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분석 대상과 범위
본 연구는 2017년 10월 제19차 당대회 및 2018년 3월 전인대를 계기로 새롭게 출범한 시진핑 2기 지도부를 분석 대상으로 한다.
첫째, 당(党) 부문은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7명, 중앙정 치국 위원 25명 중 18인 등 총 25명을 분석한다. 이와 함께 시진핑 집권 1기에 설립되어 최근 대외정책 결정 과정에서 위상이 높아진 중앙국가안전위원회와 2018년 3월 전인대 기구 개혁을 통해 새롭 게 변모한 중앙외사공작위원회의 구성원 및 역할을 분석한다. 둘째, 중앙정부(政) 부문은 국무원으로서, 국무원 총리(1명)와 부총리(4명), 국무위원(5명) 및 26개 부(部)‧위원회 주임(26명) 등 총 36명 중에 서 겸직자(3명)를 제외한 33명을 분석한다. 셋째, 군부(軍)의 경우 중앙군사위원회 및 인민해방군 지도부 총 22명 중에서9) 제19차 당 대회에서 선출된 중앙정치국 위원 25명 중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2명과 위원 4명을 분석한다.
9) 여기에는 중앙군사위(주석 1명, 부주석 2명, 위원 4명), 국방부장(1명), 인민해방군 4대 총부(총참모부, 총정치부, 총후근부, 총장비부) 주임 및 부장(4명), 3대 군종(해 군, 공군, 제2포병) 사령원(3명), 7대 전구(战区) 사령원(7명) 등이 포함된다.
본 연구는 시진핑 2기 당‧정‧군 지도부를 대상으로 민족‧성별‧출 생년도‧출생지‧출신학교‧전공 등 인구통계학적 특징을 분석하고, 필요 시 유학 경험‧하방 여부 등의 요소를 적절히 활용한다. 이러한 분석은 공산당 및 정부 내 연령 제한 규정 준수 여부, 지도부 내 여 성‧소수민족 비율, 전문성 구비 여부 등을 밝힘으로써 중국정치의 제도화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로 활용될 수 있다.
중국의 대외정책 결정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주요 행위자와 그들 간 권력관계를 밝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최근 시진핑 으로 권력 집중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진핑 2기 지도부의 대외 정책 결정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정형화된 대외정책 결 정 구조에 대한 분석에서 벗어나 좀 더 실질적이고 설득력 있는 분석 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앙정치국 위원(25명)과 국무원 26개 부‧위원회 지도부(26명) 중에서 시진핑 측근 인사를 ‘시진핑 계 열(习派)’ 혹은 ‘범시진핑 계열(凡习派)’로 구분하고 시진핑과의 관련 성을 파악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시진핑의 당‧정 장악 여부 및 수준을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시진핑의 고향인 산시(陕 西)성 푸핑, 출신학교인 베이징101중학(北京101中学) 및 칭화대학교 (清华大学), 주요 근무지였던 푸젠성‧저장성‧상하이‧중앙당교(中 央党校) 등을 토대로 시진핑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인물 을 ‘시진핑 계열’로 분류한다. 아울러 리잔수(栗战书), 류허(刘鹤) 등 핵심 측근을 ‘범시진핑 계열’로 분류함으로써 시진핑의 당‧정 장악 수준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밖에 본 연구는 당‧정‧군 지도부의 인구통계학적 분석과 시진핑 계열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중국이 정상외교(summit diplomacy) 추진 과정에서 업무 관련성이 높은 사람이 배석하는 관례를 참고하 여 시진핑 국가주석의 정상외교 배석자에 대한 분석을 추가했다.
즉, 2012년 11월 이후 현재까지 시진핑 국가주석의 주요국(미국‧한 국‧북한 등) 지도부와의 정상외교에 배석한 중국 측 인사를 분석함 으로써 중국의 대미정책 및 한반도정책 결정 구조에 대한 설명력을 높이고자 한다.
