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로표지 사고의 생산손실비용(Ec) 추정은 선박 충돌 및 기상 등에 의해 발생하 는 피해비용(Dc)으로 산출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항로표지 운영율만 기록 유지하고, 항로표지 사고가 발생할 경우 별도의 정형화된 통계를 유지하지 않고, 각 지방청에서 별도로 작성하기 때 문에 항로표지 사고에 대한 피해금액, 수리비용 등의 정확한 기록이 부족하였다.
Table 39는 항로표지 종류별 피해금액 기록 확인 결과이다. 부산청 관할해역의 10년간 항로표지 사고 221건 중 경우 피해금액이 기록된 항로표지 사고 건수는 43건(19.5%)이며, 피해금액이 기록되지 않은 항로표지 사고 건수는 178건(80.5%)으 로 대다수가 미 기록 상태였다.
구분 사고건수 기 록 미 기 록 기록비율
등부표
스파부이 66 22 44 33.3%
등부표 59 8 51 13.6%
LANBY 10 1 9 10.0%
등 주 75 10 65 13.3%
무인등대
무인등대 3 3 -
방파제등대 1 1 -
도등 3 1 2 33.3%
레이콘 2 2 -
교량표지 1 1 0 100%
유인등대 1 1 -
계 221 43 178 19.5%
Table 39 항로표지 종류별 피해금액 기록 확인 결과
기록에 의존한 피해비용(Dc)을 적용할 경우 항로표지 사고의 사회적비용 추정 모델에 적용할 경우 기록된 43건만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221건의 모든 사고 에 대하여 적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아래와 같은 원칙을 적용하여 항로표지 사고 의 피해비용을 산정한다.
◯1 피해금액이 기록된 경우 : 피해금액을 그대로 적용
◯2 동종 항로표지 사고의 피해결과(장비손상, 장비유실, 표체손상)가 동일할 경우 - 발생연도가 동일할 경우 동일 금액
- 발생연도가 상이할 경우 기록된 금액의 평균금액을 적용
◯3 동종 항로표지 사고의 피해결과가 없는 경우 : 항로표지별 평균금액 적용
◯4 항로표지 별 평균금액 적용이 불가한 경우 : 항로표지 사고 전체의 평균 피 해 금액을 적용
◯5 항로표지 사고피해비용은 2015년 금액으로 환산한다. 금액의 환산은 물가상 승률을 적용한다(Table 40).
연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상승률 2.2% 2.5% 4.7% 2.8% 2.9%
연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상승률 4.0% 2.2% 1.3% 1.3% 0.7%
source : 통계청 소비자물가상승률(2017)
Table 40 소비자물가상승률
Table 41은 항로표지 사고의 피해비용이다. 10년간 부산청 관할해역에서 발생한 221건의 항로표지 사고의 총 피해금액(Dc)은 약 34억원이다.
피해결과 별로는 표체손상이 20억원(59.97%)으로 가장 많고, 장비유실 8억원 (23.41%), 장비손상 4억원(12.11%)이다. 표지종류별로는 스파부이가 15억원으로 가
발생한 항로표지가 피해금액(Dc)이 높았다.
항로표지 종류별 1기당 피해금액(피해비용÷사고건수)은 LANBY가 5천8백만은 으로 가장 높고, 도등 2천6백만원, 스파부이 2천3백만원 순이며, 등주가 1백만원 으로 가장 낮았다.
(단위 : 천원) 구 분 사고
건수
피해결과 피해비용
(Dc) 1기당 장비손상 장비유실 표체손상 확인불가 피해비용
스파부이 66 44,259 499,224 948,847 42,128 1,534,458 23,249 등부표 59 120,499 10,906 762,855 109,107 1,003,367 17,006 LANBY 10 60,821 180,933 338,842 580,596 58,060 등주 75 96,660 11,459 3,872 111,991 1,493
무인등대 3 53,546 53,546 17,849
방파제등대 1 15,855 15,855 15,855
도등 3 78,036 78,036 26,012
레이콘 2 16,742 17,228 33,970 16,985
교량표지 1 10,339 10,339 10,339
유인등대 1 16,204 16,204 16,204
계 221 416,301 804,951 2,062,003 155,107 3,438,362
비율 12.1% 23.4% 60.0% 4.5% 100%
Table 41 항로표지 사고의 피해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