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항로표지 사고의 사회적비용의 정의와 평가항목 설정

Table 26은 해양ㆍ교통사고와 항로표지 사고의 차이점이다. 항로표지 사고와 교 통ㆍ해양사고는 사고라는 공통점은 있지만, 항로표지 사고는 항로표지 자체의 피 해가 발생하고, 관리자에게는 원활한 선박통항을 위해 항로표지 고유 기능을 복 구시켜야 하는 추가업무를 부과하고, 이용자는 항로표지의 기능정지로 인해 항해 상 해양사고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이 발생할 수 있다.

항로표지 해양·교통사고 항로표지 사고

당사자 ▸인적피해

▸물적피해 ▸물적 피해

관리자 ▸사고처리

▸보험처리 ▸기능복구를 위한 부가업무

이용자 또는 주변인

▸해양오염, 환경오염

▸양식장피해, 관광피해

▸심리적 부담감

▸해양사고의 심적 불안감 Table 26 해양·교통사고와 항로표지 사고의 차이점

반면 해양ㆍ교통사고는 사고로 인해 교통ㆍ선박 자체의 피해 발생과 인명피해 가 발생할 수 있고, 관리자(행정)에게는 사고처리, 보험처리 등이 발생하며, 육상 과 해양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해양오염이 발생하면 해상양식장에는 막대 한 피해가 부가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인명피해가 발생할 경우에는 사고 당사자 를 포함하여 가족 등의 주변인에게 추가적인 고통을 전가하게 된다. 이처럼 교통 ㆍ해양사고는 항로표지 사고와 다르게 단순한 1차 피해가 아닌 2차 피해로 이어 진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교통ㆍ해양사고의 평가항목을 항로표지 사고의 사회적비용 평가항목으 로 그대로 적용한다는 것은 각 항목의 특성상 어려움이 있어, 항로표지 사고의 특성을 고려하여 내부비용과 외부비용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평가항목을 도출하 여 적용하고자 한다. Fig. 15는 교통ㆍ해양사고의 평가항목 중 항로표지 사고와 연관된 사회적비용 평가항목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Fig. 15 항로표지 사고의 사회적비용 추정모델 평가항목 도출 절차

첫째, 인적ㆍ물적 피해비용과 생산손실비용는 항로표지 사고가 발생할 경우 직 접적인 피해비용으로 생산손실비용(Encounter cost)으로 사용한다. 이 경우 인적피 해는 발생하지 않으므로 항로표지사고는 직접적인 피해만 적용한다.

둘째, 행정비용은 사고처리를 위한 인적자원의 비용이므로 항로표지 사고 역시 관련 관리자의 행정소요가 발생함으로 행정비용(Administration cost)으로 동일하 게 사용한다.

셋째, 항로표지는 통항선박의 안전을 위한 해상교통시설이므로 항로표지가 기 능정지 또는 부재할 경우 이용자가 느끼는 심리적 불안감을 위험비용(Risk cost) 으로 사용한다.

다만 교통·해양사고의 의료비용과 환경오염비용은 항로표지 사고와 무관한 항 목으로 적용하지 않는다. 또한 생산손실비용과 행정비용은 내부비용(Internal cost) 으로 위험비용은 외부비용(External cost)으로 분류한다.

3.3.3 세부 평가항목 도출

Table 27은 항로표지 사고의 사회적비용 추정모델의 평가 세부항목이다. 항로표 지 사고의 사회적비용 평가항목은 생산손실비용, 행정비용, 위험비용의 3가지 항 목으로 적용한다.

