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5. 결론 및 연구과제

5.2 연구 과제

본 논문에서는 울산항 50,000 DWT급 부두에 대해 실선 모델링을 통한 50,000 DWT급, 70,000 DWT급, 100,000 DWT급 선박 계류안전성 평가를 수행 하였다. 동일한 부두를 이용하는 선박의 규모가 증가 될 때 계류삭, 계선주, 방 현재 등에 걸리는 장력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50,000 DWT 급 이상의 선박이 50,000 DWT급 접안능력 부두를 이용할 때 선박 규모의 한 계 및 환경외력 조건에 따른 계류 한계 등을 그래프로 알아볼 수 있다.

하지만, 각 선박의 제원, 계류삭의 종류, 선박 계류 시스템 구조 등이 다양하 고 그러한 요소로 인해 결과가 변할 수도 있기 때문에 좀 더 많은 선박 Type 및 환경 조건에 따른 평가를 수행하여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 다.

또한, 각 항만에 있는 위험물 부두 선박 접이안 실태를 조사하여 부두 접안 능력을 상회하는 선박이 접이안 할 경우 어느 정도 규모의 선박이 어느 정도 환경외력에서 접안 또는 계류가 가능한지 사용자가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부두 별 계류가이드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형 해양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입항선 박 종류, 선박 규모, 부두 계류시설 등 각 부두의 특성을 적용한 부두별 계류 가이드 수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사례에 대한 세부적인 분류 체계를 수립하여야 하고, 계류 가이드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바람, 조류 및 파고 등 의 외력조건은 물론 항주파 영향에 의한 계류 시설물 장력 변화, Ship-Ship 및 SBM 등 다양한 접안 Case 등을 반영하여 대상 부두에 가장 적합한 계류 가이 드를 수립 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김정은, 2004. 선박대형화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 장치장 규모 산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한국해양대학교.

[2] 부산지방해양수산청 PORT-MIS/EDI, http://www.portbusan.go.kr.

[3] 울산항만공사, 2013. 오일허브(1단계) 하부시설 및 항만배후단지(2공구) 건설공사 실 시설계 해상교통안전진단 보고서, 울산항만공사.

[4] 울산항만공사 홈페이지, http://www.upa.or.kr.

[5] 울산지방해양항만청 홈페이지, http://ulsan.mof.go.kr.

[6] 이창수, 2009. 선박대형화와 항만비용의 상호 관계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순천대 학교.

[7] 전상엽, 2008. 부두 설계기준을 고려한 접안가능 최대선형의 결정에 관한 연구 - 울 산항을 중심으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14(1), pp.45~54.

[8] 최봉호, 2007. 국내 주요항만별 항만물동량과 산업성장의 인과관계. 한국항만경제학 회지, 23(4), pp.159~175.

[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2010. 광양항 제품부두 접안기준 개선연구 보고서, 한 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10] 해양수산부, 2005.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 해양수산부.

[11] 해양수산부 공식블로그, http://blog.naver.com/koreamof.

[12] 해운항만물류정보센터(SPIDC) 홈페이지, http://www.spidc.go.kr.

[13] (주)동일케미컬 홈페이지, http://www.dichemic.com.

[14] (주)SEETEC, 2013. (주)씨텍 대산항 접안시설 증설(#6 Berth) 해상교통안전진단 보 고서, (주)SEET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