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일표본 T검정

Dalam dokumen -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Halaman 56-59)

IV. 녹색건축인증 유무에 따른 실거래가 비교 · 분석

4.3 일표본 T검정

본 연구에서는 비교하고자 하는 두 집단 간의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지 알아보기 위해 일표본 T검정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매번 자료를 수집할 때마다 서로 다른 변수 및 표본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평균과 분산이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통 계 분석을 실시하기에 앞서 기술 통계량의 표준화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 구에서는 아래 <표 4-2>과 같이 모집단의 기술 통계량을 추출하였다. 또한, 일 표본 T검정은 모집단이 정규 분포를 만족한다는 전제 조건하에 실시되기 때문에 앞선 정규성 검정을 통해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만족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확인 하였다.

4.3.2 양측 검정 결과

이후 본 연구에서는 녹색건축인증을 받은 공동주택 1곳의 실거래가를 기준으 로 비인증 공동주택 3곳의 평균 실거래가와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알 아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녹색건축인증을 받은 공동주택과 비인증 공동주택간 에는 평균차이가 없다‘는 귀무가설을 세우고 앞서 추출한 기술 통계량을 토대로 유의수준을 0.05로 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기각역을 검정통계량의 분포로부터 구 하고자 한다.

아래의 <그림 4-2>과 같이 신뢰구간을 95%로 설정할 때, 표본의 크기가

=26 < 30으로써 검정통계량  는 자유도가 -1 = 25이므로 T분포를 이룬다.

이 경우 T분포 테이블에서 (-2.06≤t≤2.06)으로 나타났으며, 검정통계량 값은

()=4.526으로 기각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채택할 만한 근거가 된다.

그림 4-2 95% 신뢰구간의 양측 검정 결과

검정값 = 1

t 자유도 유의확률 평균차 차이의 95% 신뢰구간

하한 상한

G-SEED 4.526 25 0.000 .0952 .0519 .1385 표 4-4 일표본 T검정 결과

N 평균 표준편차 평균의 표준오차

 26 1.09523 0.107282 0.21040 표 4-3 일표본 통계량

4.3.3 일표본 T검정 결과

앞선 데이터를 토대로 일표본 T검정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두 표본간의 표준오차는 0.0210로 나타났으며, 유의확률은 0.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 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유의확률은 0.01 0.05일 때 유의한 차이를 나타 내고, 0.001 0.01일 때 매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0.001일 때 아주 유 의한 차이를 나타낸다(Siegal, A, 2016).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통계 적으로 아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이는 즉, 녹색 건축인증 유무에 따른 공동주택의 실거래가간에는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의 평균은 1.0952으로 비인증 공동주택 대비 녹색건축인증을 받 은 공동주택의 실거래가가 9.52%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alam dokumen -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Halaman 56-59)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