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친환경적 투자 대비 공동주택 실거래가 비교·분석

Dalam dokumen -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Halaman 36-39)

II. 이론적 고찰

2.5 선행연구 고찰

2.5.3 친환경적 투자 대비 공동주택 실거래가 비교·분석

국내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친환경적 요소가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들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연구 동향은 다음 <표 2-5>와 같이 정리하 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수도권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실거래가 비교·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아직까지 수도권 외 다른 지역에 위치한 공동주택의 실거래가 비 교·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현석(2015)

친환경건축물 인증이 공동주택의 가치상승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헤도닉가격모형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 인증 취득이 부동산 시장에서 매매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에너지 성능 및 실내 주거환경 향상을 통해 부동산 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음을 제시

전연수(2019)

녹색건축 인증제도가 주택가격과 관리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녹색건축인증 취득에 따른 주택가격 및 관리비용을 비교·분석한 결과, 아파트 거래가격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관리비용에 음(-)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녹색건축인증의 효용성을 정량적으로 제시

강병록(2014)

환경친화적 특성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헤도닉가격모형을 이용하여 친환경적 특성 변수들이 아파트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도를 분석하였으며, 녹색건축인증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인센티브제도의 강화가 필요함을 제시

길기석(2007) 친환경 특성변수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분석

서울시 아파트를 대상으로 친환경적 특성 변수가 아파트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특히 단지의 입지특성 양호하고, 녹지 및 공원의 공간률이 많고, 교통시설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평당 매매가격이 상승한다는 결론을 도출

고 현(2008)

아파트 가격에 내재된 친환경 요소의 가치 측정에 관한 연구 -평촌 신도시를 대상으로-

평촌 신도시에 위치한 50개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아파트 가격에 내제되어 있는 친환경적 특성의 가치를 측정한 결과, 아파트 단지 주변의 녹지공간과의 근접성 및 단지 내 거주자들에게 제공되는 쾌적한 환경의 조성 등이 매매가격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

정성훈(2012)

신도시내 친환경 주거요소의 도입이 아파트 거래가격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

국내 수도권 제2기 신도시내의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통계적 계량기법을 이용하여 친환경 주거요소가 아파트 거래가격에 미치는 영향도를 분석한 결과, 친환경 주거 요소는 아파트 거래가격에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부동산 시장에서 경제적 유발효과로 파급되고 있음을 제시

노재용(2011)

기후변화시대 그린빌딩의 가격 차별성에 대한 연구

-서울·성남·용인시의 그린빌딩을 대상으로-

서울·성남·용인시에 위치한 아파트와 주상복합 건물을 대상으로 친환경 인증에 따른 가격차별성을 파악하기 위해 헤도닉모형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친환경 인증 을 취득한 공동주택의 매매가격은 일반 공동주택 대비 평방미터(㎡)당 약 7.5%높다는 결론을 도출

Dalam dokumen -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Halaman 36-39)

Dokumen terkait