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인도의 입장 변화
4.1. 인도의 한국 문제에 대한 정책
인도는 북한에 대한 무력 공격으로 한국에 대한 무장 공격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 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82 호와 함께 입장했다. 이 행동이 평화를 위반 한 것으로 결정했다. 적대 행위의 즉각적인 중단을 촉구했다. 그리고 북한 당국에게 38선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1950)에서 군대를 즉시 철수시킬 것을 촉구했다.
인도의 주요 관심사는 문제에 대한 비-동맹 정책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한국 전쟁과 관련한 인도의 정책은 갈등의 내부적 해결에 대한 요구를 포함했다. 인도는 스탈린(소연방 비서국)과 딘 애치슨에게 한반도의 무기 분쟁을 한반도 내부로 돌리기 위해 노력할 것을 제안했다. 네루는 한국 전쟁이 격렬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중국의 주은라이이에게 군사적 갈등을 자제할 것을 권고했다.106 중국이 북한에 대한 남한과
106 K.M. Panikar, 『In Two Chinese: Memoirs of a Diplomat』. “Korea”, (London, George Allen & Unwin, 1955), Page no:128.
39
미국의 공격이 되돌아갈 것임을 분명히 했기 때문이다. 같은 방식으로 인도는 미국에 대한 북한으로의 파병 움직임에 반대했다. 인도는 본질적으로 이것이 갈등의 '국제화'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인도는 협상이 평화적으로 해결될 수 있는 의도로 한국 전쟁에서 중국의 개입을 주장했다. 네루는 인도가 "중국의 유엔 안보리 진출은 한반도 평화 유지를 위한 전제 조건"이라고 강력히 주장했다. 그러나 미국은 이에 대해 맹렬히 반대하면서, 한국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중국의 안보리 상임 이사국 자리를 차지하는 데 동의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결국 인도는 중국의 안보리 상임 이사국 진출이 통과 되었지만, 북한에 대한 미군 병력 철회가 거부되었을 때 인도는 소련 측으로부터 실망해야 했다.
인도는 한국 문제에 중국의 관여를 강력히 주장했다. 인도는 위급한 상황을 피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중국 정부의 협상을 유지하는 것이고, 중국 정부는 그들의 분단계 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분명히 진술했다. 네루 (Nehru)는 주은라이이에게 공격적인 행동을 삼가라고 촉구했다. 또한 인도는 유엔군이 북한 영토에 입장하는 것에 대한 어떠한 조치도 반대했는데 이는 또한 이 문제에 대한 '국제화'가능성을 제기 할 수 있다. 인도는 미국 대표에게 한국의 대통령 성명에 대한 입장을 분명히 하기를 요구했다. '90 일간 정치 회의가 열리면 한국 통일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우리는 우리의 전투를 재개 할 것이다. 국가 독립과 통일 '107이것은 다시 한국의 위기에서 상호 비 간섭 및 비 공격적인 정책을 추진하는 인도의 정책의 일부였다. 인도는 항상 비폭력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했기 때문에 인도는 한국에 군대를 보내지 않았다. 인도는 유엔 인도가 한국에 대한 유엔 사령부를 창설하겠다는 결의안에 동의하 는데 몇가지 이유가 있었다.108
107 K.P.S. Menon, 『Many Worlds: An Autobiography』. “KOREA” (Oxford University Press, Bombay,1965), Page no: 259.
108 Chan Wahn, Kim, 『The Role of India in the Korean War』. (International Area Review, Vol 13(2),2010), Page no: 21-37.
40
첫째로, 인도는 군대 지원이 자신의 능력을 넘어서고 있다고 느꼈다는 것이다. 인도는 7 월 28 일 유엔에서 군대가 "방공망 설계"를 하고 있으며 당시 내부적 상황으로 인도가 인도 밖의 지역으로 군대를 보낼 여력이 없다고 밝혔다. 아마도 인도 군대는 분단 당시 병력의 분열에서 아직 스스로를 재정립이 되지 못한 상황이었을 것이다.
둘째, 당시 인도는 중국과의 우호 관계를 더욱 확대하기를 원했다. 인도는 1949년 중화 인민 공화국을 인정한 최초의 아시아 국가 중 하나였다. 인도는 한국의 위기가 소련과 미국의 경쟁의 일부가 되었기 때문에 결의안 채택이 한국에 전쟁을 일으킬 것이라고 생각했다. 인도는 중화민국(대만) 대신에 중화 인민 공화국이 한국 전쟁 초기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유엔에서 중국을 대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문제에 대해 더 자세하게 보기 위해 그때 인도의 외교부에서 장관이었던 메논의 연설을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셋째, 이때 인도의 카슈미르 문제가 유엔에서 하나의 두드러진 이슈였기 때문에
인도는 입장 정리를 하는데 매우 신중할 수 밖에 없었다.109 1947년 11월 3일의
편지에서 주인도 미국대사는 미국무부장관에게 인도 정부의 주장을 자세히 전달하였다. 인도 정부는 카슈미르 문제와 관련하여 이웃 국가들(아프가니스탄, 중국과 소련)에 대해 깊은 우려를 가지고 있다.110 주인도 미국대사는 카슈미르가 진정한 갈등의 중심이 되고 혼돈이 더 심해지면 인도 정부는 소련에 대해 크게 우려했다고 주장했다. 인도는 미국과 소련으로부터 카슈미르 문제에 대한 협력을 구하고 있었던 것이다. 인도는 파키스탄이 카슈미르를 침공했음을 강조했고, 카슈미르가 인도에 도움을 요청했다고 했다. 그랬기에 인도는 군대를 보내고 카슈미르를 구하게 되었음을 계속 주장했다. 이런 인도의 주장에 힘입어 미국은
109 {Foreign Relation of the United States}, (1947, The British Commonwealth; Europe, Vol VIII). New Delhi, https://www.history.state.gov/historicaldocuments/frus1947v03/d123 ).
110 Foreign Relation of the United States, (1947, The British Commonwealth; Europe, Vol VIII). New Delhi, https://www.history.state.gov/historicaldocuments/frus1947v03/d120 ).
41
파키스탄을 비난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다른 서구 세력은 파키스탄에 강력하게 반대하지 않았다.111
하지만, 메논은 1950 년 연설에서 보면, 한국 전쟁 동안 인도가 카슈미르에 대한 지속적인 문제를 겪은 후에도 독립적인 태도를 취했다고 주장했다.112 인도는 역사의 각 시점에서 카슈미르 문제를 염두에 두었지만 카슈미르에 대한 소련의 지원을 위해 (통일과 평화) 자체 원칙을 희생하지는 않았다.
시간이 지나면서 인도의 정책에 조금식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인도의 기본 정책은 항상 세계의 평화를 통해 비폭력으로 한국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한국문제에 대해 더 자세하게 보기 위해 그때 인도의 외교부 장관이었던 메논의 연설을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