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앙부처 및 광역자치단체 소속 일반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여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구성하는 하위변수 7가지가 이직의 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연구의 목적을 반영하여 직무스트레스의 요인의 하위변수에 해당하는 7 가지 항목을 활용하여 <가설 1>, <가설 2>, <가설 3>을 설정하였다.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역할갈등을 설명하는 3가지 하위변수인 상급자 의 모순된 요구, 상사/부하의 상이한 요구, 업무책임과 개인가치관 차이 에 대하여 <가설 1>은 세부적으로 3개의 가설로 나눠지며 아래와 같다.
가설 1-1. 상급자의 모순된 요구 정도가 클수록 공무원의 이직의도는 높아질 것이다.
가설 1-2. 상사/부하들의 요구사항이 상이할수록 공무원의 이직의도는 높아질 것이다.
가설 1-3. 업무책임과 개인가치관 차이가 클수록 공무원의 이직의도는 높아질 것이다.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역할모호성을 갈등하는 3가지 하위변수인 업무 책임범위 불분명, 업무 우선순위 불분명, 업무 수행방법 불분명에 관하여 서는 <가설 2>를 설정하였으며 세부적으로 3개의 가설로 나눠진다.
가설 2-1. 업무 책임범위가 불분명할수록 공무원의 이직의도는 높아질 것이다.
가설 2-2. 업무 우선순위가 불분명할수록 공무원의 이직의도는 높아질 것이다.
가설 2-3. 업무 수행방법이 불분명할수록 공무원의 이직의도는 높아질 것이다.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역할 과다와 관련하여서는 <가설 3>을 설정하 였으며 아래와 같다.
가설 3. 업무 책임이 과중할수록 공무원의 이직의도는 높아질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하위변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무원의 직급을 조절변수로 활용하였을 때 차이를 보이는 지 확인하기 위해 <가설 4>를 설정하였다.
가설 4.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하위변수가 공무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공무원의 직급에 따라 다를 것이다.
구분 가설
가설 1
가설 1-1
역할 갈등
상급자의 모순된 요구 정도가 클수록 공무원의 이직의도는 높아질 것이다.
가설
1-2 상사/부하들의 요구사항이 상이할수록 공무원의 이직의도는 높아질 것이다.
가설
1-3 업무책임과 개인가치관 차이가 클수록 공무원의 이직의도는 높아질 것이다.
가설 2
가설 2-1
역할 모호성
업무 책임범위가 불분명할수록 공무원의 이직의도는 높아질 것이다.
가설
2-2 업무 우선순위가 불분명할수록
공무원의 이직의도는 높아질 것이다.
가설
2-3 업무 수행방법이 불분명할수록 공무원의 이직의도는 높아질 것이다.
가설 3 역할
과다 업무 책임이 과중할수록
공무원의 이직의도는 높아질 것이다.
가설 4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하위변수가 공무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공무원의 직급에 따라 다를 것이다.
[표 4] 가설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