 4 1 2

1 4 1 8 1 8 1

2 1 4 1 2

1 2 4 8 ab+bc+ca

abc 1

c 1 b 1 a

x‹ -{ + + }x¤ +{ + + }x- =0

+ + = =1

+ + = =3

x‹ -x¤ +3x-1=0

135

1)계수가 실수이고, 한 근이2+i이므로 다른 한 근은2-i이다.

나머지 한 근을a라고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i)+(2-i)+a=5 ∴a=1

(2+i)(2-i)+(2+i1+(2-i1=aa=

(2+i)(2-i1=-bb=

2)계수가 실수이고, 한 근이1+i이므로 다른 한 근은1-i이다.

나머지 한 근을a라고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i)+(1-i)+a=6 ∴a=4

(1+i)(1-i)+(1+i4+(1-i4=aa=10 (1+i)(1-i4=-b b=-8

3)계수가 실수이고, 한 근이-i이므로 다른 한 근은i이다.

나머지 한 근을a라고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i)+i+a=1 ∴a=1

(-ii+(-i1+i¥1=aa=1 (-ii¥1=-b b=-1

4)세 근을 각각1-2i, 1+2i, a라고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2i)(1+2i)¥a=10 ∴a=2 (1-2i)+(1+2i)+2=-a a=-4

(1-2i)(1+2i)+2(1-2i)+2(1+2i)=b b=9 5)세 근을 각각2-i, 2+i, a라고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i)(2+i)¥a=-5 ∴a=-1 (2-i)+(2+i)+(-1)=-a a=-3 (2-i)(2+i)+(2-i)(-1)+(2+i)(-1)=b

b=1

136

세 근을 각각1-i, 1+i, a라고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i)+(1+i)+a=4 ∴a=2

(1-i)(1+i)+2(1-i)+2(1+i)=a a=6 (1-i)(1+i2=-b b=-4

ab=6¥(-4)=-24

-5

9 a+b+c

abc 1

ca 1 bc 1 ab

ab+bc+ca abc 1

c 1 b 1 a

1 abc 1

ca 1 bc 1 ab 1

c 1 b 1 a

http://zuaki.tistory.com

http://zuaki.tistory.com

137

x‹ =1에서x‹ -1=0, (x-1)(x¤ +x+1)=0 방정식x‹ =1의 한 허근이x이므로

x¤ +x+1=0, x‹ =1

x¤ +x+1=0의 두 근이x, x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 여x+x’=-1, xx’=1

1)x‹ =1 2)x¤ +x+1=0 3)x+x=-1 4)xx=1

5)x+ =x+x’=-1

6)x¤ ‚ +x⁄ ‚ +1=(x)¥x¤ +(x)¥x+1

=x¤ +x+1=0 7)xfi +x› +x‹ +x¤ +x+1

=x(x¤ +x+1)+(x¤ +x+1)=0(∵x¤ +x+1=0) 8)x⁄ ¤ ‹ =(x)› ⁄ =1

138

x‹ =-1에서x‹ +1=0, (x+1)(x¤ -x+1)=0 방정식x‹ =-1의 한 허근이x이므로

x¤ -x+1=0, x‹ =-1

x¤ -x+1=0의 두 근이x, x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 여x+x’=1, xx’=1

1)x‹ =-1 2)x¤ -x+1=0 3)x+x=1 4)xx=1 5)x+ =x+x=1

6)x¤ ‚ +x⁄ ‚ +1=(x)¥x¤ +(x)¥x+1=x¤ -x+1=0 7)xfi +x› +x‹ +x¤ +x+1

=x(x¤ +x+1)+(x¤ +x+1)

