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3. 연구개발 범위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5 있다. 동해안에서 주로 발생하여 너울성 파도라 불리는 이상고파는 가을·겨울철 (10 월~2월) 중국 내륙에서 발생하여 동해로 진행하는 온대성 저기압 등 지역적 기상특성에 의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보통 2~3일에 걸쳐 지속된다. 최근에는 태풍의 경로 특 성에 따라 여름철에도 너울성 고파랑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외해에서 발달한 너 울성 파도로 인하여 연안 구조물 주변에서 예기치 못한 월파로 인한 인명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상고파로 인한 피해 저감을 위한 예측정보 제공 및 지 원이 필요하다.

6❙

연구책임자

㈜지오시스템리서치

남수용

연안이상현상 대응체계 구축연구

주관연구기관명

㈜지오시스템리서치 남수용외

1세부

이상고파 원인규명 및 예측감시기술 개발연구

협동연구기관명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박광순 외

2세부

이안류 거동특성 파악 및 예측감시기술 개발연구

협동연구기관명 한양대학교

윤성범 외

3세부

위탁연구기관명

㈜동녁 (2차년부터)

나성준 공동연구기관명

세종대학교

이창훈 공동연구기관명

한동대학교 안경모

공동연구기관명 군산대학교 (2차년부터) 김태림

위탁연구기관명 서울대학교

서경덕

공동연구기관명 한국건설기술

연구원 최준우 위탁연구기관명

전남대학교 (3차년도) 이종인

위탁연구기관명 강원대학교 (2-3차년도) 하태민

공동연구기관명 Deltares (3-4차년도) JaccoGroeneweg외

<그림 1.1.1> 연구수행체계.

본 연구과제는 총 5차년에 걸친 연구로 진행되며, 1차년도(2014)는 주로 발생원인규 명 및 거동특성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및 분석 중심의 기초연구로 진행되며, 2차년 도(2015)와 3차년도(2016)는 본격적인 기반연구 수행단계로써 근해 관측/감시체계 구축 및 운영, 수리 및 수치모형실험 등 다양한 원인규명 및 예측감시기술 개발 연구가 수행 된다. 4차년도(2017)에는 그간의 기반연구들을 종합정리 및 검토하여 그간의 기술들을 기법화하는 단계이다. 마지막 5차년도(2018)에는 이상고파-이안류, 기상기반-관측기반 등의 개별 요소기술들을 통합화하고 예경보시스템 구축, 재난매뉴얼 작성 등 대응체계를 구축한다(그림 1.1.2).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7

외해/근해관측/감시체계구축및운영 관측자료표준검증기법수립

관측치상관관계분석통한원인인자도출 이상고파감시기법개발을위한수치모형수립

월파수치실험및수리실험–거동특성파악 근해관측체계기초설계

타기관관측망활용방안

현장관측자료및예측기법 자료조사/분석

근해관측/감시체계구축및운영

근해관측/시나리오기반 이상고파감시기법

월파수치실험

연안이상현상예경보 전달기술개발

이상고파외해관측체계설계

이상고파통계적분석 기존이상고파 예측의문제점

및기존자료 조사/분석

기상및파랑관측자료상관성분석 수치계산알고리즘개발및실해역적용 수치모델링분석및알고리즘개선피드백연구

이상고파관측체계운영/관리 기상-파랑예측기반

이상고파감시기법

실시간예측최적화 시범적용/피드백 통계적예측기법개발

관측체계운영/관리

시범권역이상고파 예측정보최적화 통계적예측기법개선

피해지역조사및 시범지역선정

기초/증폭/이동상 이안류실험설계 이안류및영상관측기법

자료조사/분석

X-band 레이더/영상관측시스템구축/운영 이안류변화영상관측처리기법개발 외/내해관측자료분석및예측기법개발 동아시아해역수치모의및원인인자도출

X-band 레이더/영상기반 탐지체계검증 외/근해관측기반이안류

예측감시기법

이안류채널생성이동상실험 수치시뮬레이션고도화

기상자료,외해, 근해관측기반 장단기예측감시기법통합화 X-band 레이더/영상 탐지체계개선및DB 근해관측기반실시간이안류

감시기법개선 이상고파원인인자도출및거동특성파악

외해이상고파전파특성분석및통계적예측

이안류원인인자도출및거동특성파악 이안류발생및증폭파악3차원실험

기상기반과관측기반 예측감시기법통합

연안이상현상감시기반 재해저감방안수립

연안 이상현상 대응체계 구축연구

이상고파 원인규명 및 예측감시 기술연구

이안류 거동특성 파악 및 예측감시 기술연구

제1세부

2014 (기초연구) 2015~2016 (기반연구) 2017 (기법연구) 2018 (통합연구)

제2세부

제3세부

<그림 1.1.2> 연차별 연구추진체계.

8❙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