구 분 분 류

내부비용 (Interal

cost)

생산손실비용(Encounter cost)

▸피해비용(Damage cost) : 운영중 사고에 의해 발생한 피해 비용 행정비용(Administration cost)

▸선박운항 비용(Vessel movement cost) : 피해규모 산출 및 복구를 위한 항로표지 관련 선박의 운항비용

▸인건비(personnel cost) : 행정요원, 운항요원, 작업인원에 대한 비용

외부비용 (External

cost)

위험비용(Risk cost)

▸해양사고발생 지수(Sea accident coefficient) : 항로표지 사고로 인해 이용선박의 운항자가 느끼는 심리적 부담감

▸정지비용(Stop cost) : 항로표지의 기능정지 기간 동안 항로표지의 가치

Table 27 항로표지 사고의 사회적비용 추정모델 항목

1 생산손실비용 : 교통·해양사고에서 생산손실비용은 사고로 인한 사고피해 자의 생산손실을 산출하는 것으로 피해자의 평균수명, 평균수입, 평균퇴직연령, 근무할 수 없는 날 등을 조사한다. 하지만 항로표지 사고의 경우는 인적피해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항로표지가 운영 중 파손, 유실 등에 의해 발생되는 피해비용 (Damage cost)을 세부항목으로 평가한다.

2 행정비용 : 교통·해양사고에서 행정비용은 사고로 인한 사회적 손실비용이 라는 개념에서 사고처리를 위한 경찰 및 보험사의 관련비용을 행정비용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항로표지 사고의 경우 항로표지 관리자와 항로표지 관련선박 등을 이용하여 항로표지 사고원인, 피해규모 확인, 기능복귀 등을 수행하게 됨으로 관

리자의 인건비(Personnel cost)와 선박 운항비용(Vessel movement cost)의 2가지 세부항목으로 평가한다.

3 위험비용(심리적비용) : 교통·해양사고에서 외부비용(심리적비용)은 CVM기 법을 활용하고 있다. CVM은 평가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 또는 특정재화에 대해 가상으로 설계된 시나리오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여 프로그램 또는 재화의 가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최, 2016). 하지만 항로표지 사고로 인한 기능정지는 이용자에 게 안전항해에 대한 불안전 요소로 이는 해양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본 연구에서 는 외부비용을 CVM기법 보다는 해양사고 발생지수를 활용한다. 따라서 위험비용 은 항로표지 사고로 인해 통항선박의 항해자가 느끼는 위험도인 해양사고 발생지 수(Sea accident coefficient)와 항로표지 정지기간 동안 항로표지가 가진 가치를 평가한 정지비용(Stop cost) 등 2가지 세부항목으로 평가한다.

4 사고자료 조사 : 항로표지 사고의 사회적비용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사고자 료 수집이 필수적이며, 제2장에서 언급한 부산지방해양수산청의 과거 10년 (2006~2015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항로표지 사고 자료에는 사고건수, 사고의 원 인, 사고의 결과, 피해 비용 등을 포함한다. 수집된 자료는 항로표지 사고의 피해 결과에 대한 대표 값 산출의 기준을 제공한다.

제 4 장 항로표지 사고의 사회적비용 추정모델 개발

항로표지 사고의 사회적비용 추정모델은 항행선박의 안전과 효율적인 통항을 보장하기 위해 설치된 항로표지가 기상악화, 선박충돌 등으로 항로표지의 목적과 기능을 상실할 경우, 관리자의 입장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손실과 항해자의 입장 에서 간접적인 위험비용을 산출함으로써 항로표지가 가진 가치를 평가하기 위함 이다.

항로표지 사고에 따른 사회적비용은 식(1)과 같이 생산손실비용, 행정비용, 위험 비용의 합으로 산출하며, 모든 비용은 현재비용(Present Values)으로 추정하기 위 하여 사회적 할인율(Social discount rate)을 적용한다.



   

  

 





 











 (1)

여기서

ANsc : 항로표지 사고의 사회적비용(AtoN social cost) Ec : 항로표지 사고의 생산손실비용(Encounter cost) Ac : 항로표지 사고의 행정비용(Administration cost) Rc : 항로표지 사고의 위험비용(Risk cost)

i : 사고 항로표지 종류(Type of AtoN) j : 사고 항로표지 수량(Counter of AtoN) r : 사회적 할인율(Social discount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