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Fig. 4.6 Age and Tonnage of training ship type

Fig. 4.7은 전용실습선 국가별 평균선령 및 톤수를 나타낸 그림이다. 전용실습 선을 운영하는 11개국 중 미국이 보유한 실습선의 톤수가 가장 크다. 그 이유는 미 해군, USCG 에서 운용하던 비전투함을 군사용 사용 가능 연한이 다한 뒤 교통 부해사국(MARAD)으로 이관하여 각 대학에 배치하여 실습선으로 운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평균 선령은 28.7년으로 폴란드, 일본, 대만, 한국, 중국, 미국 순으로 평균이하의 선령을 가진 실습을 보유하고 있다.

Fig. 4.7 Age and Tonnage by Country

이상으로 전용실습선의 평균 선령과 평균 톤수를 비교해 보았다. 이 중 한국에 서 운영 중인 전용실습선 한반도, 한나라, 새유달호는 각 각 2018년, 2019년 퇴역 후 이를 대체할 신조 전용실습선을 건조 중에 있다. 이 중 선령 41년인 한반도 호 를 제외한 나머지 전용실습선의 평균 선령은 23년으로 전 세계 전용실습선 평균 선령 28.7년 보다 5.7년가량 낮다. 이에 따라 3장에서 살펴본 선원수급 불균형 해 소를 위한 국제협력 방안의 일환으로 제안한, 국제승선실습 프로그램을 위하여 한나라, 새유달호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2) 일반적으로 세계의 해기교육기관을 나라별로 분류할 때 선진국 그룹, 개발 도상국 그룹, 사회주의 국가 그룹의 세 그룹으로 크게 분류한다(김환수, 1992). 그 리고 과거 해기교육 시스템을 구분할 때 미국식 해기교육 시스템과 유럽식 해기 교육 시스템으로 구분을 하였지만, 최근에는 다단계형 실습과 계속형 실습, 상선 실습과 실습선 실습으로 크게 구분하는 경향이 있다.

먼저 영국의 경우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5개월의 상선 승선실습 마치고 이론교 육을 수학한 후 다시 11개월의 상선승선실습을 하는 다단계형 실습이다. 승선실 습기간도 법적요건인 12개월을 넘어서는 16~22개월간의 실습을 상선에서 수행하 고 있고, 수학 기간 내에 해기사면허를 취득한 후 추가적인 승무경력이나 교과과 정을 이수하면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미국 SUNY Maritime College의 경우도 다단계형 실습으로 학교소유 실습선에 서 1차 2개월 실습 후 이론교육과 실습교육을 단계별로 진행하고 있다. 2차 상선 실습 2개월을 마친 후 다시 이론교육 후 3차 실습선 실습 2개월을 부과하고 있다.

교육과정 이수 후 상선에서 6개월의 승선실습을 거쳐 해기사면허를 취득 할 수 있다.

일본은 다단계형 실습시스템으로, 교육기간동안 1학년 1개월, 2,3학년 2개월, 4 학년 3개월 씩 총 8개월의 승선실습 기간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해기면허를 취 득하고자 하는 졸업생은 졸업 후 항해훈련소에서 4개월간 추가로 승선실습이 요 구되어진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경우에는 자체 보유실습선과 상선에서 1년 이상의 승

국가 실습유형 실습시기 실습기간 수학기간

영국 상선/실습선 다단계형 16~22개월 3년~4년

미국 상선/실습선 다단계형 12개월 4년

일본 실습선 다단계형 12개월 4년+0.5년

러시아 상선/실습선 다단계형 12개월 5.5년

폴란드 상선/실습선 다단계형 12개월 4년

한국 상선/실습선 계속형 12개월 4년

중국 상선/실습선 계속형 12개월 3~5년

우크라이나 상선/실습선 계속형 12개월 4년+1년

베트남 상선 다단계형 12개월 4~5년

필리핀 상선 계속형 12개월 5년

인도 상선 계속형 12개월 3년~4년

미얀마 상선 계속형 12개월 4~5년

선실습을 정규과정 기간 내에 시행하고 있다.

폴란드의 경우에는 다단계형 실습형태로 1학년 때 자체실습선에서 2주간의 승 선실습을 수행하고, 2학년 때 국적 상선에서 4주간의 승선실습을 수행한다. 다시 3학년 때 자체 실습선에서 3주간의 승선 실습 후 4학년 때 STCW 협약에 따른 승 선실습기간 12개월을 충족하기 위해 폴란드 국적선 및 외국상선에 개인선사 실습 을 수행한다.

중국과 한국의 경우 3~5년의 정규과정 중 1년 이상의 계속적형 승선실습을 시 행하고 있다.

이상에서 분석한 각국의 승선실습 해기교육 운영형태를 정리한 것이 Table 4.17 이다.

Table 4.17 Comparison of Sea training scheme in different Countries

이에 각 승선실습 유형별 특징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승선실습을 위한 운영형태 를 다음 장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제 5 장 승선실습 형태 제안 및 국제협력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