나. 연구 방법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행위자 요인이 대외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 치는가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한다. 실제로 국가의 대외정책 방향에 대한 설명력과 예측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최고 정치엘리트 내부 가 어떻게 구성되고, 그들이 갖고 있는 정책적 정향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만 상대국에 대한 정책 실패의 가능 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중국의 1차 자료를 중심으로 최고지도부에 대한 분석을 수행했고, 대만과 홍콩 등 중화권 자료도 참고하였다.
중국은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나 전국인민대표대회와 같은 중요한 정 치 일정이 끝나자마자 최고지도부 인선에 대한 주요 프로필을 관영 언론인 인민일보(人民日报)와 신화사(新华社) 등을 통해 공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시진핑 2기 지도부 구성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징 을 도출하기 위해 인민일보 홈페이지의 ‘중국정요(中国政要)’10), 신 화사의 ‘2018년 중국 양회(两会) 특집 홈페이지’11), 중국정부 홈페이 지인 중국망(中国网)의 ‘중국정요 데이터베이스(中国政要数据库)’12) 등을 활용하여 기초적인 정보를 수집하였다.
또한 최고지도부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고
10) 人民网, <http://cpc.people.com.cn/GB/64162/394696/index.html>.
11) 新华网, <http://www.xinhuanet.com/politics/2018lh/>.
12) 中国政府网, <http://guoqing.china.com.cn/zy/node_8002825.htm>.
중국 정치엘리트의 파벌(계파)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분석을 위해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outh China Morning Post: SCMP) 에서 제공하는 ‘China’s Leader-ship Reshuffle 2017’13) 등 중화권 언론 보도와 국내 언론의 중국 당‧정‧군 지도부 관련 심층 보도를 적절히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시진핑 2기 지도부 구성과 중국의 대외정책 및 한반도 정책과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의 자문회의를 진행했다. 특히 제Ⅲ장(시진핑 2기 지도부의 부문별 구성과 특징) 내용 중에서 중국공산당과 중앙정부(국무원) 지도부 구성 현황과 특 징 및 함의는 (사)현대중국학회(회장 이동률)에 위탁과제 형태로 공 동연구를 진행한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14)
또한 본 연구는 국내와 중국(북경, 상해, 동북3성, 홍콩 등)의 전 문가들과 20회 이상의 자문회의를 진행했고, 제Ⅳ장(시진핑 2기 지 도부의 대외정책 전망)의 많은 내용은 이들 전문가들과의 심도 있는 토론 결과를 반영하고 있다. 이밖에 본 연구 진행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학술회의 참여와 저술활동을 통해 연구결과의 질적 수준 제 고를 위해 노력하였고,15) 관련 내용은 제Ⅴ장(결론-한반도에 대한 시사점)에 대부분 반영하였다.
13) SCMP, <http://www.scmp.com/chinas-leadership-reshuffle-2017>.
14) 현대중국학회, “시진핑 2기 당‧정 지도부 구성 현황과 특징 및 함의,” 통일연구원 위탁과제(기간: 2018.5.1.~2018.6.30.).
15) 신종호,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관계 10주년 평가와 전망”, 주중대한민국대사관-성 균중국연구소 공동주최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관계 10주년 기념 세미나 발표문 (2018.5.22.); 신종호,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한중 협력 방안”, 통 일연구원-중국현대국제관계연구원 ‘한중 전략대화’ 발표문(2018.7.); 신종호, “비핵 화 프로세스와 북중관계,” 통일시대, vol. 142 (August 2018), pp. 19~21; 신종호,
“북‧중 정상회담 평가와 한반도 정세에 대한 시사점,” (통일연구원 Online Series CO 18-21, 2018.5.11.), 민태은‧신종호‧이기태, “미‧중‧일 한반도정책 및 정상회담 전 망,” (통일연구원 Online Series CO 18-43, 2018.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