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 Argyle(2001)이 개발한 옥스퍼드 행복 척도 (Oxford Happiness Qwestionnaire: OHQ)를 권석만(2008)이 번안한 것을 토대로 최영 옥(2011)이 일부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내적 행복(6문항), 외적 행복(10문항), 자기조절 행복(5문항)으로 총 2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하위요인별 세부내용을 살펴보면, 내적 행복은 ‘나는 행복하다’, ‘나는 내 인생을 잘 통제하고 있다고 느낀다’, ‘나는 내 인생에서 상당한 보람을 느낀다’ 등으로 본인 스스로가 느끼는 내적 긍정 정서를 포함하고 있는 내적 행복의 기준에 대한 6개의 문 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적 행복은 ‘나는 다른 사람들에게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 ‘나 는 다른 사람들에게 따뜻한 감정을 지니고 있다’, ‘나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재미있는 일들을 자주 경험한다’, ‘나는 세상이 참 좋은 곳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등으로 외적 으로 보여지는 행복의 기준들에 대한 1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기조절 행복 은 ‘나는 활기차다’, ‘나는 정신적으로 항상 맑게 깨어 있는 편이다(깨어있다)’, ‘나는 건강하다고 느낀다’, ‘나는 내 시간을 잘 관리하지 못한다’ 등으로 자기조절을 잘함으 로써 나타나는 긍정적인 반응으로 본인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행복의 기준에 대한 5 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항별 척도는 Likert식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에서부터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응답하며, 점수구간은 최대점수는 105점, 최소점수는 21점으로 나타난다. 행 복감 문항 중 부정적 진술문으로 되어 있는 7문항은 역채점하여 계산하였으며, 행복 감 점수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표 4>에서 행복감 연구도구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과 신뢰도를 제시하였으며, Cronbach’s
⍺
값을 산출하여 신뢰도를 살펴보았다. 행복감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내적 행 복은 .77, 외적 행복은 .84, 자기조절 행복은 .72, 행복감(전체) 신뢰도는 .90로 나타났다.<표 4> 행복감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2) 직무환경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직무환경 척도는 서지영(2002)의 연구 에서 유아교육기관의 직무환경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를 박복매(2011)가 보육 교사들에게 적합하게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원장과의 관계(5문 항), 동료교사와의 관계(5문항), 복지환경(5문항), 교사전문성지원(5문항), 운영 및 의사 결정(7문항)으로 총 2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하위요인별 세부내용을 살펴보면, 원장과의 관계는 ‘나는 원장으로부터 유용한 지지와 피드백을 받고 있다’, ‘원장은 내가 새로운 아이디어를 시도할 수 있게 격려한 다’, ‘원장은 내가 하는 일에 대해 지나치게 관여하며 잔소리를 한다’ 등으로 교사가 원장과의 관계에서 정서적 지지와 직무수행에 관한 도구적 지지에 대한 5개의 문항으 로 구성되어 있다. 동료교사와의 관계는 ‘나는 동료들과 즐겁게 지낸다’, ‘동료들은 나 를 지지하고 격려해준다’, ‘나는 동료들을 신뢰하지 못한다’ 등으로 주위의 동료로부터 격려와 지지를 받는다고 지각하는 정도에 대한 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지 환경은 ‘나는 능력과 경력에 합당한 보수를 받고 있다’, ‘우리 어린이집은 승진, 발전의 기회가 별로 없다’, ‘나는 적합한 휴가를 제공받는다’ 등으로 교사에게 제공되는 보수, 수당, 승진, 사회보장제도, 휴가와 방학의 정도에 대한 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사전문성 지원은 ‘나는 어린이집 내 교육을 통해 교육활동에 관련된 내용을 많이 배우고 있다’, ‘우리 어린이집 내 교사회의는 영유아들의 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논의하 는 경우가 거의 없다’, ‘원장은 교사가 전문적으로 발전할 기회를 가지도록 적극 권장 한다’ 등으로 교사가 전문적 성장을 할 수 있는 기회에 대한 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 어 있다. 운영 및 의사결정은 ‘교사들이 보육과정의 내용을 결정하는데 함께 참여한 다’, ‘학급을 편성할 때 교사들의 의견이 반영된다’, ‘우리 어린이집은 충분한 토의를 거친 후 모든 구성원이 어느 정도 동의한 후 최종 결정을 내린다’ 등으로 어린이집 내에서 일어나는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하는 정도에 대한 7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 다.
