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4.2 국가별 승선실습 형태

4.2.8 한국

Fig. 5.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국에는 4년제 해양대학교 2곳, 3년제 해사고등 학교 2곳, 3급 외항상선 및 5급 내항상선 선원을 양성하는 한국해양수산연수원이 있다.

한국의 실습선의 인적구성은 운항 및 실습교육 지원을 위해 선장 및 기관장을 포함한 항해 및 기관 실습선 사관들로 구성된 운항 부서가 있고, 이 운항부서는 부두 정박 중에 실습선의 정비, 보수, 당직과 실습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교학부 분에 대해서는 매년 실습선 운항 및 교육을 위해 해기면허를 가지고 있는 학과 교수가 파견되고, 운항부서와 교학부서가 탄력적으로 선박운항 및 실습교육에 임 하고 있다.

62) Maritime Academic Resource Database, Poland

Fig. 4.4 The procedure to become a seafarers in Korea

4.2.8.1 한국해양대학교 실습 운영시스템

해사계열 실습생은 관계법령에 따라 1년간 승선실습을 하여야 하며, 그중 기관 계열 전공 실습생은 6개월의 기간을 육상실습으로 대체할 수 있다.

한바다호와 한나라호 실습선 선장은 운항과 교육을 총괄하며, 교수와 실습교관 은 실습선 운항과 교육을 위해 같은 직무에 2인의 항해사/기관사를 배치하여 연 간 연안항해 10회, 원양항해 2회로 약 100일 동안 항해실습을 하고 있다.

또한 해사대학 소속의 실습과를 독립 지원시설인 운항훈련원으로 승격하여 승 선실습에 따른 교육ㆍ훈련 담당, 실습선 운항 및 관리, 실습선을 이용한 해양체험 연수 등의 선박활용 계획의 수립 및 지원, 승무원 교육ㆍ훈련, 선박검사 및 선급 유지 업무 등을 진행하고 있다.

실습교육 방법은 연안 항해실습, 원양 항해실습 및 정박실습으로 나누며, 한바 다호는 연안항해 1항차를 3박 4일로 하여 총 40일 정도를 항해하며, 원양항해는 1학기와 2학기로 나누어 각각 30일간의 원양 항해실습을 진행하고 있다. 한나라 호는 연안항해 1항차를 3박 4일로 하여 총 40일 정도를 항해하며, 원양항해는 1 학기와 2학기로 나누어 각각 30일간의 원양 항해실습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항해 및 기관 실습생은 항해 중에 4개조(1항/기사, 2항/기사, 3항/기사, 일 과 작업조)로 나누어서 항해 실습에 임하고, 1주일마다 서로 교대하여 실습교육 에 임하고 있다.63)

4.2.8.2 목포해양대학교 실습 운영시스템

해사계열 실습생은 관계법령에 따라 1년간 승선실습을 하며, 현재 항해 및 기 관 계열의 승선실습은 3학년 1학기부터 4학년 1학기까지의 계속형 실습체계로 진행하는 실습선 실습과 해운선사에 실습생을 위탁하여 실시하는 위탁승선실습 이 있다.

승선실습을 위한 새누리호와 새유달호에서는 실습선 운항과 교육을 위해 같은 직무에 항해 및 기관교원 각 1명과 항해사 및 기관사를 배치하고 연간 연안항해

63) 한국해양대학교 운항훈련원 홈페이지(2016년도 실습선 연간운항계획(안))

15~16회, 원양항해 2회로 100일 정도의 항해 실습을 하고 있다.

실습교육 방법은 연안 항해실습, 원양 항해실습 및 정박실습으로 구분된다. 새 누리호는 1항차를 6시간부터 정박지를 포함하여 4일정도 까지 연안 항해실습을 진행하고 있으며, 총 연안 항해일수는 약 40일 정도이다. 원양항해는 1학기와 2학 기로 나누어 각각 30일간의 원양 항해실습을 진행하고 있다.

새유달호는 1항차를 6시간부터 정박지를 포함하여 4일정도 까지 연안 항해실 습을 진행하고 있으며, 총 연안 항해일수는 약 40일 정도이다. 원양항해는 1학기 와 2학기로 나누어 각각 30일간의 항해실습을 진행하고 있다.

해사계열 승선실습 당직 교육은 항해 및 기관 실습생이 항해 중에 4개조(1항/

기사, 2항/기사, 3항/기사, 일과 작업조)로 구분되어 항해 실습에 임하고 있으며, 실습생의 승선인원에 따라 3개조로 운영하기도 한다.64)

64) 목포해양대학교 실습지원본부 홈페이지(2016년도 실습선 연간운항계획(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