=-(x¤ +x+1)+(x¤ +x+1)=0 8)x⁄ ¤ ‹ =(x)› ⁄ =(-1)› ⁄ =-1

139

1)㉠을 ㉡에 대입하면3y-1=3-y 4y=4y=1

이것을 ㉡에 대입하면x=2

2)㉠을 ㉡에 대입하면y=4(y-1)-2 3y=6y=2

이것을 ㉠에 대입하면x=1

3)㉡을 ㉠에 대입하면2x-(x+1)=2 x-1=2x=3

이것을 ㉡에 대입하면y=4

4)㉡을 ㉠에 대입하면2(3y+1)-4y=0 2y=-2y=-1

이것을 ㉡에 대입하면x=-2 1

x 1 x

5)㉠+㉡을 하면4x=4x=1 이것을 ㉠에 대입하면y=-1 6)㉠+㉡을 하면5x=5x=1 이것을 ㉡에 대입하면y=0

7)㉠+㉡_2를 하면10x=-5x=- 이것을 ㉠(또는 ㉡)에 대입하면y=- 8)㉠_2+㉡을 하면-3y=3y=-1 이것을 ㉠에 대입하면x=0

140

1)

먼저 미지수z를 소거하기 위하여

+㉡을 하면3x+2y=9yy㉣

+㉢을 하면5x-y=2 yy㉤

㉣+㉤_2를 하면13x=x=

이것을 ㉤에 대입하면y=

구한x, y의 값을 ㉠에 대입하면z=

2)

+㉡을 하면5x+2y=16 yy㉣

+㉢을 하면7x-y=11 yy㉤

+_2를 하면19x=38 x=2 x=2를 ㉤에 대입하면y=3

x=2, y=3을 ㉠에 대입하면z=1

x=2, y=3, z=1 3)

㉠+㉡을 하면4x+3y=18 yy㉣

㉡+㉢을 하면2x-y=4 yy㉤

+_3을 하면10x=30 x=3 x=3을 ㉤에 대입하면y=2

x=3, y=2를 ㉡에 대입하면z=-1

x=3, y=2, z=-1

141

1)

-㉡을 하면2y-z=2yy㉣

+㉢을 하면

4y-2z=22y-z= yy㉤

-㉤을 하면0= 이 되어 모순이다.

따라서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없다. 1

1 x+y-2z=2 yy㉠ x-y-z=0 yy㉡ -x+5y-z=2 yy㉢

[

3x+2y+z=12 yy㉠ x+y-z=6 yy㉡ x-2y+z=-2 yy㉢

[

x+y+z=6 yy㉠ 4x+y-z=10 yy㉡ 3x-2y+z=1 yy㉢

[

-1 3

1 13

x+y+z=3 yy㉠ 2x+y-z=6 yy㉡ 3x-2y+z=-4 yy㉢

[

3 2

1 2

http://zuaki.tistory.com

http://zuaki.tistory.com

2)

-㉡을 하면 x+y=1yy㉣

+㉢을 하면

3x+3y=3에서x+y=1yy㉤

㉣과 ㉤이 일치하므로 이를 동시에 만족하는x, y의 값은 무수히 많다.

이때, x=k(k는 임의의 실수)라고 하면

㉣에서y=

x=k, y= 을 ㉢에 대입하면 z=

따라서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x=k, y= , z= (k는 임의의 실수) 꼴로 무수히 많다.

142

1)

㉠+㉡+㉢을 하면2(x+y+z)=26

x+y+z= yy㉣

㉣-㉡을 하면x=

㉣-㉢을 하면y=

㉣-㉠을 하면z=

2)

㉠+㉡+㉢을 하면2(x+y+z)=20

x+y+z=10yy㉣

-㉡을 하면x=5

-㉢을 하면y=2

-㉠을 하면z=3 3)

㉠+㉡+㉢을 하면 2(x+y+z)=18

x+y+z=9yy㉣

-㉡을 하면x=3

-㉢을 하면y=2

-㉠을 하면z=4 4)