문항별 척도는 문항별 척도는 Likert식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에서부 터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응답하며, 점수구간은 최대점수는 135점, 최소점수는 27점으 로 나타난다. 직무환경 문항 중 부정적 진술문으로 되어 있는 8문항은 역채점하여 계 산하였으며, 직무환경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환경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표 5>에서 직무환경 연구도구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과 신뢰도를 제시하였으며,
Cronbach’s ⍺값을 산출하여 신뢰도를 살펴보았다. 직무환경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원
장과의 관계는 .85, 동료교사와의 관계는 .87, 복지환경은 .68, 교사전문성 지원은 .72, 운영 및 의사결정은 .83, 직무환경(전체) 신뢰도는 .90로 나타났다.
하위요인 문항번호 문항수 Cronbach’s ⍺
원장과의 관계 1, 2, 3, 4*, 5* 5 .85
동료교사와의 관계 6, 7, 8, 9, 10* 5 .87
복지환경 11, 12*, 13*, 14*, 15 5 .68
교사전문성 지원 16, 17, 18*, 19*, 20 5 .72
운영 및 의사결정 21, 22, 23, 24, 25, 26, 27 7 .83
전 체 27 .90
<표 5> 직무환경 하위요인별 문항 및 신뢰도
(*): 역채점 문항
하위요인 문항번호 문항수 Cronbach’s ⍺
학생참여 1, 2, 4, 6, 9, 12, 14, 22 8 .85
수업전략 7, 10, 11, 17, 18, 20, 23, 24 8 .92
교실경영 3, 5, 8, 13, 15, 16, 19, 21 8 .87
전 체 24 .95
3)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Tschannen-Moran, Woolfolk-Hoy(2001)가 개발한 ‘Ohio State Teacher Efficacy Scale(OSTES)'를 번안하여 아동가정복지학 지 도교수의 지도를 받은 후 연구자가 어린이집 상황에 맞게 재구성한 교사효능감 척도 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학생참여(8문항), 수업전략(8문항), 교실경영(8문항)으로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하위문항별 세부내용을 살펴보면, 학생참여는 ‘나는 부적응 영유아를 다룰 수 있다’, ‘나는 영유아들이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등으로 영유아들 의 동기나 가치 및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정도에 대한 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업전략은 ‘나는 영유아의 어려운 질문에 잘 대답해 줄 수 있다’, ‘나는 영유아 의 여러 가지 발달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등으로 영유아들이 어린이집에서 생활하 는데 어려움이 없게 하거나 활동하는데 도움을 주는 전략에 대한 8개의 문항으로 구 성되어 있다. 교실경영은 ‘나는 교실에서 방해하는 영유아의 행동을 잘 통제할 수 있 다’, ‘나는 영유아의 행동에 대한 기대수준을 명확하게 세울 수 있다’ 등으로 영유아들 이 반에서 생활하거나 활동을 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게 지원에 대한 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항별 척도는 문항별 척도는 Likert식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에서부 터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응답하며, 점수구간은 최대점수는 120점, 최소점수는 24점으 로 나타난다. 교사효능감 직무환경 점수가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 다.
<표 6>에서 교사효능감 연구도구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과 신뢰도를 제시하였으며,
Cronbach’s ⍺값을 산출하여 신뢰도를 살펴보았다. 교사효능감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학생참여는 .85, 수업전략은 .92, 교실경영은 .87, 교사효능감(전체) 신뢰도는 .95로 나 타났다.
<표 6>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과 신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