㉠+㉡+㉢을 하면2(x+3y+2z)=4

x+3y+2z=2yy㉣ x+3y=6 yy㉠ 3y+2z=-1 yy㉡ 2z+x=-1 yy㉢

[

x+y=5 yy㉠ y+z=6 yy㉡ z+x=7 yy㉢

[

x+y=7 yy㉠ y+z=5 yy㉡ z+x=8 yy㉢

[

6 4 3 13 x+y=7 yy㉠ y+z=10 yy㉡ z+x=9 yy㉢

[

k-1 -k+1

k-1 -k+1

-k+1 3x+2y-z=3 yy㉠ 2x+y-z=2 yy㉡ x+2y+z=1 yy㉢

[

-㉡을 하면x=3

-㉢을 하면3y=3y=1

-㉠을 하면2z=-4z=-2 5)x+y-1=y+z-5=z+x-3=3에서

˙k

㉠+㉡+㉢을 하면2(x+y+z)=18

x+y+z=9yy㉣

-㉡을 하면x=1

-㉢을 하면y=3

-㉠을 하면z=5

6)x+y=y+z-3=z+x+3=2에서

˙k

㉠+㉡+㉢을 하면2(x+y+z)=6

x+y+z=3yy㉣

-㉡을 하면x=-2

-㉢을 하면y=4

-㉠을 하면z=1

7) = = =1에서

㉠+㉡+㉢을 하면2(x+y+z)=14

x+y+z=7yy㉣

-㉡을 하면x=2

-㉢을 하면y=1

-㉠을 하면z=4

8) = = =2에서

㉠+㉡+㉢을 하면2(x+y+z)=18

x+y+z=9yy㉣

-㉡을 하면x=3

-㉢을 하면y=1

-㉠을 하면z=5

143

1)[

㉠에서y=5-2xyy㉢

㉢을 ㉡에 대입하면x¤ +(5-2x)¤ =25 5x¤ -20x=0, 5x(x-4)=0

x=0또는x= 4 2x+y=5 yy㉠ x¤ +y¤ =25 yy㉡ x+y=4yy㉠ y+z=6 yy㉡ z+x=8 yy㉢

[

z+x 4 y+z

3 x+y

2

x+y=3yy㉠ y+z=5 yy㉡ z+x=6 yy㉢

[

z+x 6 y+z

5 x+y

3

x+y=2 yy㉠ y+z=5 yy㉡ z+x=-1yy㉢

[

x+y=2 y+z-3=2 z+x+3=2

[

x+y=4 yy㉠ y+z=8 yy㉡ z+x=6 yy㉢

[

x+y-1=3 y+z-5=3 z+x-3=3

[

http://zuaki.tistory.com

http://zuaki.tistory.com

이것을 ㉢에 대입하여y의 값을 구하면

x=0일 때, y=5

¤x= 일 때, y=

∴[ 또는[

2)[

㉠에서x=2+yyy㉢

㉢을 ㉡에 대입하면 (2+y)¤ +y¤ =10 4+4y+2y¤ =10y¤ +2y-3=0 (y+3)(y-1)=0 y=-3또는y=1 이것을 ㉢에 대입하면[ 또는[ 3)[

㉠에서x=4-yyy㉢

㉢을 ㉡에 대입하면 (4-y)¤ +y(4-y)+y¤ =13 16-8y+y¤ +4y-y¤ +y¤ =13y¤ -4y+3=0 (y-1)(y-3)=0 y=1또는y=3 이것을 ㉢에 대입하면[ 또는[ 4)[

㉠에서y=3-2xyy㉢

㉢을 ㉡에 대입하면x¤ +x(3-2x)+(3-2x)¤ =3 x¤ +3x-2x¤ +9-12x+4x¤ =3

3x¤ -9x+6=0x¤ -3x+2=0 (x-1)(x-2)=0 x=1또는x=2 이것을 ㉢에 대입하면

[ 또는[

5)[

㉠에서x=3yyy㉢

㉢을 ㉡에 대입하면 (3y)¤ -2y=11 9y¤ -2y-11=0⇨ (9y-11)(y+1)=0

y= 또는y=-1 이것을 ㉢에 대입하면

또는[

144

1)[

㉠에서 (x+y)(x-3y)=0 x=-y또는x=3y x¤ -2xy-3y¤ =0 yy㉠

x¤ +y¤ =10 yy㉡ x=-3 y=-1 x=:¡3¡:

y=:¡9¡:

((

{{

99 11

9

x-3y=0 yy㉠ x¤ -2y=11 yy㉡

x=2 y=-1 x=1

y=1

2x+y=3 yy㉠ x¤ +xy+y¤ =3yy㉡

x=1 y=3 x=3

y=1

x+y=4 yy㉠

x¤ +xy+y¤ =13yy㉡

x=3 y=1 x=-1

y=-3 x-y=2 yy㉠ x¤ +y¤ =10 yy㉡

x=0 y=5

-3 4

x=-y를 ㉡에 대입하면y¤ +y¤ =10, y¤ =5y=—'5

⁄∴x=—'5, y=–'5(복부호동순)

¤x=3y를 ㉡에 대입하면9y¤ +y¤ =10

y¤ =1y=1

⁄∴x= , y=1(복부호동순)

⁄, ¤에서 구하는 연립방정식의 해는

[ 또는[ 또는[ 또는[

2)[

㉠에서x(x-y)=0

x=0또는x=y

x=0을 ㉡에 대입하면-y¤ =3y¤ =-3 y=—'3i

⁄∴x=0, y=—'3i

¤x=y를 ㉡에 대입하면2y¤ -y¤ =3y¤ =3 y=—'3

⁄∴x=—'3, y=—'3(복부호동순)

⁄, ¤에서 구하는 연립방정식의 해는

[ 또는[ 또는[ 또는[

3)[

㉠에서 (x-2y)(x+y)=0

x=2y또는x=-y

x=2y를 ㉡에 대입하면

8y¤ +y¤ =99y¤ =9 y=—1

⁄∴x=—2, y=—1(복부호 동순)

¤x=-y를 ㉡에 대입하면

2y¤ +y¤ =93y¤ =9 y=—'3

⁄∴x=—'3, y=–'3(복부호동순)

⁄, ¤에서 구하는 연립방정식의 해는

[ 또는[ 또는[ 또는[

4)[

㉠에서 (x-5y)(x-y)=0

x=5y또는x=y

x=5y를 ㉡에 대입하면

25y¤ +y¤ =2626y¤ =26 y=1

⁄∴x=5, y=1(복부호 동순)

¤x=y를 ㉡에 대입하면 2y¤ =26y¤ =13y=—'∂13

⁄∴x=—'∂13, y=—'∂13(복부호동순)

⁄, ¤에서 구하는 연립방정식의 해는

[ 또는[ 또는[ 또는[

x=-'∂13 y=-'∂13 x='∂13

y='∂13 x=-5

y=-1 x=5

y=1

x¤ -6xy+5y¤ =0 yy㉠ x¤ +y¤ =26 yy㉡

x=-'3 y='3 x='3

y=-'3 x=-2

y=-1 x=2

y=1

x¤ -xy-2y¤ =0 yy㉠ 2x¤ +y¤ =9 yy㉡

x=-'3 y=-'3 x='3

y='3 x=0

y=-'3i x=0

y='3i

x¤ -xy=0 yy㉠ 2xy-y¤ =3 yy㉡ x='5 y=-'5 x=-'5

y='5

3 x=

y= -3 4

x=

y=-1

-3 x=

y=1 3

http://zuaki.tistory.com

http://zuaki.tistory.com

5)[

㉠에서 (x+2y)(x-y)=0

x=y또는x=-2y

x=y를 ㉡에 대입하면

2y¤ =10, y¤ =5 y=—'5

⁄∴[ 또는[

¤x=-2y를 ㉡에 대입하면

4y¤ +y¤ =10, y¤ =2 y=—'2

⁄∴[ 또는[

⁄, ¤에서 구하는 연립방정식의 해는

[ 또는[ 또는[ 또는[

145

1)x, y의 합은8이고 곱이15이므로

두 수x, y는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t에 대한 이차방정식t¤ -8t+15=0의 두 근이 된다.

인수분해하면 (t-3)(t-5)=0이므로 t= 또는t=

따라서 구하는 연립방정식의 해는

‡ 또는[

2)두 수x, yt에 대한 이차방정식t¤ -2t-8=0의 두 근이 된다.

(t-4)(t+2)=0 t=4또는t=-2 따라서 구하는 연립방정식의 해는

[ 또는[

3)두 수x, yt에 대한 이차방정식t¤ -9t+20=0의 두 근이 된다.

(t-4)(t-5)=0 t=4또는t=5 따라서 구하는 연립방정식의 해는

[ 또는[

4)x+y=u, xy=v로 놓으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은 [

㉡을 ㉠에 대입하면u¤ -64=80 u¤ =144 u=

u=12, v=32, 즉x+y=12, xy=32일 때x, y는 이차방정 식t¤ -12t+32=0의 두 근이므로

⁄(t-4)(t-8)=0 t=4또는t=8

⁄∴[ 또는[ x=8 y=4 x=4

y=8

12 u¤ -2v=80 yy㉠

v=32 yy㉡

x=5 y=4 x=4

y=5

x=-2 y=4 x=4

y=-2

x=5 y=3

5 3

x=2'2 y=-'2 x=-2'2

y='2 x=-'5

y=-'5 x='5

y='5

x=2'2 y=-'2 x=-2'2

y='2

x=-'5 y=-'5 x='5

y='5

x¤ +xy-2y¤ =0 yy㉠ x¤ +y¤ =10 yy㉡

¤u=-12, v=32, 즉x+y=-12, xy=32일 때x, y는 이 차방정식t¤ +12t+32=0의 두 근이므로

⁄(t+4)(t+8)=0 t=-4또는t=

⁄∴[ 또는‡

⁄, ¤에서 구하는 연립방정식의 해는

[ 또는[ 또는[ 또는[

5)x+y=u, xy=v로 놓으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은 [

㉡을 ㉠에 대입하면u¤ -24=40 u¤ =64 u=8

u=8, v=12, 즉x+y=8, xy=12일 때x, y는 이차방정식 t¤ -8t+12=0의 두 근이므로

⁄(t-2)(t-6)=0 t=2또는t=6

⁄∴[ 또는[

¤u=-8, v=12, 즉x+y=-8, xy=12일 때x, y는 이차 방정식t¤ +8t+12=0의 두 근이므로

⁄(t+2)(t+6)=0 t=-2또는t=-6

⁄∴[ 또는[

⁄, ¤에서 구하는 연립방정식의 해는

[ 또는[ 또는[ 또는[

146

1)길이가160 cm인 철사를 잘라서 한 변의 길이가 각각 acm, bcm인 두 개의 정사각형을 만들었으므로 4a+4b=160a+b=40yy㉠

이 두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이850 cm¤이므로 a¤ +b¤ = yy㉡

㉠에서a=40-b 이것을 ㉡에 대입하면

(40-b)¤ +b¤ =850, b¤ -40b+375=0 (b-25)(b-15)=0 b=25또는b=15

a= , b= (∵a>b) 2)문제의 조건에서 식을 세우면 [

㉠에서a+b=12, b=12-a b=12-a를 ㉡에 대입하면

a¤ +(12-a)¤ =74a¤ -12a+35=0 (a-5)(a-7)=0a=5또는a=7

∴[ 또는[

그런데a>b이므로a=7, b=5 a=7 b=5 a=5

b=7

4a+4b=48 yy㉠ a¤ +b¤ =74 yy㉡ 15 25

850

x=-6 y=-2 x=-2

y=-6 x=6

y=2 x=2

y=6

x=-6 y=-2 x=-2

y=-6

x=6 y=2 x=2

y=6

u¤ -2v=40 yy㉠

v=12 yy㉡

x=-8 y=-4 x=-4

y=-8 x=8

y=4 x=4

y=8 x=-4 y=-8

-8

x=

y= 5 3

x=-8 y= -4

http://zuaki.tistory.com

http://zuaki.tistory.com

3)처음 두 자리 정수의 십의 자리의 숫자와 일의 자리의 숫자를 각각x, y라고 하면

㉡을 정리하면x+y=11이므로y=11-x y=11-x를 ㉠에 대입하면

x¤ +(11-x)¤ =73, x¤ -11x+24=0 (x-3)(x-8)=0 x=3또는x=8

∴[ 또는‡ x>y이므로x=8, y=

따라서 처음 정수는 이다.

4)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를acm, 세로의 길이를bcm라고 하면

[ ⇨[

㉠에서b=14-a이므로 ㉡에 대입하면 a¤ +(14-a)¤ =100, a¤ -14a+48=0 (a-8)(a-6)=0 a=8또는a=6

∴‡ 또는[ a>b이므로a= , b=

따라서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는 cm이다.

147

1)xy-3x+2y=0에서y(x+2)-3(x+2)=-6 (x+2)(y-3)=-6

이를 만족하는x, y의 순서쌍 (x, y)는

(-8, 4), (-5, 5), (-4, 6), (-3, 9), (-1, ), (0, 0), (1, ), (4, 2)

x, y는 자연수이므로 구하는 해는 (1, ), (4, 2) 2)xy-3x-3y+7=0에서

x(y-3)-3(y-3)=2⇨ (x-3)(y-3)=2

이를 만족하는x, y의 순서쌍 (x, y)는

(1, 2), ( , 1), ( , 5), (5, 4)이고x, y는 모두 자연수이므 로 모두 구하는 해이다.

3)xy-4x-3y+10=0에서

x(y-4)-3(y-4)=2⇨ (x-3)(y-4)=2 4

2

1 1

-3 8

6 8

a=6 b=8

a+b=14 yy㉠ a¤ +b¤ =10¤ yy㉡ 2a+2b=28

a¤ +b¤ =10¤

83 3 x=3

y=8

이를 만족하는 자연수x, y의 순서쌍 (x, y)는 (1, 3), (2, 2), (4, 6), (5, 5)이다.

148

1)주어진 식을 변형하면 (x¤ +2x+1)+(y¤ -4y+4)=0 (x+1)¤ +(y-2)¤ =0

이때, x, y가 실수이므로 x+1=0, y-2=0

x=-1, y=2

2)x¤ -4x+y¤ -8y+20=0에서 (x¤ -4x+4)+(y¤ -8y+16)=0 (x-2)¤ +(y-4)¤ =0

이때, x, y가 실수이므로x-2=0, y-4=0

x=2, y=4

149

1)좌변을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x¤ +2(1-2y)x+5y¤ -8y+5=0

x가 실수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이 실근을 가져야 한다.

=(1-2y)¤ -5y¤ +8y-5æ0 -y¤ +4y-4æ0⇨ (y-2)¤0 y도 실수이므로y의 값은2뿐이다.

이 값을 주어진 방정식에 대입하면x¤ -6x+9=0 (x-3)¤ =0 x=3

∴ (x, y)=(3,2)

2)x¤ -6yx+10y¤ -2y+1=0 이 방정식이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9y¤ -10y¤ +2y-1æ0

-y¤ +2y-1æ0⇨ (y-1)¤0 y=1 y=1을 주어진 방정식에 대입하면

x¤ -6x+9=0

(x-3)¤ =0 x=3

∴ (x, y)=(3,1)

150

x¤ -2xy+5y¤ +4y+1=0에서 (x¤ -2xy+y¤)+(4y¤ +4y+1)=0 (x-y)¤ +(2y+1=0

이때, x, y가 실수이므로x-y=0, 2y+1=0

x=- , y=-

x+y=-1

1 2 1

2 D

4 D

4 a=

b=6 8

x+2 -6 -3 -2 -1 1 2 3 6

y-3 1 2 3 6 -6 -3 -2 -1

x¤ +y¤ =73 yy㉠

(10y+x)+(10x+y)=121 yy㉠

x=8 y= 3

x-3 -2 2

y-3 -1 -2 2 1

1 -1

x-3 -2 -1 1 2

y-4 -1 -2 2 1

http://zuaki.tistory.com

http://zuaki.tistory.com

II-4

여러 가지 부등식 pp.114~131

Dalam dokumen 수력충전 빠답(001~009) (Halaman 46-56)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